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보] 제임스웹으로 본 우리 은하의 중심

별 탄생 지역…태양 30배 원시별 등 50만개 별이 촘촘히 제임스웹우주망원경으로 본 우리 은하 중심부. 사진에 보이는 영역은 약 50광년 크기이며 약 50만개의 별이 드러나 있다.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제공 지구에서 150만km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는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으로 본 우리 은하 중심부의 상세한 모습이 공개됐다. 제임스웹의 근적외선카메라(NIRCam)로 관측해 20일 공개한 사진은 궁수자리C(Sgr C)라고 불리는 별 탄생 지역으로, 은하수 중심의 초대질량 블랙홀인 궁수자리 A*로부터 약 300광년(1광년=9조4600억km) 떨어져 있다. 적외선으로 보면 가시광선...

» More

[건강] 노벨상 `유전자 가위', 난치병 치료제로 나온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영국서 ‘겸상 적혈구병’ 등 첫 승인 환자 아프리카계 많아서 고비용 부담…부작용 추적 필요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한 치료제가 겸상 적혈구병에서 처음으로 승인됐다. 정상 적혈구는 둥그런 모양이지만 겸상 적혈구병 환자의 적혈구는 길쭉한 낫 모양이다. 존스홉킨스의대 누리집 갈무리 2020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난치병 치료제가 처음으로 나온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란 박테리아의 면역 시스템을 이용해 개발한 유전자 편집 도구로, 유전자 가위를 DNA의 표적 부위로 안내해주는 가이드RNA 분자(크리스...

» More

[우주] 역대 최강 로켓 스타십, 2차 시험발사도 실패...단 분리는 성공

스페이스엑스, 7개월 만에 2차 시험…궤도비행 실패 1단 예정없이 폭발…2단은 사고 막기 위해 폭발시켜 스페이스엑스의 역대 최강 로켓 스타십이 18일 아침(현지시각) 미국 텍사스 발사장에서 2번째 시험비행을 위해 이륙하고 있다. 스페이스엑스 제공 일론 머스크의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엑스가 화성 여행을 목표로 개발 중인 역대 최강 우주발사체 ‘스타십’이 2차 시험발사에서도 궤도 비행에 실패했다. 그러나 지난 4월 1차 시험발사 때엔 이루지 못했던 2단 로켓 분리에는 성공해 진일보한 성과를 거뒀다. 스페이스엑스는 18일 오전 7시3분(현지 시각) 미국 텍사스...

» More

[우주] 모래비가 내리는 `솜사탕 외계행성' 발견

제임스웹망원경, 200광년 거리 가스행성 관측 질량은 해왕성급, 크기는 목성급 ‘푹신한 천체’ 규산염 구름과 모래비가 승화-응축 수직 순환 중심별 앞을 지나가는 외계행성 WASP-107b 상상도. 지구에서 200광년 거리에 있다. 루뱅대 제공 벨기에 루뱅대가 중심이 된 국제 천문학자 그룹이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의 중적외선기기(MIRI) 관측을 통해 모래비가 내리는 외계행성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 외계행성은 처녀자리에 위치해 있는 WASP-107b으로, 지구에서 200광년 떨어져 있다. 2017년 처음 발견했을 때부터, 덩치는 크지만 질량은 가벼운 특...

» More

[자동차] 지엠 크루즈, 결국 자율주행차 전략 수정...로보택시의 미래는?

잇단 사고·운행 중단에 고위험 전략서 전환 모든 차량 리콜 등 신뢰 회복 조처에 중점 그동안 공격 일변도 행보를 보이던 지엠 크루즈가 자율주행차 전략 궤도를 안전 위주로 수정했다. 크루즈 제공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있다. 목표에 집착해 일을 서두르다 보면 실수가 잇따라 일어나, 오히려 일을 그르칠 수 있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는 경구다. 미국 지엠 계열의 자율주행차 업체 크루즈가 요즘 이런 처지에 놓여 있다. 그동안 자율주행차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 속전속결식의 공격적 행보로 일관해 온 크루즈가 잇단 사고와 논란 끝에 자율주행차 전면 운...

» More

[생활] 기상청보다 정확한 일기예보 인공지능 나왔다

딥마인드가 개발한 기계학습 기반 그래프캐스트 90% 이상에서 유럽기상청 수치예보보다 더 정확 딥마인드가 각국 기상청이 사용하는 수치예보(NWP) 방식보다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날씨를 예측할 수 있는 기계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을 개발했다. 픽사베이 알파벳(옛 구글)의 인공지능(AI) 개발 전문 기업 딥마인드가 현재 각국 기상청이 사용하는 수치예보(NWP) 방식보다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날씨를 예측할 수 있는 기계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을 개발했다. 특히 데스크톱 피시에서도 실행할 수 있으며 1분도 안돼 예측 결과를 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딥마인드 연...

» More

[3D프린팅] 3D프린팅 건축은 사회주택의 모델이 될 수 있을까

독일서 지상 3층 6가구 임대아파트 건설 공적 자금과 저렴한 건축비의 결합 사례 독일에서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사회주택 임대아파트가 지어지고 있다. 코보드 제공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추구하는 유엔기구인 유엔해비타트(UN Habitat)에 따르면 2030년까지 안정된 주거가 없는 약 30억명의 사람들을 수용하려면 매일 9만6000개의 저렴한 주택을 새로 지어야 한다. 그러나 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하는 주택 비용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큰 걸림돌 가운데 하나다. 공사기간이 짧고 비용이 덜 들어가는 3D 프린팅 건축은 이런 문제를 해소하는 데 유망한 방식이다. 독...

» More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