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한국인 행복감은 세계 바닥권 '118위'
![]()
갤럽 143개국 조사 결과…지난해보다 24계단이나 추락 "어제 좀 웃을 일이 있었습니까?" "온종일 존중받으며 지냈습니까?" 이런 질문을 받는다면 나는 어떤 대답을 할까? 한국인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행복감이 세계 최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업체 갤럽이 세계 143개국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한국인들은 행복감 59점(100점 만점 기준)으로 전체 143개국 중 118위에 그쳤다. 이는 세계 평균 71점에 크게 못미치는 점수이다. 63점을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점수는 4점이 떨어지고, 순위는 94위에서 24계단이나 추락했다. 조사 시점이 2014년인 ...
[3D 프린팅] 3D 프린팅 속도 100배 빨라지다
![]()
영화 터미네이터의 액체금속 로봇에서 영감 영화 ‘터미네이터 2’에는 액체 상태에서 순식간에 휴머노이드로 변신하는 액체금속 로봇 ‘T-1000’이 등장한다. 이 액체금속 로봇에서 영감을 얻어, 액체 상태의 물질을 곧바로 원하는 형태의 물체로 만들어주는 3D프린팅 기술이 개발됐다. 미 실리콘밸리의 신생기업 카본3D(Carbon3D)는 지난 16일 과학저널술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기존 방식보다 25~100배 빠르게 물건을 찍어내는 3D 프린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화학공학과 교수인 조지프 드시몬(Joseph M. DeSimone)은 현재 카본3D...
[3월3주] 미국이냐 중국이냐, 선택 기로에 선 한국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 사회에는 이 네가지 미래의 씨앗이 공존하고 있으며, '선호하는 미래' 사회를 만들려면 이 네가지 씨앗을 잘 조합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지난 한 주 동안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우리가 접한 ...
[생활] 지난 100년, 여성 스타일은 어떻게 변해왔나
![]()
시대가 바뀌면 생활이 바뀐다. 아름다움의 기준도 바뀐다. 지난 100년 간 여성들의 화장법과 헤어스타일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이를 보여주는 동영상 시리즈가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의 한 닷컴이 <100년의 미>(100 Years of Beauty)라는 제목으로 제작해 연작으로 공개하고 있는 이 동영상은 191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100년 동안의 화장 및 헤어스타일 변화를 10년 주기로 보여준다. 타임랩스 방식의 1분짜리 동영상이다. 100 Years of Beauty Pt I & II Side by Side Comparison 1편에선 미국 여성들의 변화상을 담았다. 니나 카더너(Nina Carduner)란 ...
[경제] 16조달러, 사상 최대의 상속 전쟁이 시작된다
![]()
순자산 3000만달러 이상 슈퍼부자 17만2850명 세계 최고의 부자 빌게이츠는 빈곤구제 활동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이라 할 만하다.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뒤 자선사업에 수백억달러를 기꺼이 내놓았다. 가치투자의 대부 노릇을 하고 있는 워렌 버핏 등 일부 갑부들은 부자들의 세금을 올려야 한다고 외쳐댄다. 하지만 부자들의 그런 모습들은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지기보다는 포장술이나 홍보용으로 치부되기 일쑤다. 1%에 대한 99%의 시기와 질투 때문일까? 기부 천사보다 더 자주 악덕 부자들의 소식을 접하는 현실에서 이런 대접은 일견 당연해 보이기도 한다. 부자들...
[생활] 외국어를 쓰면 세상 보는 눈이 달라진다
![]()
독일어 사용자와 영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험 독일어 사용자와 영어 사용자는 동일한 현상을 서술하더라도 초점이 달라,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달라지게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예컨대 한 여성이 여행을 하고 있다면, 독일어 사용자는 그녀의 행선지에 중점을 두고 서술하는 데 반해, 영어 사용자는 그녀의 여행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두 언어를 다 사용하는 사람은 두 가지 세계관의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다. 인지과학자들은 1940년대 이후 `언어가 인간의 사고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여 왔다. 최근 수십...
[생명] 유전자편집기술 중단을 요구한 과학자들
![]()
전문가들이 안전과 윤리 문제를 이유로 인간배아를 대상으로 한 DNA편집기술의 사용을 금지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정밀 유전자 편집기술을 가지고 인간배아의 DNA를 조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소문이 떠도는 가운데, 연구자들은 생식세포에 이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3월 12일자 <네이처>에 실린 논평에서 워싱턴 DC의 재생의학을 위한 연합(Alliance for Regenerative Medicine) 의장인 에드워드 랜피어 (Edward Lanphier)와 네 명의 과학자들은 연구에서조차 인간배아에 대한 조작을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발표...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