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 3D 피자 프린터 나왔다

우주인 식량 현지조달용으로 개발 가루재료 넣고 12분이면 피자 완성 즉석에서 피자를 만들어내는 3D 프린터가 첫선을 보였다. 미 항공우주국(NASA)의 지원금을 받아 3D 음식프린터를 개발하고 있는 한 업체가 최근 미 텍사스 오스틴에서 열린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 친환경(SXSW Eco)’ 컨퍼런스에서 이 ‘3D 음식프린터’를 공개했다. 이 프린터는 원래 나사가 우주공간에서 장기간 체류하게 될 우주인들의 식량을 현지에서 직접 조달하는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개발을 의뢰한 것이다. SMRC라는 이름의 이 기업은 나사로부터 12만5천달러의 개발 지원금을...

» More

[사회] 맥킨지 회장이 꼽은 5대 메가트렌드

향후 세계 바꿔놓을 5대 메가트렌드 도미닉 바튼 회장, 국내 포럼서 강연 ‘리밸런싱(Rebalancing), 고령화, 기술 변화, 자원 희소성, 국가정부의 변화’. 국제적인 컨설팅업체 맥킨지앤드컴퍼니의 도미닉 바튼 글로벌회장이 꼽은 ‘향후 세계를 바꿔놓을 5개의 메가트렌드(Mega-Trends)’ 목록이다. 그는 지난 9월11~12일 서울에서 열린 ‘동아비즈니스포럼 2013’ 둘쨋날 기조강연을 통해 이 메가트렌드들을 설명하고, “이러한 변화는 (산업혁명 이후) 지난 300년 동안 볼 수 없었던 유례없던 것”이라며 “이는 거대한 파도와 같아서 막을 수 없고 피할 수 없다는...

» More

[10월2주] 달리는 열차는 언제 멈춰설까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데이터 박사의 제자...

» More

[사회] 20년전 청소년, 20년후 청소년

1994, 2014, 2034년의 청소년 생활상 어떻게 변해왔고 어떻게 변해갈까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의 분석과 전망 지금으로부터 20년 전, 그리고 20년 후의 사회는 각각 오늘의 사회와 얼마나 모습이 다를까. 일상에 묻혀 사는 우리들에게 이런 물음은 매우 낯설다. 물음에 대한 답변은 더더구나 막막한 일이다. 앞으로 닥칠 일이야 실체가 없으니 말해 무엇하리오만, 지나간 일조차도 20년 전이라면 기억이 가물가물할 터이다. 미국의 민간싱크탱크인 다빈치연구소 설립자이자 선임연구원인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가 2014년을 기준으로 20년 전과 후의 사회 변화를 1...

» More

[환경] 미나마타병은 살아 있다

사상 최악 공해병 악명 떨친 `미나마타병' 수은관련 협약 이름을 `미나마타협약'으로    최근 국제사회가 수은배출저감 협약을 맺으며, 협약의 이름을 미나마타수은협약(Minamata Convention on Mercury)이라고 지은 것을 계기로 미나마타병(水俣病)이 다시 주목을 끌고 있다. 협약 서명식은 10월 10일 구마모토현 미나마타시에서 열렸다. 이번 회의에는 약 140개 나라와 지역이 참가했는데 협약은 서명 90일 이후 발효된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수은의 수출 규제, 배출 금지, 적절한 보관과 폐기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2018년까지 아세트알데하이드 제조 공정 때...

» More

[사회] 과학사를 왜곡하는 영웅주의

과장된 신화로 포장된 과학사의 영웅들 1854년 영국의 콜레라 창궐을 종식시킨 존 스노, 무균 수술법을 개발한 조지프 리스터, 페니실린을 만든 알렉산더 플레밍…. 과학과 의학의 역사에 등장하는 위대한 영웅들이다. 그러나 의·과학사에 나오는 영웅들의 업적은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사실을 크게 과장하는 신화들이라고 과학전문저널 <네이처>가 최근호에서 꼬집었다. 꼼꼼한 역사가들은 “약간의 진실에 근거를 두고 있기는 하지만, 진실과는 거리가 먼” 사례들을 폭로했지만, 황당무계한 신화들은 오늘도 책과 TV, 강의실, 온라인에서 살아 숨쉬고 있다고 <네이처>...

» More

[로봇] ‘변신 로봇’ 실마리 풀리나

새로운 방식의 자가조립 로봇 성공 이동장치 없이도 움직이는 M블록 스스로 올라타고 뛰어오르고 굴러 영화 <터미네이터2>나 <트랜스포머>에서 봤던 것처럼, 상황에 맞게 자유자재로 변신하는 로봇이 과연 실현 가능할까. 아직 제대로 된 인간형 로봇마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현재로선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미 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CSAIL)의 연구과학자 존 로마니신이 최근 만들어낸 자가조립(Self-Assembling) 로봇은, 이런 상상이 현실이 될 수도 있겠다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로마니신이 만든 것은 아무런 이동장치를 달지 않고서도 ...

» More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