바람결에 춤추는 ‘서리꽃’, 검은 석탄 뒤덮네 마을을 찾아서

정선 만항재 만항마을
봄~가을엔 야생화 겨울엔 눈꽃 사계절 ‘꽃천지’ 
쇠락한 탄광마을에서 여행객 발길 잡는 곳으로

 
 
Untitled-4 copy.jpg

만항재는 강원 정선군 고한과 영월군 상동을 잇는 고개다. 해발 1330m, 국내에서 가장 고도가 높은 포장도로 고갯길(414번 지방도)이다. 국내에서 자동차로 정상까지 갈 수 있는 가장 높은 산인 함백산(1573m) 남서쪽 자락이다. 만항재 주변은 사철 꽃밭이다. 봄부터 가을까진 눈부신 야생화밭이, 겨울이면 눈 시린 눈꽃밭이 펼쳐진다.
 
눈 오지 않아도 ‘눈밭’ …한번 보면 잊을 수 없는 화원의 나라
 
눈이 오지 않아도 만항재는 꽃밭이 된다. 일교차가 벌어진 겨울 아침이면 고개 정상의 숲 전체가 화사한 서리꽃(상고대)으로 덮인다. 동해안 쪽에서 넘어오는 안개 때문이다. “저녁에 안개 살짝 꼈다 하문 영락없대요. 담날 아침 나무마다 그냥 상고대가 얼어붙는 기래요.”(만항재 도로관리사업소 김종수씨)
 
서해안에 폭설 예보가 나오는 가운데, 강원 산간은 맑게 갠 모습이다. 수은주가 영하 17도를 가리킨 주말 이른 아침, 만항재 정상엔 화려한 서리꽃이 만발했다. 맨몸으로 선 떡갈나무·낙엽송들이 가지마다 섬세한 무늬의 서리꽃을 피웠다. 몰아치는 칼바람에 흩뿌려지는 순백의 결정체들이 봄날 꽃잎 날리는 벚꽃길을 떠올리게 한다. 낙엽송숲 빈 나무의자도, 산자락 무덤들도 조용히 새하얀 꽃잎 세례를 받는다.
 
Untitled-5 copy.jpg

서리꽃·눈꽃은 한번 얼어붙으면 매서운 고갯바람에 녹을 줄 모르고 한낮까지 흰 화원을 펼쳐 보이는 때가 많다. 만항재 정상에서 간이매점(야생화쉼터)을 하고 있는 심경숙(50·고한읍 상갈래마을)씨가 말했다. “여기 있다 보믄요. 서리꽃·눈꽃이 을마나 화려한지 아주 말도 못해요. 한번 보고는 잊을 수 없다고 또 찾아오는 분들이 많아요.”
 
심씨는 만항재 정상에서 16년째 매점을 열고 있는 정선 토박이다. 이웃 이옥선(58)씨와 봄여름엔 함께 운영하고 겨울(12~2월)엔 한 해씩 번갈아가며 혼자 매점을 지킨다. 부침개도 팔고 우동도 팔고 막걸리도 판다. 겨울엔 스키장 오가는 이, 함백산 등산하는 이, 만항재 눈꽃·서리꽃 보러 오는 이, 그리고 고개를 넘나드는 주민들이 고객이다.
 
만항재의 우리말 이름은 늦은목이재(늦목재)다. 옛날 고한 주민들은 이 고개를 통해 황지를 거쳐 춘양까지 나가 소금을 사왔다고 한다. 소금 한 가마니를 지고 고한으로 돌아오면 소금이 녹아 반 가마니밖에 안 남았다고 한다.
 
Untitled-6 copy.jpg

하늘이 안보일 정도로 우거진 나무들 다 베어

 
고개 바로 밑에 만항마을(고한1리)이 있다. 만항(늦은목이)은 탄광이 들어서기 전까지 화전민 몇 집만 살던 곳이었다. 일제강점기 탄광이 처음 개발된 이래 6·25전쟁 뒤엔 ‘쫄닥구데이’라 불리는 소규모 민간 개발업자들이 몰려들며 인구가 늘었다. 1962년 이들이 대단위 탄좌로 통합되고 동원탄좌·삼척탄좌가 채탄을 시작하면서 길을 넓히고 본격적인 탄광마을을 이룬 곳이다.
 
