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4주] 1인가구 600만 돌파...전체의 30% 미래기상도
2020.06.27 09:04 곽노필 Edit
[6월4주] 1인가구가 지난해 600만가구를 넘어섰습니다. 전체 가구의 30%에 이른 것인데요. 1인가구의 40%는 무직자입니다. 결혼 연령이 갈수록 높아지고 사별하거나 이혼한 고령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주된 원인입니다.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도 또다른 주된 원인이죠.
3년 동안 서울 아파트값 상승으로 생긴 불로소득이 493조원에 달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중위값은 문재인 정부 출범 시점인 2017년 5월 6억600만원에서 지난 5월 9억2000만원으로 52% 급등했다는 것인데요. 중위 가격 상승폭(3억1400만원)과 서울 평균 아파트 수(약 160만채)를 감안할 경우, 지난 3년 동안 아파트값 상승으로 생긴 불로소득이 493조원에 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공공보유 토지는 건물만 분양하거나 공공주택을 확대하는 등 집값 거품을 제거하는 특단의 조처를 촉구했습니다.
7대 변화동력으로 본 미래기상도
구분 | 성장 | 붕괴 | 지속가능 | 변형 |
인구 | 1인가구 600만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50647.html
|
| ||
경제 | 집값 불로소득 3년새 493조원 http://www.hani.co.kr/arti/economy/property/950596.html
| 육아기 재택근무제 포스코 국내 첫 도입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50731.html
| ||
문화 |
|
| ||
환경 |
|
| ||
거버넌스 |
|
| ||
에너지 |
|
| ||
기술 |
|
|
|
곽노필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nopil@hani.co.kr
페이스북 페이지 '미래가 궁금해'
트위터 '곽노필의 미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