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 헤비메탈 광팬들은 위험한 존재라고?> 기본 카테고리

<록, 헤비메탈 광팬들이 위험한 존재라고?>

아레사 프랭클린.jpg
아레사 프랭클린 한겨레 자료사진
아레사 프랭클린의 ‘리스펙트’ 동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6FOUqQt3Kg0

“남편 빌 클린턴이 생일선물로 사준 제 하얀색 아이팟에는 비틀즈와 롤링스톤즈의 노래들, 그리고 클래식, 모타운 음악들이 담겨있습니다. 비틀즈의 ‘헤이 주드’ 아레사 프랭클린의 ‘리스펙트’ 이글스의 ‘테이크 잇 투 더 리밋’ U2의 ‘뷰티풀 데이’ 등이 대표적인 노래들이죠”

내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유력 대선주자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는 힐러리 클린턴은 상원의원 시절 뉴욕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위와 같이 말했습니다.
 여기서 모타운 음악들이란 슈프림즈, 마빈 게이, 잭슨 파이브, 스티비 원더, 라이오넬 리치 등이 몸담았던 모타운 레코드사에서 발표한 음악들을 말하는 것인 데요. 모타운 레코드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소유한 최초의 레이블로서 미국 대중음악의 인종적 화합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힐러리는 이러한 모타운 음악을 아이팟에 저장해 듣는다고 말함으로써 흑인들의 표심을 자극한 것이었죠.    
 비틀즈의 ‘헤이 주드’는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좋아하는 노래라서,  아레사 프랭클린의 ‘리스펙트’는 페미니즘과 인종적 다양성에 대한 배려를 보여주기 위해서, U2의 ‘뷰티풀 데이’는 사회의식을 가진 젊은 세대를 의식해서, 가장 미국적인 사운드를 구현하는 밴드 이글즈의 ‘테이크 잇 투 더 리밋’은 평균적인 미국인들을 감안해서 택한 정치적 선곡목록이라는 분석도 있었습니다.  
 이렇듯 어떤 음악을 듣느냐 하는 것은 개인적인 취향을 넘어 개인의 성격과 사회적, 정치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아주 오래전부터 있어왔는 데요.
 특정한 옷을 입는 등 패션을 통해, 그리고 특정 술집을 가는 행위를 통해, 또 특정한 은어를 사용해 자신의 개성과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음악 스타일을 선택해 들음으로써 자신의 개성과 정체성을 나타낸다는 일상적 관념이 있어온 것이죠. 
 그렇게 드러난 음악적 정체성을 통해 종종 같은 음악취향을 가진 사람들끼리 뭉치는 ‘음악 부족’이 형성되어 사회적 정치적 행위를 하는 경우도 있었구요. 미국에서 1960~70년대 밥 딜런 등의 포크 음악을 공통분모로 하여 뭉친 사람들이 대규모 반전운동을 벌인 것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러한 음악취향과 개인의 성격간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밝혀보려고 한 연구 또한 계속해서 있어왔는 데요. 가장 근래의 것은 영국 헤리어트-와트 대학 응용심리학과 애드리언 노스 교수팀의  ‘음악취향에서의 개인적 차이점들’ 연구입니다.
노스 교수팀은 브리티쉬 아카데미의 재정지원을 통해 전세계 60개국 36000여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받아, 특정 음악 스타일과 그 음악 스타일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성격이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 지 알아보는 대규모 연구를 3년여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요.

음악취향과 성격 표.jpg

이러한 결과가 나오기까지 노스 교수팀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밟았습니다
우선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들은 영문으로 된 인터넷 설문을 통해 수집했는 데요.영국 헤리어트-와트 대학 웹사이트와 유럽, 뉴질랜드, 호주, 북아메리카 지역에 위치한 신문, 라디오를 통해 “음악취향에 대한 사상최대의 학문적 연구가 이뤄진다”는 광고를 내보내 설문에 응할 참가자들을 모았습니다.
 설문 모집 결과 세계 60개국 36000여명이 설문에 응했는 데, 그중 1336명의 응답은 유럽, 뉴질랜드, 호주, 북아메리카대상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응답이 아니었기 때문에 버려졌습니다. 또 자기의 출신국가와 나이를 밝히지 않은 66명의 응답도 채택하지 않았습니다.그리고 5명의 응답도 걸러졌는 데, 이들은 설문 응답자들이 믿을 만하게 응답했는 지 안했는지 판별하기 위해 설문 작성자들이 설문 항목에 올려놓은 가상의 음악 스타일 ‘팬캣’을 ‘모르는’ 음악 스타일이라고 응답하지 않은 사람들이었습니다, 한마디로 불성실하게 설문에 응답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라고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한 것이죠.  노스 교수팀은 설문 참여자들에게 104가지의 음악 스타일에 대해 좋아하는 지 싫어하는 지 0점(아주 싫어함)~10점(아주 좋아함) 사이에서 점수를 매기고 모르는 음악 스타일에 대해선 점수를 매기지 말고 ‘모름’을 택하라고 했는 데,  ‘팬캣’이라는 있지도 않은 허구의 음악 스타일에 대해 점수를 매긴 응답에 대해선 설문을 제대로 읽지 않고 답한 것이라고 보고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킨 것입니다.   
또 설문 응답자들의 IP주소를 파악하여 그들이 설문응답을 두 번했는지 하는 사항도 체크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최소 60%의 설문 응답자들이 알지 못한다고 한 51가지의 음악 스타일과 그에 대한 응답들은 통계 분석적 필요에 의해 분석용 데이터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온라인 설문이라고 하면 흔히 떠오르는 ‘날림식’ 설문 응답으로 인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엄격한 추려내기 과정을 통해 얻은 36518명의 설문 응답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죠.  
  노스 교수팀은 설문 참여자들에게 104개의 음악 스타일들에 대해 점수를 매기도록 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성격 유형에 대해 기술하도록 했는 데요. 여기서 성격유형은 심리학에서 인간의 성격을 분석하는 척도로 많이 쓰이는 ‘5가지 성격 요인’ 모형을 근거로 한 것들이었습니다. 정서적 안정성(neuroticism), 외향성(extraversion),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친화성(agreeable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를 토대로 자존감(self esteem), 창의성(creative), 외향성(outgoing), 일에 있어서의 근면성(hard working), 온화하고(gentle) 무던하냐(at ease) 여부를 문항으로 제시해 준 것이죠.
 ‘5가지 성격 요인’ 모형은 아래와 같은 질문항목 수십개를 제시해준 뒤 응답받은 결과를 토대로 판단한다고 하는 데요.  