“그 많던 나무 다 비제끼고 산 파제끼고, 마을을 훌 뒤집어 놓았대니까요.” 고한1리 토박이 주민 방순애(73)씨는 탄광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까지는 “나무가 하늘도 안 뵈킬 정도”로 우거져 있었다고 말했다. 아침에 나무 석단 해 지고, 대낮에도 컴컴한 만항재 숲길을 넘어 상동의 여인숙에 팔고, 보리 몇 되 사서 이고 돌아오면 해가 저물었다고 한다.
 
Untitled-2 copy.jpg

광복 전후까지 만항마을은 방씨 일가 세 집만 사는 두메마을이었다. 방순애씨는 “우리 외조부가 처음 여기 들어와 살다 방씨 친척들을 불러 함께 ‘판을 치며’ 살았다”고 말했다. 방씨는 어렸을 때 학교가 없어 아랫마을의 절 정암사 객사에 가서 초등학교 과정을 공부했다.(만항마을 일대 땅은 대부분 정암사 소유의 사찰지다) 감자 한 보자기, 좁쌀 한 되라도 갖다 주면 스님이 그렇게 좋아할 수 없었다고 한다.
 
탄광마을이 되면서 마을은 갑자기 ‘번잡한 도시’로 바뀌었다. 마을이 흥청거리기 시작했지만, 방씨는 탄광개발 이전이 더 살기 좋았고 행복했다고 말했다.
 
“선탄작업(탄 고르는 일)을 하면서 형편은 좀 나아졌다고 해도 가난하기는 마찬가지였어요. 탄광개발 초기엔 더했죠. 큰애 학교 보낼 때 도시락을 못 싸보낸 게 지금도 가슴 아파요. 하루는 담임 선생이 학교 창고로 부르더래요. 그러더니 큼직한 건빵 한 보따리를 주면서 가져가라고 하더래요. 그래 그걸로 점심을 싸보내고, 집에서도 애들한테 줬어요. 아침에 건빵 다섯개, 점심엔 세개씩.”  
 
학생수 1000명에 이르던 학교는 폐교 
 
사북국민학교 만항분교는 만항국민학교가 됐고, 60~70년대엔 학생 수가 1000명에 이를 정도로 마을이 급팽창했다. 광업소 사택 빼고도 사는 주민만 600가구에 이르렀다. 술집만 열댓 군데가 생겼고 다방·당구장·중국집까지 광원들로 북적였다. 고한리는 23개 리로 나뉘고, 고한1리에만 13개 반이 생겼다. “들어오는 사람은 줄을 서는데 세내줄 방이 없어 안타까웠을 정도”였다. 고한읍에서 만항마을까지 5분에 한 대씩 버스가 다녔는데 늘 빈자리 없이 채워질 정도였다고 한다.
 
80년대 이후 탄광산업이 사양길을 걸으면서 마을 규모는 다시 급격히 줄어들었다. 최영석(39) 고한1리 이장이 말했다. “요새는 하루 세 번 마을버스가 다니는데 늘 텅 비지요.” 광원들이 떠난 뒤 빼곡하게 들어섰던 집들은 흉물로 남았고 학교는 폐교됐다. 지금은 50가구 100여명, 원주민과 일부 눌러앉은 광원들이 마을을 지킨다.
 
Untitled-3 copy.jpg만항마을이 다시 활기를 찾은 것은 고한읍에 카지노에 이어 스키장이 들어서면서다. 최근 만항마을은 해마다 여름이면 야생화 축제를 열며 관광객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도로변 담벽마다 야생화를 그려넣고 대형 야생화 사진들을 내걸어 꽃단장을 했다. 이른 봄 눈 속에선 노란 복수초가 피어나고 봄엔 얼레지, 여름엔 노루오줌·둥근이질풀 꽃들이 지천으로 깔리는 마을이다.
 
“요즘엔 사철 가리지 않고 여행객들이 찾아옵니다. 한겨울엔 만항재나 함백산의 눈꽃·서리꽃을 즐기려는 분들이 오죠.”(고한읍번영회 최동순 회장)
 
여행객들 발길이 잦아지면서 마을에선 야생화와 산나물 등 청정 먹을거리를 이용한 체험행사도 시작했다. 원룸 숙박시설을 갖추고 곤드레밥·산죽(조릿대)밥 짓기 체험행사를 마련한 유미자씨가 말했다. “여 산나물은요, 마디게 커서 향도 아주 진한 거래요. 산죽도 7월이 넘어야 새순이 나오니까요.” 산죽을 세번 덖어 산죽차를 만들고, 산죽 우려낸 물로 밥도 짓는다. 압화·천연비누 만들기도 진행한다.
 
