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 엄마들, 세월호와 지방선거를 말하다

언론에서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분노한 엄마들을 ‘앵그리맘’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엄마들이 세월호 참사를 보면서 느낀 감정, 생각, 의견들은 단순히 ‘앵그리맘’이라는 용어 하나로 설명하기에는 충분치 않다. <한겨레>가 ‘3040’ 엄마 8명을 만났다. 이들이 세월호 참사를 보면서 왜 분노했는지, 엄마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지방선거를 앞두고 그들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를 듣는 좌담회를 열었다. 좀더 객관적인 얘기를 듣기 위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엠브레인에 의뢰해 연령, 지역, 정치적 성향, 취업 유무를 안배해 8명을 선정했다. 좌담회는 5월28일 오후 7시 한겨레신문사 대회의실에서 진행됐다. 엄마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듣기 위해 익명으로 표기했다.


 

엄마 1호(46·서울시 성북구) 요즘에는 자식들이 제 곁에 있는 것만으로도 고마워요. 아이가 학교에서 체험학습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데, 이전에는 학교에서 가는 거라면 무조건 억지로 아이를 보냈어요. 그런데 이제는 아이 의사도 물어보고 내가 선택해서 보내려고요. 학교를 못 믿게 된 거죠. 세월호 사건에서 ‘골든타임’을 놓쳐 가장 안타까워요. 신속하게 사태를 해결하려면 정부 관료들이 보고체계가 있어야 하는데, 사건을 해결하는 체계 자체가 없더라고요. 세월호 사건 뒤로 좀더 신문을 꼼꼼하게 보고, 새누리당이 아닌 다른 당에도 관심을 갖게 됐어요.

엄마 2호(46·경기도 고양시) 세월호 참사를 지켜보면서 법을 지키고 원칙을 지키면 오히려 피해를 입을 수 있겠구나 하고 느꼈어요. 그날 아이들이 왜 죽었나요? 거기 앉아 있으라는 어른들의 말을 듣다가 피해를 입은 거잖아요. 앞으로 제가 제 아이에게 어떻게 법을 지키고 원칙을 지키라고 말할 수 있겠어요? 우리 아이는 융통성이 없고 약간 고지식한 편이에요. 그래서 아이에게 “선생님 말이 법은 아니다”라며 이제까지와는 반대의 교육을 해요. 네 주도적으로 인생을 개척해야 하고, 네 판단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얘기합니다.

엄마 3호(47·서울 서초구) 저는 여느 강남 엄마들처럼 학원가를 돌면서 아이 열심히 보좌해서 큰아이를 명문대에 보내려고 최선을 다했어요. 제가 아이를 명문대에 보내고 싶었던 이유는 내 자식이 좀더 좋은 교육을 받아서 사회에 나가 훌륭한 지도층이 되고 우리 사회를 좀더 바람직한 사회로 만들었으면 하는 바람에서였어요. 물론 자식의 성공과 부, 출세는 모든 부모의 바람이지요. 그런데 세월호 사건을 보면서 ‘그렇게 명문대 나와서 무슨 소용이야?’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저를 포함한 많은 엄마들이 아이들 양육을 하면서 본인의 출세, 본인만이 잘되라고 가르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둘째에게 이제 공부보다는 네가 좋아하는 것을 하면 좋겠다고 말해요.

엄마 4호(39·서울 서대문구) 당시 아들도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갈 계획이었는데 정말 많이 울고 슬퍼했어요. 지금도 실종자가 16명이나 있다는 사실에 너무 속상하고 안타까워요. 세월호 사건 이후에 아들이 더 애틋해요. 아들이 그 시점에 담배를 피우다가 걸렸는데 당시에는 쉽게 넘어가게 되더라고요. 저는 사고 직후 대통령이 내려가서 뭔가 잘될 거라고 생각했는데, 결과적으로 한 명도 못 구했어요.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해요.

 

 

Leave Comments


profile알듯말듯한 육아에 대해 함께 알아가고 고민합니다. 불안한 육아가 아닌 행복한 육아를 꿈꿉니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삶을 지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