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생생한 글쓰기

20 여년 전인 90년대만 해도, 우리나라 어린이 문학계에선

글쓰기가 아닌 '글짓기'라는 표현이 더 일반적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글이란

아름답고 근사한 말로 지어내는 것,

또 그런 글이어야 각종 글짓기대회에서 상을 받을 수 있다는게

통념이던 시대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아이들이 글이란 어려운 것, 억지로 꾸며내야 하는 것이란

고정관념을 갖게 되었고 어린이문학도 관념적인 틀을 벗어나지 못한

작품이 많았다.

이런 시류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것이

이오덕 선생님을 시작으로 한 우리말, 우리글 바로쓰기, 사실적인 글쓰기,

현실을 반영한 어린이문학 운동이었다.

관념적인 글짓기 문화에서 벗어나

아이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삶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살아있는 글쓰기' '지어내지 않고 있는 그대로 쓰기' 운동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20,30년동안 많은 분들의 노력과 어린이책 시장의 성장,

글쓰기 문화의 대중화가 서서히 정착된 지금은

'글짓기'라는 말은 이제 거의 자취를 감췄다.

저 푸른 들판에 양떼들이 뛰어놀고 ...

하는 식의 근본없는 관념주의의 동화나 어린이의 글도 많이 사라졌다.

하지만.

예전에 비해 훨씬 나아진 글쓰기 문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글쓰기를 힘들어하는 아이들이 많다.

왜 그런걸까.


어린이 독서교육과 글쓰기 교육을 처음 시작할 때,

교사가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있다.

바로, 책읽기와 글쓰기에 대해 아이들이 가진 선입견을 서서히 없애거나

줄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인데,

그만큼 우리나라 어린이들은, 아주 어린시절부터 독서와 글쓰기에 대해

여러 방식으로 강요 혹은 부담을 안고 자라기 때문이다.

0 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 에서 시작해야 하니,

0 까지 겨우 끌어올리기까지도 시간이 걸리고, 거기에 도달한 뒤에야

본격적인 시작을 할 수 있으니...


고학년으로 갈수록 이 부분을 교정하기가 참 어렵고 시간이 많이 든다.

저학년의 경우는, 좀 더 유연해서 쉽게 교정되기도 하고 변화가능성이 많긴 한데

자기만의 느낌과 생각을 자유롭게 술술 쓰는 아이들은 안타깝게도 그리 많지 않다.


어린이가 글을 즐겁고 잘 쓰기 위한 가장 좋은 조건은,

'글쓰기에 대해 아무런 선입견이 없는 상태'가 아닐까.


잘 써야 한다,

이렇게 쓰면 뭐라고 할까,

맞춤법, 띄어쓰기 틀리면 안돼,

귀찮다,

꼭 길게 써야 하나,


이런 식의 부담감이 없어야, 글을 편하게 시작할 수 있다.

잘 쓰든 못 쓰든, 일단 시작을 쉽고 편하게 해야 글이 자연스럽게 태어난다.

글쓰기에는 정말 다양한 방법이 많을텐데,

어린이 글쓰기에는 두 가지 정도만 잘 적용하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훨씬 생생한 글을 쓸 수 있다고 생각한다.


1. 형용사 없이 써 보기

2. 오감을 최대한 활용해서 쓰기


형용사 없이 쓰기는, 어른 글쓰기에도 흔히 드러나는데

좋은, 예쁜, 아름다운 등 흔히 쓰는 형용사를 써 버리면 자신의 감정이

그 한 낱말에 갇히게 되어 다른 표현을 덧붙이기가 어려워진다.

아이들이 일기에도

(오늘은) 재밌다, 즐겁다, 좋았다 라고 쓴 뒤에는

다른 말을 더 이상 쓰질 못하는 걸 자주 볼 수 있다.


실제 아이들의 글을 예로 들어보면,

공부가 늘 어려웠던 아이가 어느날, 100점을 받았을 때

"오늘 학교에서 기분이 좋았다."

라는 심심한 표현 대신,

"100점이라 적힌 시험지를 받고 돌아서는데

 교실 벽이 다 하늘색으로 보였다."

라고 썼다.

이건, 글쓰기 기술이라기보다

아이가 그 순간의 감정을 놓치지 않고 잘 붙잡는 것이 일상화되었기 때문이다.


글쓰기가 일상화되다 보면,

자기 주변의 움직임, 변화 등에 민감해지고

TV 화면의 자막이 뜨는 것처럼

눈 앞의 장면들에 어울리는 언어를

애써 찾지 않아도 자연히 떠오르는 경험을 하게 된다.

쓰지 않으면 금새 잊혀질 느낌, 생각들을

글로 써서 남기는 재미, 아이들이 이런 즐거움을 알게 되면

그 다음부터 글쓰기는 점점 쉬워지고 실력도 쑥쑥 늘어난다.


흔히 쓰는 형용사에 의존하지 않는 글쓰기와 함께,

오감을 살린 글쓰기는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 감각기관으로 받아들인 자극을

구체적으로 쓰는 훈련이다.

아이들은 어른보다 훨씬 감각이 예민해서 이런 글쓰기는 조금만 연습하면

금방 잘하게 된다.


아이유 노래의 작사로 유명한 '김이나' 작사가에게

어떤 아이돌 그룹의 멤버가 '모락모락 누나'라고 쓴 걸 보고 한참을 웃었던 기억이 난다.

오감을 동원해 이름을 해석한 언어적인 센스가 너무 귀엽다.

이해가 안되시는 분은 작사가의 이름을 소리내어 여러번 읽어보시길.^^


올해 봄, 여름에 걸쳐 논에 다니며 올챙이가 개구리로 자라나는 과정을 꾸준히 지켜본
초등3년 아들이 일기에 이런 이야기를 썼다.

"완전한 개구리가 되기 전에 꼬리가 아주 조금 남은 개구리가 있는데
 고등학생 개구리 같았다."

라고. 왜 고등학생 개구리야? 하고 물으니,
조금만 있으면 어른이 되니까 사람으로 치면, 고등학생이지? 그런다.
자기만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표현해 내는 힘을 기를 수 있는게 글쓰기다.
할수록 늘고 재밌고 자유로워진다.
멀리 가서 신기하거나 멋진 풍경을 보지 않아도,
내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 사람들을 잘 보는 것만으로도
매일매일 많은 것을 느끼고 깨달을 수 있다.
생생한 글쓰기는 거기서 시작된다.


%ED%81%AC%EA%B8%B0%EB%B3%80%ED%99%98_DSCN8178.JPG

더위에 지친 우리에게 주는 선물같은 요즘 가을 하늘.
구름을 주제로 한 동화의 한 장면인데, 어떤 이야기일지 그림만 보고 상상해 보시길.
아이들은 이런 그림 한 장면만으로도 각자 다양한 상상과 이야기를 풀어낸다.
동물 모양의 구름 속에 뭔가가 들쑥날쑥한데 저게 과연 뭘까요?

틀에 갇히지 말고 정답을 찾으려 하지 말고,
이 그림을 본 뒤
아이들이 맘껏 상상한 이야기 혹은 글을 댓글에서 함께 나눠보면 어떨까요??
독서도 좋지만 가을을 글쓰기의 계절로 만들어 봅시다.^^





Leave Comments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