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화성 분화구서 유리 발견…그 안에 생명체?
![]()
소행성 충돌 때 형성된 걸로 추정 생명체 흔적 품고 있을지 주목 미 항공우주국이 화성 궤도를 돌고 있는 화성정찰위성 MRO(Mars Reconnaissance Orbiter)가 보내온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화성 분화구 안에서 유리를 발견했다. 과학자들은 이번 발견이 과거 화성 생명체의 존재를 찾아내는 데 어떤 실마리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진은 최근 과학저널 <지질학>(Geology)에 실린 논문을 통해, 유성이나 소행성, 혜성같은 물체가 화성에 충돌하는 과정에서 뜨거운 열이 발생하면서 화성 표면에 있던 물질들이 변성을 일으켜 유리가 된 것으로 추정했다...
[건강] 당신의 5년 내 사망 위험을 알려주마!
![]()
11~13가지의 질문에 답을 하고 나면 알 수 있다 죽고 사는 건 팔자소관이란 옛말이 있다. 삶과 죽음은 사람 힘으론 어쩌지 못하는 것이니 쓸데없는 걱정으로 시간을 허비하지 말라는 뜻이리라. 하지만 호기심 가득한 인간들은 자신이 언제까지 살 수 있는지 굳이 알고 싶어한다. 그리고 가능하면 살아 있는 기간을 늘리고 싶어한다. 무엇이 수명을 단축시키는지 알아내 가능한 한 피하려 한다. 흡연, 운동 부족, 비만 등은 인간이 알아낸 사망 위험을 높이는 요인들에 속한다. 하지만 각 개인의 사망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를 판별해내려면 구체적인 진단 정보가 ...
[사회] 평창 동계올림픽이 겪게 될 '7가지 증후군'
![]()
1960년 이후 올림픽, 예산 평균 179% 초과지출 올림픽이나 월드컵축구 같은 초대형 이벤트들은 전세계로부터 손님을 끌어들이고, 전세계에 주최국과 주최도시를 알리는 절호의 기회이다. 그래서 대개 주최국 정부는 이런 행사를 도시나 국가 발전의 큰 계기가 될 것처럼 홍보한다. 예컨대 각종 개발 사업으로 도시 발전이 앞당겨지고 도시나 국가 이미지 개선을 통해 막대한 경제적 이득도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런 측면이 있다. 서울올림픽과 한일월드컵은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데 큰 기여를 했다. 그러나 세상에 공짜는 없는 법. 행사를 치르는 데 ...
[로봇] 카이스트 '휴보', 세계 재난구조 로봇대회 우승
![]()
2년여에 걸쳐 진행된 '다르파 로봇 챌린지' 2년여에 걸쳐 진행돼 온 재난구조 로봇 경연대회의 최종 승자는 한국 로봇과학자들이었다. 오종환 카이스트 휴머노이드 로봇연구센터 소장이 이끄는 한국의 카이스트(KAIST) 팀은 6월5~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모나시에서 열린 ‘다르파 로봇 챌린지’(DRC) 최종 결선대회에서 인간형 로봇 ‘휴보Ⅱ’로 1위를 차지했다. 우승 상금은 200만달러(약 22억원)이다. 미 국방부 방위고등연구계획국(다르파·DARPA)이 주최한 이 대회는 지난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기획된 것으로, 재난 발생시 구조활동을...
[6월1주] 메르스에 탄저균에…미생물이 몰려온다
![]()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 사회에는 이 네가지 미래의 씨앗이 공존하고 있으며, '선호하는 미래' 사회를 만들려면 이 네가지 씨앗을 잘 조합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지난 한 주 동안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우리가 접한 ...
[지구] 와우, 이렇게 멋진 기상지도를 봤나
![]()
뻣뻣하고 난해하기만 한 일기도 기상청이 발표하는 날씨 예보는 일기도를 토대로 이뤄집니다. 일기도는 각 지역에 설치된 관측소, 기상대, 자동기상관측장비(AWS) 등에서 측정한 기온, 기압, 바람, 구름 등의 기상 요소들을 합쳐 하나의 지도에 표시해 놓은 것입니다. 하지만 기상 상태를 나타내는 특수 기호나 숫자, 저기압과 고기압을 표시해주는 등압선이 뒤엉켜 있어 일반인들로선 아무리 들여다봐도 도대체 어떤 날씨라는 얘기인지 알아보기가 어렵습니다. 소용돌이 치며 움직이는 바람…지상에서 성층권까지 날씨 정보를 단번에 알아차릴 수 있도록 좀더 쉽고 ...
[건강] 사이언스 "한국 메르스사태는 '슈퍼전파 사건'"
![]()
초기 병원 통제 실패…과학자들도 어리둥절 한국의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는 이른바 ‘슈퍼전파 사건’(superspreading event)‘이며, 이는 “병원에서 감염통제조치가 지연되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과학저널 <사이언스>는 2일(현지시간) 뉴스분석 코너를 통해 이런 평가를 내리고, 과학자들은 한 건의 유입 사례가 그렇게 많은 2차감염으로 이어진 이유에 대해 의아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저널은 독일 본대학교의 크리스티안 드로스텐 박사(바이러스학)의 말을 인용해 “병원에 입원한 직후 증상이 악화되는 초기국면에서, 환자들은 가장 많은 바이러스...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