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임스웹우주망원경으로 본 우리 은하 중심부. 사진에 보이는 영역은 약 50광년 크기이며 약 50만개의 별이 드러나 있다.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제공
제임스웹 관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는 이 사진에만 약 50만개의 별이 드러나 있다고 밝혔다. 사진에는 적외선-암흑 구름 속에서 모닥불처럼 빛나는 물질을 뿜어내는 원시성단이 보인다. 아직 형성 중에 있는 이 원시성단의 중심에는 태양 질량의 30배가 넘는 거대한 원시별이 있다. 원시별들이 출현하고 있는 구름은 밀도가 높아서 제임스웹조차도 그 뒤쪽의 별들에서 뿜어내는 빛을 포착하기가 어려워 적외선 암흑구름으로 나타난다.
25광년 크기의 거대한 수소 이온 영역의 정체는?
사진에는 별밭에 난 구멍처럼 보이는 작은 적외선-암흑 구름이 점점이 흩어져 있다. 미래의 별이 만들어지는 곳이다. 청록색으로 보이는 부분은 암흑 구름의 아래쪽을 둘러싼 이온화된 수소가 대규모로 방출되는 모습이다.
관측팀은 일반적으로 이것은 젊고 거대한 별들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광자가 만들어내는 것이지만 이렇게 25광년 크기나 되는 거대한 영역에 걸쳐 있는 점은 추가 조사가 필요한 놀라운 일이라고 밝혔다.
지구가 속해 있는 태양계는 나선 모양을 띠고 있는 우리 은하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3분의 2쯤 되는 곳에 있다. 캘리포니아공대 제공/어스스카이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는 폭이 10만광년에 이르는 우리 은하의 중심은 지구에서 약 2만5천광년이나 떨어져 있지만, 제임스웹의 관측력은 이 곳의 별 하나하나까지 연구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다고 밝혔다.
참고
지구의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