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뱀로봇과 헬리콥터를 결합한 수색구조로봇
![]()
미국 펜실베이니아대(UPenn) 모듈형 로봇공학 연구실(ModLab)이 2개의 뱀 로봇과 1개의 쿼드콥터를 결합한 수색구조로봇을 시연하였다. 좁은 공간과 복잡한 장애물에서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수색구조로봇 하면 보통 강한 힘으로 거친 지형을 밀고 나아가는 것을 연상하지만, 이런 로봇은 구석구석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과학기술잡지 <사이언스 뉴스>(Science News)가 전했다. 연구진은 “많은 탐사, 구조, 지도 작성 작업 등은 쿼드콥터(quadcopter: 프로펠러가 4개인 헬기)를 위한 공기 흐름이나 궤도 공간이 없는 상황에서 수...
[진화] 코주부 공룡은 왜 큰 코를 갖게 됐나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와 브리검영대의 고생물학자들이 최근 유타주에서 큰 코를 가진 하드로사우르스(Hadrosau)계열의 새로운 공룡 ‘리노렉스 콘드루푸스’ (Rhinorex condrupus)를 발견했다. 이 공룡은 백악기 후반인 약 7500만년전에 살았다. ‘왕코’라는 뜻의 리노렉스는 초식공룡으로 백악기에 살았던 다른 하드로사우루스인 파라사우롤로푸스 (Parasaurolophus)와 에드몬토사우루스 (Edmmontosaurus)의 사촌격이다. 하드로사우루스는 보통 두개골에서 뻗어내린 단단한 볏(crest)을 갖고 있다. 에드몬토사우루스는 이러한 단단한 볏을 갖고 있지 않다 (고생물학자들은 대신에 ...
[10월1주] 자유당시절 이강석이 부활했나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데이터 박사의 제자...
[자동차] 미래여행을 둘러싼 6가지 상상
![]()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에 선보인 기발한 아이디어들 세계적인 디자인 경연장인 ‘2014 런던 디자인 페스티벌’이 9월 13~21일 열렸습니다. 이 행사는 런던이 `세계 디자인 수도' '세계 창의성의 관문'을 내걸고 지난 2003년부터 매년 9월 대대적으로 열고 있는 행사입니다. 이제는 런던의 명물 구경거리가 돼서, 요즘에는 런던을 가려면 9월에 가라는 말까지 생겼다는군요. 열두번째로 열린 올해 행사 중 눈길을 끈 것 가운데 '미래의 여행'을 주제로 6명의 젊은 디자이너들이 내놓은 작품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디자인 전문 매거진 <디진>(Dezeen)과 BMW의 자동...
[항공] 드론 무인배달 서비스 시동
![]()
DHL, 북해 섬에서 세계 첫 드론배달 시작 지상 50미터 높이로 12킬로미터 거리 날아 국제적인 물류배송업체인 독일의 DHL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29일(현지시간)부터 무인기(드론) 배달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애초 25일에 첫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현지 기상 악화로 연기했다. ‘파슬콥터(parcelcopter)’라는 이름의 드론을 통해 약품을 비롯한 긴급구호품 배달에 나선 것이다. 파슬콥터는 ‘소포’(Parcel)와 ‘헬리콥터’(Helicopter)의 합성어. 배달지는 독일 북쪽 해안 노르트다이흐(Norddeich)에서 12km 떨어져 있는 북해의 독일령 위스트(Juist)섬이...
[9월4주] 판결 보수화가 가져올 미래는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데이터 박사의 제자...
[생명] 침팬지는 왜 목숨을 걸고 싸울까
![]()
살아남기 위한 것인가 인간 위협에 대한 반응인가 컴퓨터모델 분석 결과 환경 적응 전략 결과로 판명 1970년대에 유행했던 반전가요의 가사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전쟁에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천만에, 전쟁은 아무짝에도 쓸모 없다.” 많은 이들은 이 가사에 심정적으로 공감을 느낄 것이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동물연구 결과에 의하면, “침팬지의 치명적 공격(lethal aggression)은 승자에게 먹이, 배우자, 유전자전달의 기회를 몰아준다는 면에서, 진화적 이점(evolutionary benefit)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침팬지는 인간활동으...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