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쌘 사냥꾼 흰눈썹울새…‘위풍당당’ 호랑이 안 부럽네
4~5월 우리나라 통과하는 희귀 나그네새 재빠른 사냥 실력으로 땅에서도 자신만만 흰눈썹울새는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극히 만나기 힘든 희귀 조류다. 우리나라가 번식지나 월동지가 아닌 새가 어쩌다 들르는 일이 있다. 이런 반가운 손님을 나그네새라고 부른다. 흰눈썹울새는 나그네새 가운데도 극히 만나기 힘든 희귀 새인데, 운 좋게 관찰 기회가 왔다. 지금까지 단 세 차례 2018년 성조 수컷, 2020년 성조 수컷, 2022년 성조 암컷을 만났다. 그런데 지난 5월10일 전북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에서 어린 수컷을 만났다. 흰눈썹울새는 암컷과 어린새를 만...
뿔논병아리 부부의 데칼코마니 같은 사랑
왕관 같은 장식 깃과 우아한 구애 춤, 선물 공세 겨울 철새이다 2000년대 이후 텃새로 자리 잡아 사랑이 무르익었다. 벚꽃이 필 무렵이면 잉어가 알을 낳고 여름 철새들이 모습을 드러낸다. 새들의 짝짓기도 어김없이 시작된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지역에 있는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물의 정원’에서 뿔논병아리의 번식이 시작되었다. 새 조(鳥)와 편안할 안(安)을 쓰는 조안면은 산과 물이 잘 어우러져 새들이 좋아하는 환경을 두루 갖췄다. 번식깃으로 장식한 뿔논병아리의 모습이 중세 유럽의 둥글게 목에 두른 옷깃을 떠오르게 한다. 북한강 수변 공간의...
눈에 ‘불 켜고’ 무얼 찾나, 세계 1천 마리 희귀 오리
붉은가슴흰죽지 수컷 2마리 관찰…한 번에 5마리 이상 기록 없어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수 급속히 줄어, 국내에도 멸종위기 2급 조용하고 조심스런 성격…수컷끼리 꼭 붙어 다녀 붉은가슴흰죽지는 세계적 멸종위기종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연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새로 지정됐다. 수컷의 흰 홍채가 눈길을 끈다. 오리는 흔한 겨울철새이지만 한 번에 5마리 이상 관찰된 적이 없는 희귀한 종도 있다. 붉은가슴흰죽지는 그런 귀한 오리다. 팔당댐 인근에서 겨울나기를 하던 붉은가슴흰죽지 수컷 2마리가 얼음이 풀리자 3월 초 남양주시 조안면 물의 정원 인근...
월동하러 한국 온 ‘귀한 손님’…멸종위기 1급 호사비오리
세계 5천 마리, 우리나라 100마리 월동, 멸종위기 1급 희귀종 강과 여울 물속에서 톱니 부리로 물고기와 개구리 사냥 멋진 댕기와 비늘 무늬가 화사한 호사비오리, 충주호서 관찰 멋진 댕기와 비늘 무늬가 특징인 호사비오리 수컷. 황새, 두루미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된 새 16종 가운데 하나다. 호사비오리 암컷. 백두산, 연해주 등의 원시림 지대에서 번식하는 이 오리는 경계심이 매우 강하다. 지난달 이른 새벽 호사비오리를 관찰하기 위해 충주호를 찾았다. 날이 밝기 전에 위장막을 설치하고 호사비오리가 나타나길 기다렸다. 흰뺨...
‘진객’ 초원수리, 기러기 잡으러 6000㎞ 날아 강화도 왔다
사진가 등쌀에 전망 횃대 옮기고 부상 다리 불편해도 쇠기러기 이동통로 사냥기회, 사체 먹을 기회 놓칠라 3년째 목격…중앙아 초원 상징 맹금류 언제까지 볼까 초원수리는 겨울에 드물게 우리나라를 찾는 나그네새이다. 강화 교동도에서 만났다. 소나무 위는 교동도 고구 저수지와 화개산 자락의 평야가 훤히 보이는 초원수리의 지정석이었다. 카자흐스탄 국기에 모습을 올릴 만큼 중앙아시아 초원을 상징하는 맹금류 초원수리가 3년째 강화 교동도를 찾았다. 번식지로 북상하는 기러기떼를 사냥하기 위해서다. 중앙아시아에서 6000㎞를 날아온 초원수리는 수리 중 유일하게...
