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목숨 걸고 화성여행 신청한 20만명
미지의 세계를 향한 꿈이 자석이라면, 그 자석의 힘은 얼마나 강할까. 네덜란드의 괴짜 사업가 바스 란스도르프(Bas Lansdorp)가 추진하고 있는 화성 이주계획 ‘마스 원(Mars One)’에 전 세계 140개국에서 20만여명의 지원자들이 몰려들었다. 나라별로는 미국인이 약 24%로 가장 많고, 이어 인도인 10%, 중국인 6%, 브라질인 5% , 영국 캐나다 러시아 멕시코 각 4%, 필리핀 스페인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각 2%, 호주 프랑스 터키 칠레 우크라이나 페루 독일 이탈리아 폴란드 각 1% 순이라고 마스원 쪽은 밝혔다. 한국인도 있는지, 있다면 명몇인지는 알려지지 않...
[IT] 인터넷혁명은 가라, 데이터혁명 온다
"우리는 `데이터 시대' 속에 있다. 그것은 인터넷혁명을 초라하게 만들고, 사회 전부문을 바꿔놓을 것이다." 미 MIT 미디어랩의 휴먼다이나믹스그룹장이자 세계 최고의 데이터과학자인 알렉스 펜틀랜드(Alex Pentland) 교수가 이달 초 영국 런던 O2경기장에서 열린 테크놀로지주간 페스티벌 중 `캠퍼스파티 유럽' 행사에서 청중들에게 한 말이다. "지금 우리는 데이터시대로 가고 있으며, 여기에선 스마트폰, 태블릿 같은 모바일기기가 전달하는 정보들이 정부가 개개인의 필요에 좀더 잘 대응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런 기기들은 내가 어디서 무얼 하고...
[2030] 에어버스, 하이브리드 항공기 출시
에어버스 제작업체인 유럽항공방위우주산업(EADS)이 16일(현지시간) 하이브리드 항공기 출시 일정을 발표했습니다. 일명 ‘E-에어버스’로 불리는 이 항공기의 콘셉트 디자인은 지난 6월에 열린 파리에어쇼에서 공개된 바 있습니다. EADS가 밝힌 내용을 보면, E-에어버스는 2030년까지 좌석수 70~100석의 ‘E-에어버스’를 지역 운항용으로 출시한다는 구상입니다. 프로젝트를 맡고 있는 기술담당이사인 장 보티에 따르면 이-에어버스는 6개의 발전용 팬(날개)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가스전원장치(발전기에 연결된 가스터빈)가 6개의 팬과 에너지 저장소 재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
[3D 프린터] 집에서 만들어 먹는 슈퍼푸드
최근 `미래창'에 소개한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GE)의 2025년 주방 디자인 콘셉트 중에, 즉석에서 필요한 음식을 만들어주는 3D 프린터가 있었다. 현재 3D 프린터의 연구개발 속도를 보면 GE의 예상은 맞아떨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영국 런던에 있는 센트럴 마틴스 칼리지 오브 아트앤디자인의 박사과정 연구원 마린 사와가 연구하고 있는 바이오프린터 역시 미래의 주방에 오를 3D 프린터 후보가 될 만해 보인다. 디자이너이기도 한 그가 만들려 하는 것은, 앨지 미세조류를 영양성분에 맞춰 조합해주는 `앨지리움 바이오프린터'(Algaerium Bioprinter)다. 이 ...
[사회] 덴마크,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세계에서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는 덴마크로 나타났다. 한국은 41번째다. 9월9일 유엔이 발표한 ‘2013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156개국을 상대로 국민 행복도를 조사한 결과, 행복지수 국가 1위는 7.693점으로 덴마크가 차지했다. 이어 노르웨이, 스위스, 네덜란드, 스웨덴 순으로 북유럽 국가들이 세계 최고의 행복지수를 보였다. 한국은 10점 만점에 6.267점을 받아 41위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유엔이 미 컬럼비아대 지구연구소에 의뢰해 실시됐으며, 갤럽 세계 여론조사와 유엔 인권지수 자료 등을 토대로 국가별 행복지수를 계산했다. 행복지수가 ...
[9월2주] 10년을 좌우하는 순간의 선택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일까요?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 마인드'를 갖추는 첫걸음입니다. 데이터 박...
[우주] 보이저 1호, 36년만에 태양계 벗어나다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가 마침내 태양계를 벗어났다고 미 항공우주국(NASA)이 12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1977년 9월 발사된 보이저 1호가 36년만에 인간이 만든 물체로는 최초로 태양계를 벗어나 외계 행성 공간에 진입한 것이다. 보이저 1호는 그동안 목성·토성과 그 위성들을 탐사하는 임무를 마치고 우주 여행을 계속해 왔다. 보이저 1호의 현재 위치는 태양으로부터 210억km 떨어진 지점으로 추정된다. NASA는 최근 입수한 새 데이터를 근거로 보이저 1호가 최근 1년간 항성과 항성 사이에 존재하는 플라스마(이온 상태의 가스) 속을 운항해 온 것으로 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