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 인류는 20만년 전부터 침대를 썼다
![]()
남아공 동굴에서 풀침대 증거물 발견 잿더미 위에 잎이 넓은 풀 깔아 사용 20만년 전 아프리카의 현생인류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풀 침대가 발견됐다.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남아공의 시부두동굴에서 발견한 7만7천년 전의 풀침대보다 훨씬 이전의 것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랑스, 아르헨티나, 벨기에 국제 공동연구진은 에스와티니(옛 스와질랜드) 국경지대에 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레봄보산맥 절벽 위 국경 동굴(Border Cave)에서 초기 현생인류가 풀침대를 사용한 증거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동굴 안쪽에서 발견된 이 침대는 잿더미 위에 풀...
[건강] 러시아가 백신 1호? 올해안 일반접종 어렵다
![]()
등록증명서엔 ‘소규모 취약 집단’만 허용 내년 1월1일까진 광범위한 접종 안돼 러시아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은 푸틴 대통령의 발표와는 달리 일반인이 아닌 소규모의 감염 취약집단을 대상으로 한 접종만 승인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미국 과학언론들이 보도했다. `라이브사이언스' `사이언스 매거진' 등에 따르면 `스푸트니크 브이'(Sputnik V)라는 이름의 이 백신은 러시아 보건부가 발행한 의약품 등록 증명서를 확인한 결과, 실제로는 의료부문 종사자를 포함한 소규모 그룹에게만 허용됐다. 증명서는 또 백신은 2021년 1월1일까지는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없다고...
[8월2주] 한국인의 미래관..."`지금처럼'이 제일 싫어"
![]()
[8월2주] 한 국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미래사회 가치와, 선호하는 미래상을 종합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다. 지금과 같은 성장, 경쟁 중심에서 벗어나 현재의 자원을 잘 보존해 미래세대가 쓸 수 있게 하는 `보존분배' 사회를 가장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보고 있네요. 그러나 실제로는 지금과 같은 성장·경쟁 중심 사회(안정성장)가 미래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런 미래를 가장 피하고 싶은 미래로 꼽았네요. 새출발을 하고 싶어하는 것같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2%...
[화보] 하늘에서 본 화성의 천태만상
![]()
궤도탐사선 MRO 15주년 기념 사진 공개 지난 5일 화성 탐사로버 큐리오시티가 착륙 8년을 맞은 데 이어 12일 화성 궤도선 `MRO'(화성정찰궤도위성)가 발사 15년을 맞았다. 2005년 8월12일 지구를 출발해 2006년 3월10일 화성 궤도에 진입한 MRO는 화성 하늘에서 화성의 지형과 기후를 관찰하고, 착륙선 및 로버와 지구의 통신을 중계해주는 역할을 한다. 미국항공우주국(나사)이 MRO 발사 15주년을 맞아 흥미로운 화성 사진들을 선별해 공개했다. MRO는 고도 250~320km 상공에서 112분에 한 번씩 화성을 돌며 화성 구석구석을 3대의 카메라로 촬영한다. 세 장비 ...
[3D프린팅] 지붕까지 ‘한번에’…3D프린팅 주택이 또 한번 진화했다
![]()
미 신생기업, 경량의 특수 합성석재 개발 자외선으로 즉시 경화…수평 프린팅 가능 바닥과 벽체는 물론 지붕까지 한 번에 완성하는 3D 프린팅 건축 기술이 선을 보였다. 3D 프린터로 지은 20평짜리 단층 주택. 마이티빌딩스 제공 3D 프린팅 건축 기술이 한 걸음 더 앞으로 나아갔다. 바닥과 벽체뿐 아니라 지붕까지 한꺼번에 프린팅하는 기술이 등장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의 신생기업 마이티 빌딩스(Mighty Buildings)는 최근 3D 건축 프린터로 벽과 바닥뿐만 아니라 천장, 지붕까지 집의 외관 전체를 3D 프린터로 제작한 두 채의 시범주택을 완공했다...
[건강] 한국 코로나19 방역 성공의 3가지 비결
![]()
확진자 발생률, 미국과 56배 차이…‘미국행정리뷰’ 분석 논문 게재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방식은 이동제한 조처 없이도 확산을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는 점에서 세계 각국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한국은 전국 확진자의 80% 이상이 대구·경북에서 집중 발생했을 때도 이 지역을 봉쇄하지 않았고, 4월15일 팬데믹 상황에서 전국 단위의 선거를 치렀음에도 확진자의 급증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성과를 거뒀다. 미국과 한국은 똑같이 지난 1월20일 첫 확진자가 나왔지만, 7개월이 지난 지금 두 나라의 상황은 확연히 다르다. 미국은 세계 최대 감염국으로 확진자...
[미래이슈] 한국인이 선호하는 미래는?
![]()
국회미래연구원, 첫 공론조사 결과 발표 자원 절약해 물려주는 ‘보존분배’ 첫손 꼽아 기후변화 등 환경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 “가장 싫은 건 지금 상태 계속되는 미래” 2020년 한국인은 어떤 미래를 원하고 있을까? 현재와 미래, 안정과 변화, 개인과 공동체 가치 사이에서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 한국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미래사회 가치와, 선호하는 미래상을 종합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회미래연구원이 지난해 11월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5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50년 선호미래 숙의토론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은 기후변화를 비롯한 자...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