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3주] 자녀 양육비 격차가 계층 격차 부른다 미래기상도
2017.01.23 08:41 곽노필 Edit
[1월3주] 부의 대물림은 곧 사회계층의 대물림으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그 이전에 자녀 성장과정 자체에서 계층의 대물림 기반이 쌓입니다. 자녀 양육에 들어가는 비용의 차이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한 조사 결과, 고교생의 한 달 양육비가 상위 10%는 187만원, 하위 10%는 26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층이동의 사다리를 다시 세우려면 똑같은 교육 기회를 부여하는 정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주의 칼럼]
미래 이미지
| 주간 뉴스
|
계속성장 (Continued Growth) |
|
붕괴 (Collapse) | |
지속가능 (Disciplined) |
|
변형사회 (Transformation) |
네 가지 대안미래는 선호하는 미래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거쳐가야 하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각각의 미래는 어떤 개념이며,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뭘까요?
1) 성장 : 정부와 공적 기구들이 갖고 있는 미래에 대한 공식 관점입니다. 이들 기구의 목적은 현재의 경제가 계속 성장할 수 있도록 사람과 제도와 기술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2) 붕괴 : 붕괴는 현재 시스템의 실패입니다. 내부에서 올 수도 있지만 운석 같은 외부의 침입이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붕괴 미래가 “나쁜 시나리오”로만 폄하돼선 안됩니다. 사람들은 오히려 극심한 생존경쟁의 종말을 환영합니다. 그리고 더 단순한 생활을 갈구합니다. 어떤 재난이든 승자와 패자가 있음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붕괴의 미래가 말해주는 한 가지는, 무슨 미래를 찾아내든 그것을 향해 움직이고 준비함으로써 그 미래에 성공하고 즐기는 방법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3) 지속가능 : 사람들이 계속성장이 바람직하지 않거나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느낄 때 부상하는 미래입니다. 지속가능사회에선 일련의 근본적 가치들 쪽으로 우리의 삶을 옮겨놓아야 합니다. 부와 소비보다는 삶에서 좀더 깊은 목적을 찾습니다.
4) 변형 사회 : 기술이 사회를 변형시키는 힘에 무게중심을 둡니다. 특히 로봇공학과 인공지능, 유전공학, 나노테크놀로지, 우주 시대, 그리고 정보사회 이후의 드림소사이어티 출현에 주목합니다. 현재의 인류가 포스트휴먼 형태로 변화하는 것도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