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아이들에게 요리를 가르치기 가장 좋은 때
<추석 음식 준비를 돕는 딸아이의 모습.
곁에서 어른이 지켜보지 않으면 불안하던 6,7살 무렵의 왼쪽 사진에 비해
이제 혼자서 호박전을 부칠 만큼 진화(?)한 11살의 오른쪽 사진>
일본은 추석을 양력으로 지내는 탓에 한국과는 달리
이번주도 그냥 평범한 평일이라 명절 기분이 잘 나지 않는다.
한국에서 지내는 추석 날짜에 맞추려면 일하느라 다들 바쁘다 보니 조금 이르긴 하지만,
주말에 우리집에서 가깝게 지내는 한국인 가족과 추석 음식을 나눠먹기로 했다.
밥과 국, 고기, 생선, 잡채, 나물과 전 ...
늘 명절 상차림을 준비할 때마다 느끼는 건데 맛있게 만드는 것까진 욕심을 접더라도,
내 나라의 음식을 좀만 더 다양하게 여러가지 만들 수 있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아직 둘째가 어리니까, 내년엔 잘 안 만들던 새로운 음식도 시도해 봐야지,
하면서 다음으로 미루는데 막상 그때가 돌아오면, 또 '그 나물에 그 밥'이 되어버리고 만다.
한번씩 한국으로 친정나들이를 할 때, 이번에는 기필코 엄마께 00음식을 배워오겠어!
하고 마음먹고 갔다가 빠듯한 일정에 쫒겨서, 아이들 돌보느라 정신없다는 이유로
제대로 실현해 본 적이 없었다.
그러고 보니, 내 요리실력은 결혼 전까지 집에서 어른들 부엌일을 대충 도우면서 익힌 게 전부였다.
그 중에서도 그나마 열심히 익힐 수 있었던 시기는 대부분 명절 음식을 준비할 때였던 것 같다.
요리에 뒤숭한 사람의 손이라도 빌려야 할만큼,
한국의 명절 음식은 손이 많이 가고 준비해야 할 종류도 많기 때문이다.
결혼 이후 쭉 외국에서 살림을 살다보니,
어린 시절부터 명절 때마다 좀 더 확실하게, 제대로, 한국음식 만들기를 익혀두었다면
그게 살면서 큰 자산이 되었을텐데 하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해마다 주기적으로 돌아오니 반복해서 연습할 수 있는데다
어른들의 오랜 경험과 이야기를 들으며 일상적으로 자연스럽게 요리를 배울 수 있는 때가
바로 명절이다.
더구나, 명절 음식들은 한국이란 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요리가 모두 모여있으니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배워두면,
어른이 되어 세계 어디를 가서도 써먹을 수 있는 훌륭한 무기이자 자산이 될 뿐 아니라
한국 음식이 간절해 질 때, 스스로 원하는 대로 만들어 먹을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을까.
한국 음식의 문화가 얼마나 깊고 다양한데,
내가 만들어 먹이는 늘 똑같은 패턴의 음식이 한국음식의 전부라고 알고 있을
우리 아이들에게 무엇보다 참 미안한 마음이 들곤 했다.
그래서 올해부턴 명절에는 한국 음식을 하나씩 제대로 가르쳐 볼까 하고 마음먹었다.
딸이건 아들이건,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부엌일을 많이 하게 하긴 했지만
가장 쉬운 요리의 한 부분을 맡기거나 그것도 놀이에 가까운 적이 더 많았다.
채소를 다듬고 씻거나, 냄비에 재료를 넣고 볶거나 하는 식으로.
근데 큰아이가 이제 4학년이니, 쉬운 음식은 처음부터 끝까지 다 하게 해보기로 했다.
마침 아이가 좋아하는 손님이 올 예정이라 동기유발도 쉽게 되었다.
내가 잡채를 만드는 동안, 딸아이에게 맡긴 음식은 <호박전>.
쉽고 간단한 요리지만 혼자 여러가지 음식을 준비해야하는 엄마에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좀 지루한 메뉴라 아이에게 한번 맡겨보았다.
일정한 크기로 애호박을 썰고 - 밀가루와 달걀 옷을 입히고 - 달군 후라이팬에 굽기.
아이와 요리를 하며 늘 느끼는 거지만,
이 단순한 요리 하나에도 참 많은 감각훈련이 이루어진다는 생각이 새삼 들었다.
재료와 열이 만나는 순간 나는 소리와 서서히 익으면서 나는 냄새,
익으면서 색이 변하는 걸 지켜보며 적절한 타이밍에 전을 뒤집는 손동작,
그러면서 뜨거운 후라이팬에 손이 닿지 않도록 조심해야하니 집중력도 필요하고
적당한 온도에서 느긋하게 많은 양의 전을 구워야 하니, 인내심도 필요하고...
처음엔 좀 허둥지둥하다가 조금 하다보니 스스로 요령을 터득했는지
부엌 벽에 걸어둔 시디 플레이어에 지브리 에니메이션 주제곡을 모은 시디를 넣더니
BGM까지 여유있게 즐기며 호박전을 부치고 있었다.
헐~ 요즘 애들은 뭐든지 참 적응도 빨라요.
무엇보다 이 모든게 별 잔소리없이 가능해질 만큼, 아이가 자랐다는 게
새삼스러울 만치 신기하기도 하고 기특하기도 하고...
딸아이가 나중에 커서 어느 나라에서 생활하게 될지는 모르지만,
그곳이 한국이든 일본이든 또 다른 어떤 나라든
기본적인 한국 음식 정도는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익숙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기를 바래왔다.
이제 겨우 호박전 하나지만, 내년 초 설날에 또 한 가지 업뎃하고,
다음 추석에 또 하나 더, 그 다음 설날에도 ...
명절음식만들기는 어른들이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반복해서 배울 수 있다는 점, 생활과 밀착되어 있다는 점, 자국의 문화와 지혜를
가장 익숙한 사람들과 환경에서 익힐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요소가 너무 많은 기회인 것 같다.
한국 주부들에겐 명절 후유증과 폭풍부엌노동으로 힘든 시기일지도 모르지만,
나의 어린 시절을 해마다 정갈하고 풍성한 음식으로 둘러쌓일 수 있도록 해주신
할머니, 친정엄마, 큰엄마, 작은엄마, 고모, 이모 ...
모두모두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그 정성과 따뜻함이 저의 오랜 타향살이를 꿋꿋하게 버틸 수 있게 하는 힘이 되었습니다.
우리 아이들에게도 그 큰 사랑과 노동의 소중함, 잊지않고 가르치겠습니다.
11살 딸아이가 만든 호박전,
아직 어설프지만 열심히 하다보면 해마다 조금씩 나아지겠지요..^^


Setelah kalah empat kali dari lima pertandingan liga pertamanya sebagai pelatih Augsburg, Enrico Maassen berada di bawah tekanan besar untuk segera menghentikan kebusukan yang terjadi di klub. NobarTV Bola , Indeks Artikel Berita Bola , LIVESCORE Jadwal Bola & Hasil Pertandingan Liga Hari Ini Fuggerstadter sekali lagi ompong di kandang melawan Hertha Berlin terakhir kali, dengan upaya kecil mereka dari satu tembakan tepat sasaran keempat kalinya dalam lima pertandingan yang mereka uji dua kali atau lebih sedikit kepada penjaga gawang la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