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에서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사회주택 임대아파트가 지어지고 있다. 코보드 제공
독일 중부 루르지역의 소도시 루넨에 무주택 서민을 위한 3D 프린팅 공공주택이 지어지고 있다. 이 아파트는 독일 최초의 공적 자금 지원 사회주택이자, 공공주택 보조금과 3D 프린팅 건축이 결합한 최초의 사례다. 최근 미 오레곤주에서 산불 이재민을 위한 3D프린팅 주택에 공적 자금이 지원된 사례는 있으나, 이번엔 일회성 자금이 아닌 정부 공공주택 정책자금이 정식으로 집행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3D 프린팅 건축이 사회주택 공급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가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주택이란 주택 불평등 해소를 목적으로 국가나 비영리단체가 공급하는 보급형 임대주택을 말한다.이 아파트는 지상 3층에 61~81㎡(18~24평) 크기의 6개 가구로 구성된다. 3개층을 모두 3D 프린팅 방식으로 짓는 건 아니다. 1층과 2층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건축하지만 최상층인 3층은 목재 하이브리드 공법을 이용한다.1, 2층 건축에 사용하는 3D 프린터는 덴마크 코펜하겐에 본사를 둔 3D 프린터 개발 업체 코보드의 대형 프린터 ‘보드2’다. 보드2가 프린팅할 수 있는 최대 크기는 폭은 14.62m, 높이는 8.54m다.회사 쪽은 이 프린터를 이용해 2개층의 벽체를 완성하는 데 100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3층 목재 바닥과 지붕을 추가하는 것과 창문 달기와 배선, 배관 등은 사람이 직접 작업한다.

3개층 중 1~2층은 3D프린팅으로, 3층은 목재 공법으로 짓는다. 코보드 제공
또 케냐에서는 맞춤형 건축이 가능한 3D 프린팅 주택 단지가 조성 중이고, 일본에서는 은퇴부부를 겨냥한 소형 3D 프린팅 주택이 시장에 나왔다. 3D 프린팅이 새로운 실용적 건축 방식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들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참고
2020년 바이에른 3층 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