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4주] 군주 코스프레 통치는 무엇을 남길까 미래기상도
2013.11.24 11:44 곽노필 Edit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데이터 박사의 제자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래연구센터 박성원 박사가 권하는 미래마인드 훈련 방법이기도 합니다.
[11월4주] 박근혜 대통령의 첫 정기국회 시정연설에서도 아버지 박정희의 그림자는 여전했습니다. 한인섭 서울대 법학대학원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시정연설에 ‘한강의 기적’, ‘열사의 사막’ 등 40~30년 전 단어가 재생되고 있다. 그냥 박정희 2세라고 하는 게 정확하겠다.” 심리학자 황상민 교수는 한겨레 토요판에 실린 인터뷰에서 아버지의 그림자를 뒤따라가는 박근혜 대통령을 이렇게 분석했군요. "(그의 심리를 나타내는 키워드는) 한이다. 촛불 앞에 둔 무녀라는 느낌이다. 세상에 살고 있으나 세상에 속하지 않는 인물. 우리 국민은 여왕을 선출한 거다." 대통령이 아닌 군주의 의식을 갖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이런 사람이 앞으로 할 일은 `코스프레'라네요. 그것도 아주 우아한 코스프레. 5년의 군주 코스프레 통치는 2018년 한국 사회에 무엇을 남겨 놓을까요.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