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시대의 대물림은 이제 그만

할 일이 많은 가을인데.

도저히.

가만히 있을 수 없어 글을 씁니다.


내가 살고 있는 시대가

지금 어디인가 헷갈려

설거지하다가도 머리를 흔들어

정신차리려 애쓰는 요며칠.

큰아이가 스마트폰에 코를 박고 있는 걸 보니

2016년이 맞긴 한가 봅니다.


한국인으로 태어나 살며

이런일 저런일 참 많이도 보고 겪으며

지금까지 겨우겨우 살아왔는데

이번엔...

정말

모욕적이란 느낌밖에 들지 않네요.


지금 드러나고 있는 일들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겠지요.

이 나쁜 시대를 회복하기 위해

우리는 또 젖먹던 힘까지 끌어내어

살아가야 할 겁니다.

10년이 걸릴지, 20년이 걸릴지 모르지요.


그 사이,

우리 아이들이 자라 어른이 되면

우리가 살던 시대가 남긴 빚을

또 떠안고 살아가게 될텐데...

그 누구보다

아이들에게 너무 미안해서 가슴이 아프네요.


대통령부터

문화권력의 자리에 앉아 제멋대로 살아온

많은 이들까지, 그들이 만들어낸

이 원시적인 사회구조 속으로

아이들을 내보내야 할 날이

몇 년 남지 않았습니다.


열심히 살려고 노력한 죄 밖에 없는 우리지만,

그래도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한방울 남은 힘이라도 쥐어짜봐야 하지 않을까요.

가슴이 너무 답답한데

이 마음을 어떻게 풀어내야 할지 몰라

선배 엄마의 글로 대신해 봅니다.


우리 사는 것이 그렇잖아요.

때로 너무 서걱거리고 얄팍해서

'거기 있다'고 믿었던 사람도 손을 내밀면 거기에 없고,

열 명이 춥다고 떠들어대면

한 명 정도 미적미적 엉덩이를 털고 일어나 창문을 닫지요.

그래서 그 서걱거림과 얄팍함, 무거운 엉덩이의 경험치에 기대어

세상을 향한 문을 적당히 닫아두고,

그 닫힌 만큼 혹은 열린 만큼만 사무적으로 교류하지요.

그런데 이럴 수도 있네요.

거기 없다고 생각한 사람이 거기 있을 수가 있네요.

한 명이 춥다고 떠들어대니

아홉 명이 일어나 창문을 닫네요.

                    - <욕망이 멈추는 곳, 라오스> / 오소희   중에서 -




한 명이 춥다고 떠들면

단 세 명만이라도 일어나 창문을 닫아주는,

그런 사회를 아이들에게 물려줍시다.

나쁜 시대는 우리 세대에서 그만 끝냈으면...

더 나아지지 못한다해도

더 나빠지지 않게는 막아야 하지 않을까요.


따뜻하고 든든하게

아이들과 저녁

야무지게 챙겨먹고

좀 더 힘을 내야 겠어요!




Leave Comments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