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하와이, 2045년 화석연료 퇴출 에너지식량

hawaii.jpg » 하와이주의 오아후섬 전경. http://www.utilitydive.com/news/hawaii-legislature-sets-100-renewable-portfolio-standard-by-2045/394804/#.VUzT23_umco.twitter

 

전력의 90%를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는 미국 하와이주가 재생가능 에너지 확대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재생가능 에너지 비율을 2030년까지 70%, 2045년까지100%를 달성하는 법안을 만들었다. 주 의회는 최근 이 법안을 통과시켰다.
하와이 주의 전력원 구성을 보면, 2012년 현재 석유가 70% 이상이며 석탄도 15%에 달한다. 재생가능 에너지는 13.7%다. 이 재생가능 에너지 비율이 2013년에 단번에 18.0%로 높아졌다. 특히 풍력과 태양광 발전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2008년에 시작한 ‘하와이 클린 에너지 이니셔티브’에 따른 것이다.

hawaii5_sj.jpg » 하와이 주의 전원 구성(2012년의 발전량)(오른쪽에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석유, 석탄, 바이오매스, 지열, 수력, 태양광, 풍력, 그 외) . itmedia.co.jp

 

하와이주가 재생가능 에너지 확대에 열심인 것은 지구 온난화 대책 외에 하와이주만의 독특한 이유 2가지 때문이다. 첫번째는 자동차를 포함해 연료의 주력인 석유가 수입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과 경제가 석유 가격에 따라 크게 출렁거린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유는 전기요금이 미 본토의 3배 이상이라는 점이다. 2014년 현재 전력 1kWh당 평균 가격은 34센트(약 360원)에 이르렀다.

hawaii3_sj.jpg » 하와이 주의 재생 가능 에너지에 의한 발전량(왼쪽부터 바이오매스, 지열, 태양광(상업용), 수력, 풍력, 바이오 연료, 태양광(분산형).

 

하와이주 당국의 계산을 보면, 2030년 재생가능 에너지 비율을 70%로 높이면 석유 수입을 연간 51억달러(약 6조1000억 원)어치 줄일 수 있다. 석유 소비 감축을 위해 전기차 보급도 늘려 2030년에는 자동차의 석유 소비량을 70% 삭감하는 목표도 설정했다.
다만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가능 에너지는 날씨에 따라 전력 공급이 불안정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막기 위해 하와이주는 최첨단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다.

hawaii2_sj.jpg » 하와이 주의 주된 재생 가능 에너지 도입 프로젝트.

 

마우이섬에 에너지 수급 상황을 감시하는 컨트롤센터를 설치하고 전기차에 충·방전를 통해 전력을 안정시키는 시도라고 한다. 150~200대의 전기차가 실증에 참가하고 섬 내에서 가동 중인 72MW의 풍력 발전의 출력 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프로젝트와 함께 마우이섬과 오아후섬 사이를 해저 케이블로 이어 전력을 오가게 하는 계획도 진행 중이라고 한다.
 
 

 

hawaii4_sj.jpg » 마우이섬에서의 일미 공동의 스마트 그리드 실증 사업.


출처
http://mirian.kisti.re.kr/futuremonitor/view.jsp?record_no=256260&cont_cd=GT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5-14 
원문 
http://www.itmedia.co.jp/smartjapan/articles/1505/12/news023.html
http://www.utilitydive.com/news/hawaii-legislature-sets-100-renewable-portfolio-standard-by-2045/394804/#.VUzT23_umco.twitter
 
http://solarenergy.net/News/hawaii-is-about-to-set-a-goal-to-use-100-renewable-energy-by-2045/ 
 


곽노필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nopil@hani.co.kr
페이스북 페이지 '미래가 궁금해'
트위터 '곽노필의 미래창'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