물한리는 스키장 들어서면서 사라져
 
토종닭·오리백숙 등을 내는 식당 4곳도 꾸준히 여행객들을 맞고 있다. 할매식당·만항식당·밥상머리·산골닭집이 대체로 비슷한 식단을 갖고 있지만 각각 황기백숙·옻닭·장뇌삼백숙·곤드레나물밥 등을 주 종목으로 내걸고 사이좋게 영업을 한다.
 
마을의 서쪽 골짜기인 제당골 들머리엔 오래전부터 산신에게 제사를 올리던 서낭당이 있었다. 낡았지만 옛 정취를 간직했던 이 작은 당집이 “일주일 전”(12월 초)에 헐려나갔다. 관리해오던 주민이 “너무 낡고 빗물이 새서 번듯하게 새로 지으려고” 헐어냈다고 한다. 이 마을에서 태어나 10살까지 살다 출가한, 한 절 주지 스님이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찾아와, 무너져가는 당집을 보곤 새로 지으라며 공사비를 지원하고 가면서다. 선의에서 나온 마을 지원이었겠으나, 이 마을에 남은 옛 정취 하나를 자취 감추게 한 결과가 돼버렸다.
 
고한(古汗)이란 이름은 구한말 고토일(古土日)과 물한리(勿汗里)를 통합하며 한 글자씩 따와 붙인 것이다. 두 마을은 고한에서도 가장 오래된 마을이다. 고토일은 현재 고한14리에 속해 있고, 물한리는 하이원 스키장이 들어서면서 사라졌다.
 
Untitled-7 copy.jpg

상갈래삼거리에서 만항재로 오르는 길에 만나는 정암사는 신라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온다. 옛 이름은 갈래사다. 5대 적멸보궁(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신 곳) 사찰 중 하나다. 뒷산에 모전석탑인 수마노탑(보물 410호)이 있다. 절 뒤쪽 골짜기는 열목어 서식지이기도 하다. 정암사의 부속암자인 적조암은 정암사에서 만항재로 오르는 414번 지방도변 왼쪽 함백산 등산로에 있다. 옛 적조암은 사라졌으나, 이곳에서 자장율사가 입적했다고 전해온다. 적조암은 조선말기 해월 최시형 등 동학교도들의 비밀 수련장소로 쓰이기도 했다.
 
<만항마을 여행쪽지>

수도권에서 영동고속도로 타고 원주 만종분기점에서 중앙고속도로로 갈아타고 제천나들목에서 나가 38번 국도를 따라 직진한다. 하이원리조트 지나 두문동재 못 미쳐 상갈래삼거리에서 우회전, 414번 지방도 따라 정암사 거쳐 만항재로 간다.
 
한겨울 만항재 일대 손수운전 여행길엔 차량 체인을 꼭 준비해야 한다. 찻길이 정상까지 나 있는 함백산에 오르면 금대봉·태백산·백운산 등 고봉들이 한눈에 들어오지만, 경사가 심해 한겨울 차량운행은 피하는 게 좋다. 만항재도 눈이 내린 뒤엔 통행이 어려워지기도 한다.
 
⊙ 만항마을 체험행사=곤드레밥·산죽밥 지어먹기 체험 4천원, 압화·천연비누 만들기 등 3천~5천원. 원룸형 숙박 1박 주중·주말 4만원. 함백산들꽃이야기 (033)591-2168. 고한읍번영회 (033)592-5455.
 
⊙ 만항마을 식당=밥상머리(곤드레나물밥·상황오리백숙) (033)591-2030, 만항식당(장뇌삼백숙) (033)591-5196, 만항할매닭집(황기백숙·옻닭) (033)591-3136, 산골닭집(황기백숙·옻닭) (033)591-5007. 이상 닭백숙 4만~5만원. 만항재 정상 간이매점 야생화쉼터에선 감자부침(8천원)·메밀부침(6천원)·우동(3천원) 등을 판다.
고한(정선)/글·사진 이병학 기자 leebh99@hani.co.kr
 

Leave Comments


profile반갑습니다. 한겨레신문 이병학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