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로켓 재사용 16번...스페이스엑스 기록 행진 어디까지?

2020년 5월부터 2.3개월에 한 번꼴 발사 9일 오후(한국시각 10일 오후) 미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우주군기지에서 16번째 발사 임무를 위해 이륙하는 팰컨9 재사용 로켓 B1058.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의 우주기업 스페이스엑스가 새로운 로켓 재사용 기록을 세웠다. 스페이스엑스는 9일 오후 11시58분(한국시각 10일 오후 12시58분) 미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우주군기지에서 팰컨9 재사용 로켓으로 자사의 우주인터넷 군집위성인 스타링크 22기를 지구 저궤도로 쏘아올렸다. 이날 발사 임무를 수행한 팰컨9의 1단계 추진체(B1058)는 이로써 16번째 하늘로 날아오르며, 자...

» More

[환경] 세계최고 기온 기록행신 봇물 왜 터졌나

누적 온실가스에 엘니뇨가 겹친 효과 말고도 사하라 먼지와 선박발 이산화황 감소도 영향 대서양 상공의 사하라사막 먼지층. NOAA 지난 6월8일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엘니뇨가 시작됐다고 발표한 이후 세계 평균 기온이 잇따라 새기록을 세우고 있다. 엘니뇨란 적도 지역의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대기와 해양의 움직임을 교란시켜 전 세계의 기온을 높이고 기상이변을 유발한다. 6월 지구의 대기 및 해수면 온도를 포함한 주요 기후 지표는 모두 이전 최고 기록을 넘어섰고 해빙은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4일엔...

» More

[우주] 제임스웹이 본 태양계의 4대 거대행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1년 관측 마무리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이 지난 1년 동안 근적외선카메라로 촬영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왼쪽부터). NASA, ESA, CSA, STScI 제공 지난해 7월부터 본격 관측 활동을 시작한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이 토성을 마지막으로 태양계의 목성형 행성 4개의 1차 관측을 모두 마쳤다. 이번 관측은 제임스웹이 자랑하는 역대 가장 강력한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이뤄졌다. 목성형 행성이란 지구처럼 암석으로 이뤄진 행성과 달리 수소나 헬륨 같은 가스를 주성분으로 한 행성을 말한다. 태양계에는 목성을 비롯해 토성...

» More

[건강] 노인의 숨엔 에어로졸 입자가 2배 많다

입자 크기도 더 커…성별·비만과는 상관없어 노년층 실내운동시 감염 위험 차단 신경써야 60살 이상 노인들이 날숨을 통해 몸밖으로 배출하는 에어로졸 입자는 청년들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코로나19를 비롯한 호흡기 질환은 감염자의 날숨을 통해 공기 중에 배출되는 에어로졸 입자에 묻어 전염된다. 숨을 내쉴 때 공기가 빠른 속도로 기도의 촉촉한 내벽을 통과하면서 수분 중 일부가 에어로졸이 되어 공기와 함께 몸밖으로 배출된다. 이 수분엔 기도 내벽에 있던 염분, 단백질, 점액,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포함돼 있다. 따라...

» More

[우주] 올해 가장 밝은 개밥바라기 금성이 뜬다

일몰 후 서쪽 하늘에…이번주가 최적 관측 기간 7일 저녁 9시 서쪽 하늘의 금성 위치도. 금성 위쪽으로 화성과 사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레굴루스가 있다. 스텔라리움 우리 조상들은 저녁에 뜨는 금성을 개밥바라기라고 불렀다. 개밥바라기란 개의 밥그릇이란 뜻이다. 배가 고파진 개가 저녁밥을 달라고 짖을 무렵에 뜬다고 해서 붙여진 별칭이다. 요즘 올해 가장 밝은 개밥바라기 별이 저녁 서쪽 하늘에 뜨고 있다. 수시로 구름이 하늘을 덮는 장마철이라 여건은 좋지 않지만 6~9일 중 일몰 후가 최적의 관측 기간이다. 금성은 하늘에서 태양과 달에 이어 세번째...

» More

[건강] 생성형 인공지능, 신약개발서도 두각...사상 첫 임상2상 진입

인실리코의 특발성 폐섬유화증 치료제 비용 10분의1, 시간은 3분의1로 단축 인공지능이 설계한 신약 후보가 사상 처음으로 임상2상시험에 돌입했다. 인실리코 제공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신약 개발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이 설계한 신약 후보가 사상 처음으로 임상 2상시험에 돌입했다. 임상 2상은 임상 1상에서 약효와 안전성을 확인한 약물에 대해 추가 검증과 함께 적정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다. 생성형 인공지능이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데이터 학습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나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의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인...

» More

[우주] 한라 행성은 어떻게 백두 별의 마수에서 벗어났나

우리말 이름 가진 외계 별·행성의 극적인 사연 부풀어 오른 백두에 한라 흡수됐어야 했지만 다른 별과 먼저 병합하며 팽창 멈춰 구사일생 행성 한라를 삼켜버릴 듯 부풀어 오르던 백두 별이 중도에 다른 별과 병합하면서 한라는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았다. Tobias Roetsch/GTGRAPHICS.DE 2019년 국제천문연맹(IAU)은 창립 100돌을 맞아 ‘외계행성 이름짓기 캠페인’(NameExoWorld)을 벌였다. 이 행사에서 한국쪽 주최자인 한국천문연구원은 국민 공모를 통해 외계행성 ‘8 우미 비’(8 UMi b)와 중심별인 ‘8우미’(8 UMi)에 각각 한라(Halla), 백두(Baekdu)라는 이름을...

» More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