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렉서스 호버보드, 마침내 트랙 위를 날다

영화 속 호버보드엔 견줄 바 못되지만 도요타 렉서스가 만든 ‘호버보드’(hoverboard,=공중에 떠서 이동하는 보드)가 마침내 실제 모습을 드러냈다. 렉서스는 5일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설치한 전용 시험트랙에서 전문 스케이트보드 선수가 ‘슬라이드’(Slide)라는 이름의 호버보드를 테스트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동영상을 보면 <백 투 더 퓨처>에 등장하는 호버보드의 성능에는 비할 바가 못되지만, 타는 재미를 주기에는 충분해 보인다. 전용 트랙에서의 테스트 라이딩 영상 작동원리는 자기부상열차와 같다 렉서스가 제작한 호버보드는 초전도체와...

» More

[에너지] 냉방시스템에 숨어 있는 성차별

남성의 대사율에 초점을 맞춘 냉방시스템 “오마하(미 중북부 네브라스카주의 도시)의 여름은 뜨겁다. 온도가 화씨 100도(섭씨 37.7도)를 넘나든다. 하지만 디지털 마케터인 몰리 마하나(Molly Mahannah)는 끄떡없다. 그녀는 사무실에서 서랍 속의 카디건이나 큼지막한 스웨터를 꺼내 입는다. 그런 다음 이렇게 말한다. ’책상에는 브리또처럼 내 몸을 둘러쌀 수 있는 큰 담요도 있어요. 최근엔 너무 추워서 차 안에 들어가 온도를 100도(섭씨 37.7도)에 맞춰놓고 5분간 몸을 덥히기도 했습니다.' 24살의 마하나는 사무실에서 일하는 동안 자신이 마치 드라마 <왕좌의 게임...

» More

[7월5주] 위기의 청년들, 실업률 두자릿수로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 사회에는 이 네가지 미래의 씨앗이 공존하고 있으며, '선호하는 미래' 사회를 만들려면 이 네가지 씨앗을 잘 조합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지난 한 주 동안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우리가 접한 ...

» More

[IT] 구글, 스리랑카에 세계 첫 비행풍선 인터넷망

구글과 '프로젝트 룬' 서비스 양해각서 체결 13개 풍선 띄워 내년 3월 전국 인터넷망 구축 요즘 우리 주변을 돌아보면 인터넷 없이는 하루도 견디기 힘들어 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눈을 세계로 돌려보면 아직도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다. 인터넷 인구보다 10억명이 더 많은 40억의 인구가 인터넷과 담을 쌓고 지낸다. 경제적인 문제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IT기기가 없는 탓도 있지만, 거액의 돈이 들어가는 인터넷 인프라가 구축돼 있지 않은 탓이 더 크다. 세계의 IT 대기업들은 이 인터넷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

» More

[자동차] 자율주행차는 어떤 혁명을 꿈꾸나

스스로 주행하는 기술이 판을 흔든다 자동차는 현대 자본주의 산업의 총아다. 자동차가 구현한 이동성의 혁신은 인류의 생활을 완전히 바꿔 놓았다. 그 자동차 한 대를 만드는 데는 무려 2만여개의 부품이 들어간다. 관련 산업에 끼치는 영향력이 그만큼 크다는 얘기다. 국제컨설팅업체 맥킨지와 OECD에 따르면, 자동차산업이 전 세계 GDP(2014년 기준 약 77조달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에 불과하지만, 이런 전후방 산업연관 효과로 인해 경제에 끼치는 영향력은 그 3배에 이른다고 한다. 자동차산업 비중이 3%대인 미국, 한국 등에선 전체 경제의 10% 남짓...

» More

[7월4주] 한국인, 열에 아홉은 도시에 산다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 사회에는 이 네가지 미래의 씨앗이 공존하고 있으며, '선호하는 미래' 사회를 만들려면 이 네가지 씨앗을 잘 조합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지난 한 주 동안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우리가 접한 ...

» More

[미래이슈] 10년후 한국 사회의 10대 이슈는?

미래부 미래준비위, 저출산·초고령화 등 10가지 선정 10년 후 한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게 떠오를 이슈는 무엇일까? 정부나 기업, 부자와 빈자, 노년층과 청년층 등 각자의 위치에 따라, 그리고 각 집단과 개인의 가치관과 미래 비전에 따라 다양한 이슈들의 중요도에 대한 판단이 다를 것이다.   한국사회 미래 설계의 최종 책임자인 정부는 어떻게 접근해가려 할까? 미래창조과학부의 미래준비위원회(위원장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정부의 미래정책 설계에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분석 결과를 23일 내놨다. 미래 한국 사회의 10대 이슈를 선정해 발표한 것...

» More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