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 단일종에서 나왔다? 생명건강

 18skull-articleInline.jpg » 조지아공화국 드미니시에서 2005년에 발굴된 180만년 전의 `두개골5'. 조지아국립박물관.

초기인류는 모두 '호모 에렉투스'일 가능성

180만년 전 초기인류 두개골 화석 분석

스위스 인류학자들 8년 연구 결과 발표

 

지금까지 발견된 세 가지 다른 종류의 초기인류(호미닌)는 아마도 하나의 종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주장은 조지아 드마니시(Dmanisi)에서 발견한 180만년 전 두개골 5개에 대한 8년간의 해부학적 연구결과에 기반한 것이다.
 스위스 취리히의 인류학연구소 연구진은 이 두개골들(일명 ‘두개골5’)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다양성으로 보아, 지금까지 전세계를 통해서 같은 시대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호모 하빌리스 (Homo habilis)와 호모 루돌펜시스(Homo rudolfensis) 및 호모 에렉투스 (Homo erectus)는 단일 생물종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사이언스> 10월17일자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에서 다룬 두개골 화석은 2005년에 발굴된 것이다. 발굴이 이루어지기 5년 전 2미터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턱뼈와 이 화석을 결합했을 때 “이것은 지금까지 가장 완벽한 성인의 두개골이었다”고 연구팀 일원인 마르샤 퐁스 드 레옹은 말했다. 이 두개골의 용적은 546㎤로 현생인류의 1/3 크기다. 부피가 이렇게 작음에도 이 초기인류의 얼굴은 상대적으로 컸으며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 다른 두개골보다 더 많이 튀어 나온 형태였다. 이 발굴지역은 호모 에렉투스의 발굴장소로 여겨지는 곳이다.
subSKULL-REFER-articleLarge.jpg » 두개골5의 발굴 당시 모습. 조지아국립박물관.

 

같은 지역, 같은 시기의 두개골들이 다른 종일 수 있나

 

 한 지역에서 다섯 개의 두개골이 발굴된 것은 전례 없는 일이며 이는 단일 인구로 생각되는 사람들의 다양성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라고 공동저자인 크리스토프 졸리코퍼는 주장했다. 이들 두개골은 2만년에 걸친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콜리코퍼는 “드마니시에서 발굴된 두개골들은 서로 상당히 달라 보인다. 그래서 각기 다른 생물종이라고 발표하고 싶은 유혹이 있었다. 하지만 이것들은 같은 지역에서, 같은 지질학적 시기의 지층에서 발굴됐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이들은 단일 인구의 단일 생물종이다”라고 말했다.
 두개골5의 용적은 드마니시 지역에서 발굴된 가장 큰 두개골의 용적의 75%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는 현생인류에서 나타나는 다양성의 범위 안에서 볼 수 있으며, 침팬지의 다양성 범위도 마찬가지라고 졸리코퍼는 주장했다. 이러한 다양성은 또 동시대에 살았던 전세계의 모든 초기인류의 다양성의 범위 안에 들어가기도 한다고 졸리코퍼는 말했다.
 만일 180만년 전 지구에 살았던 세 가지 초기인류가 하나의 종으로 모아진다면, 호모 하빌리스와 호모 루돌펜시스는 호모 에렉투스의 일부가 된다. 드마니시에서 발굴된 두개골들의 유사성은 모두 호모 에렉투스에 속하기 때문이라고 졸리코퍼는 말했다.
 

"두개골 용적으론 과학적 근거 삼을 수 없다" 비판도

 

그러나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의 고생물학자인 프레드 스푸어는 아프리카에서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다양한 지역에서 살았던 세 인류가 모두 호모 에렉투스라는 이야기는 설득력이 없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가 두개골 용적에 대한 통계치 분석을 활용했는데, 이는 생물종 간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라고 그는 덧붙였다. 그보다는 두개부의 높이나 안와의 직경 같은 특징을 분석해야 한다는 게 그의 입장이다.  
18skull-map-articleInline.png » `두개골5'가 발굴된 조지아 드마니시의 위치. 수도 브릴리에서 약 80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출처
http://mirian.kisti.re.kr/futuremonitor/view.jsp?record_no=241784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3-10-22     
원문
http://www.nature.com/news/skull-suggests-three-early-human-species-were-one-1.13972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