나는 내 자신을 어떠한 사람이라 생각한다
1. 말이 많다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아주 그렇다

2. 독창적이어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샘솟는다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아주 그렇다

3. 많은 다른 것들에 호기심이 많다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아주 그렇다

4. 일을 철저히 한다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아주 그렇다

5.느긋하고 스트레스를 잘 관리한다
전혀 그렇지 않다 1 2 3 4 5 아주 그렇다

질문항목별로 “전혀 그렇지 않다”를 1점, “아주 그렇다”를 5점으로 하여 1~5점 사이의 점수를 택하게 하는 것이죠.
이러한 음악취향과 성격유형 사이의 상과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하다가 노스 교수팀은 뜻밖의 사실도 발견했는 데요. 그것은 바로 클래식 매니아들이 록, 헤비메탈 광팬들과 생각외로 성격유형을 많이 공유하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비록 클래식 매니아들의 연령대와 헤비메탈 광팬들의 연령대는 서로 달랐지만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해 노스 교수는 상당히 놀랐다고 밝혔습니다. 클래식 매니아들의 연령대는 상대적으로 높았고 헤비메탈 광팬들의 연령대는 상대적으로 젊었습니다. 하지만 둘다 드라마틱하고 극적이며 웅장한 음악의 애호가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스틸하트.jpg
스틸하트  한겨레 자료사진
개그맨 이윤석, 김진수가 만든 개그팀 ‘허리케인 블루’가 립싱크 했던 스틸하트의 ‘쉬즈곤’ 원곡 동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ICJs1CxCRt0

보통 헤비메탈 광팬이라고 하면 왠지 자살이라도 할 것처럼 우울해 있거나 자기 자신과 사회에 위험한 존재로 여기는 편견이 많은 데 실제로 이들은 창의적이고 무던한 성격 유형들이 많았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국민약골로 불리는 개그맨 이윤석씨도 굉장한 헤비메탈 매니아로 알려져 있죠. 그는 한 텔레비전 코너에서 헤비메탈을 립싱크하면서 헤드뱅잉을 비롯한 광란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기도 했었는 데요. 실제로 그의 성격은 여리기도 하지만 개그맨 특유의 창의성과 함께 무던한 성격으로 좋은 대인관계를 가진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아시아 이외의 지역을 대상으로 영어 설문을 통해 이뤄진 노스 교수의 연구결과가 한국 사람의 성격 유형에도 딱 맞아떨어진 경우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위에서처럼 성격유형들은 음악 스타일에 대한 취향과 분명히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나이, 성별, 소득수준은 상대적으로 더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연령대는 음악 스타일을 선택하는 데 있어 가장 강력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헤비메탈은 젊을수록 클래식은 나이가 들수록 더 선호한다는 것이죠. 성별로 따져보면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조금 더 부드러운 음악 스타일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또 소득수준과 재즈, 클래식의 선호도는 비례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음악 스타일의 선택에 있어 성격유형이 갖는 상관관계의 정도가 나이, 성별, 소득수준이 갖는 상관관계의 정도에 비해 조금 적다고는 해도 통계적으로나 여러 면에서나 충분히 의미가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노스 교수팀은 밝히고 있습니다.
다양한 음악을 좋아하는 다양한 성격의 여러분들은 어떤 생각들이십니까? 
“인간은 일생동안 계속해서 성격을 형성해 나간다, 만약 인간이 자기자신을 완벽하게 알게 된다면, 그것은 죽음을 의미한다”고 말한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이자 노벨문학상 수상 소설가 알베르 까뮈의 말에서 어쩌면 그 답에 대한 힌트를 찾을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Lea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