흔하던 텃새였는데…외로운 뿔종다리가 내게 온 이유
흔하던 텃새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전락 보리밭 사라지고 초지와 농경지 감소 탓 멋진 댕기 깃, 언제까지 볼 수 있을까 댕기 깃이 도드라지는 텃새 뿔종다리. 보리밭과 함께 흔했던 새이지만 현재 멸종위기종 2급이다. 뿔종다리와 종다리는 어릴 적 흔한 텃새였다. 옛날에는 보리를 많이 심어 보리밭이 종다리의 터전이었다. 번식 시기가 되면 보리밭 하늘 위를 오르며 지저귀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렸다. 특히 한강하구의 넓은 하천 둔치와 모래흙은 뿔종다리 번식지로 적합했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변화가 시작되었다. 텃새인 종다리. 뿔종다리와 다르게 머리 깃이 짧...
굵은 목, 묵직한 다리…교동도 터줏대감 흰죽지수리의 무기
6년 관찰 어린 개체가 벌써 성체로 흰꼬리수리 무리와 까치 텃세 이기고 예성강과 교동 평야 날아든 기러기 노려 평야를 조망하던 지정석 나무에서 날아오르는 흰죽지수리. 토시처럼 깃털로 덮인 두툼한 다리와 굵은 목을 지닌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의 맹금류이다. 2017년 강화도 교동도 수정산에서 어린 흰죽지수리를 처음 만난 지 올해로 6년째를 맞았다. 이 멋진 새를 관찰하려고 교동도를 구석구석 찾아다녔던 기억이 생생하다. 살을 에는 추위와의 싸움도 힘들었지만 사람들의 교란 행위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강화 북서부의 교동도는 동쪽으로 바다를 건너면...
새끼 데리고 2000㎞ 날아와 ‘약속’ 지킨 재두루미 부부
겨울 진객’ 재두루미 6마리, 김포 홍도평야 찾아 벼와 볏짚까지 모두 수확이 끝난 논바닥에 앉은 재두루미.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보호종이다. 겨울을 알리는 진객 재두루미가 경기도 김포시 홍도평야에 찾아왔다. 한강 하구 주변에 있는 너른 농경지는 재두루미의 주요 도래지이다. 그러나 농경지 매립 등 급격한 환경 변화로 마지막 월동이 올해가 될지, 내년이 될지 모르는 상황이기에 이들의 방문이 더욱 반갑다. 어미 곁에서 잠시도 떠나지 않는 재두루미 새끼(왼쪽). 눈 주변에 붉은 피부가 아직 생기지 않았다. 새끼를 보호하려 사방을 경계하는 재두루미 부...
작고 외롭지만 당당하게…대륙 넘나드는 여행가, 넓적부리도요
세계 200쌍만 남은 최고 멸종위기 소형 도요 러시아 툰드라 번식, 서해 거쳐 동남아 월동 주걱 모양 부리 흔들며 앙증맞은 먹이활동 금강 하구 유부도에서 만난 넓적부리도요.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멸종위기에 놓인 새이자 국내에서도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돼 있다. 주걱 모양의 부리가 특이하다. 지난 10월 11일 검은머리물떼새의 천국인 충남 서천군 장항읍 송림리 유부도를 9년 만에 찾았다. 지구에 360~600개체만 생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넓적부리도요를 관찰하기 위해서다. 파도 위를 무리 지어 나는 검은머리물떼새. 멸종위...
밀렵꾼들 도망치듯 떠난 자리, 산새 1000여마리 깃털만 남았다
경기 남양주 야산서, 새 잡이 전문 밀렵꾼 소행 추정 구덩이에 1천여 마리 분량 꼬까참새, 멧새, 촉새, 방울새 깃털 그물에 걸린 쑥새. 겨울을 나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는 대표적 멧새과 산새의 하나로 봄철에 아름다운 소리로 노래한다. 21일 사단법인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경기도 남양주시 지회에 대규모 밀렵현장을 발견했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한강 변에 숲과 덤불이 우거진 경기도 남양주시 삼패동 산 40번지 일대의 산에 새 그물과 새를 유인하기 위한 시설이 곳곳에 설치돼 있고, 산새를 잡아 벗겨낸 것으로 보이는 새털이 무더기로 발견됐다는 내용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