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컴퓨터와 의사의 전쟁, 승자는?

의사 영역에 도전하는 슈퍼컴퓨터 왓슨 일거수일투족 기록하는 무수한 센서들 컴퓨터와 의사의 전쟁이 시작된다. 승자는 누구일까? 세계적 컴퓨터업체인 IBM이 최근 인공지능 슈퍼컴퓨터 왓슨을 이용한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왓슨그룹’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사업본부를 출범시켰다. 뉴욕에 사무실을 둔 이 본부에서 일하는 사람은 모두 2000여명. 왓슨 컴퓨터는 2011년 미국 유명 퀴즈프로에서 인간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해 유명세를 탄 바 있다. 아이비엠이 계획하고 있는 왓슨의 주된 이용 분야 가운데 하나가 의료분야다. 아이비엠은 미국의 대형병원...

» More

[건강] 위암 원인은 숙주와 세균 궁합 안맞기 때문

미 연구진, 남미 콜롬비아 주민 대상 연구 결과 16세기 유럽이주민 정착지역 위암 발병률 높아 조상에서 받은 헬리코박터와의 부조화 때문인듯 위암이 발생하는 것은 인간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균의 궁합이 안 맞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미 안데스산맥 고지대에 있는 콜롬비아의 투케레스는 세계적으로 위암 발병률이 가장 높은 곳 중 하나다. 인구 10만명당 150명꼴로 위암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이곳에서 200km 떨어져 있는 해안도시 투마코의 위암 발병률은 10만명당 6명에 불과하다. 과학자들은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 “...

» More

[지구] 1천년후, 1만년후, 100만년후, 1000만년후…

1천년 후부터 10해년 후까지 BBC가 만든 먼미래 인포그래픽 연말연시가 되면 각종 예측서들이 쏟아져 나온다. 가깝게는 그해의 예측에서부터 멀게는 수십년 후에 대한 예측까지 포함돼 있다. 영국 <BBC> 인터넷판이 2014년을 맞아 미래예측 자료들을 모아 흥미로운 인포그래픽을 만들어 내놨다. 1000년 이후 먼미래에 대한 기존 예측들을 모아 만든 이 인포그래픽에는 향후 1천년부터 십해년(100경년의 100배)에 이르는 예측들이 들어 있다. 5백만년 후 인류가 멸종하고 6억년 후엔 광합성이 중단되고, 110조년 후엔 모든 별들의 소멸에 이른다고 한다. 아무리 과학적...

» More

정부가 대비해야 할 메가트렌드 9가지

KPMG `미래국가 2030' 보고서 발표 정부가 대비해야 할 메가트렌드 9가지 소개 세계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기술 발달에 따라 멀리 있는 사람들간의 네트워크가 긴밀해지고, 기존 가정 시스템은 무너지고 있다. 한 지역에서 일어난 사건이 지구 반대편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명실상부한 지구촌 세계가 됐다. 그러나 각국의 정부는 증가하는 공공부채에 눌려 활동이 점점 위축돼가고 있다. 더구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기상이변이 갈수록 잦아지고 그 강도는 거세지고 있다. 국제 컨설팅업체인 KPMG가 각국 정부들이 앞으로 맞닥뜨려야 할 메...

» More

[경제] 2017년 e폐기물, 피라미드 11기분

전자기기 폐기물, 2017년 6540만톤 투입 1위는 중국, 폐기 1위는 미국   냉장고나 TV, 휴대전화, PC, 모니터, 전자완구 등 각종 전자기기 폐기물이 2017년 전세계적으로 6540만톤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2012년에 비해 33% 증가한 것으로, 이를 40톤 트럭에 쌓아 늘어놓을 경우 지구 적도 길이의 4분의3에 상당하는 규모라고 한다. 이집트 피라미드로 따지면 11기분에 해당한다고 한다. StEP(Solving the E-Waste Problem Initiative : 전자폐기물 문제 해결 이니셔티브)는 세계 전체에서 폐기되는 전자기기의 총 중량이 2017년까지 2012년에 ...

» More

[1월2주] 국정교과서 부활론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데이터 박사의 제자...

» More

'2030 한국 시나리오' 저자에게 듣는다

한국의 미래학자 중에서는 처음으로 종합적인 미래 한국 시나리오를 완성한 손현주 박사와 서면으로 주고 받은 일문일답입니다. 지면에 실리지 않은 것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건 불가능, 그래서 시나리오가 유효 1. 2030한국 시나리오를 논문 주제로 잡으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미래학의 가장 중요한 대전제는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인데, 이 전제에 가장 적합한 미래기법은 시나리오입니다. 그래서 미래학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들은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미래와 그 대안미래들이 갖는 함의를 도출할 수 있는 분...

» More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