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모기는 어떻게 사람을 찾아낼까

멀리선 사람 호흡이 내뿜는 이산화탄소 감지 가까이서는 노출된 피부 냄새 맡고 달려들어 모기 턱수염 신경세포, 2중수용체 갖고 있어 말라리아나 뎅기열병, 필라리아증(사상충증, filariasis)을 일으키는 암컷 모기는 인간이 뿜어내는 이산화탄소의 냄새를 맡고 다가온다. 이 냄새는 멀리서부터 감지할 수 있다. 모기는 그러나 일단 사람 가까이 온 뒤에는 방향을 바꿔 팔꿈치나 발처럼 노출된 곳의 피부 냄새를 맡고 달려든다. 모기는 왜 움직이는 방향을 바꿔 피부를 향해 다가오는 것일까? 어떻게 우리 피부를 찾아내는 것일까? 피부의 어떤 냄새가 모기를 ...

» More

[12월2주] 요동치는 북한 권력 내부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데이터 박사의 제자...

» More

[생명] 커피와 맥주, 수명 유전자는 뭘 좋아할까

12개 스트레스 물질과 텔로미어 관계 연구 커피와 맥주는 음료에서 상반되는 위치에 있다. 커피는 사람을 각성시키는 반면, 맥주는 사람을 이완시킨다. 온라인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데일리>에 따르면, 유전자 측면에서도 커피와 맥주는 상반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커피와 맥주가 염색체의 말단부인 ‘텔로미어’에 상반되는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분자미생물학 및 생명공학과의 마틴 쿠피에치 연구팀이 밝혀낸 것. 텔로미어는 세포 분열이 진행될수록 길이가 점점 줄어드는데, 과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텔로미어가 수명과 관...

» More

[항공] 수중에서 비상하는 무인비행기

미 해군연구소 6년 개발끝에 시험비행 성공 연료전지로 작동…6시간 이상 정찰임무 가능 미 해군이 바다 속에서 잠수하며 운행하는 잠수함으로부터 무인항공기를 지상으로 띄워보내는 시험에 성공했다. 미 해군연구소(NRL)는 지난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렇게 밝히고, 이 시스템이 개발되면 정보감시 및 정찰(ISR) 임무 수행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소가 개발한 이 시스템의 이름은 ‘연료전지 실험 무인비행 시스템’(XFC UAS, eXperimental Fuel Cell Unmanned Aerial System). 무인항공기는 로스앤젤레스급 핵잠수함 USS프로비던스호(SSN719)의...

» More

[에너지] 달에 태양광발전기지를 건설한다면

일 건설업체 시미즈의 '달 고리' 프로젝트 달 적도에 1만1천km 태양전지 패널 건설 지속가능사회로 가는 에너지 패러다임의 전환 일본의 시미즈(Shimizu)라는 건설업체가 달에 거대한 태양광발전 기지를 건설해서 인류가 직면해 있는 기후변화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자는 제안을 내놓았다고 영국 <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공상과학 영화에나 나올 법한 내용이지만 시미즈의 제안서 내용은 매우 구체적이고 인류의 공익과 미래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 계획은 일본 후쿠시만 원전 사고 이전에 제안되었지만, 사고 이후...

» More

[12월1주] 국민 절반이 하층민이라고 생각하는 나라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데이터 박사의 제자...

» More

[로봇] 로봇을 고문하는 건 괜찮을까

MIT, 애완로봇 대상 실험 결과 애착 갖게 되자 고문 지시 거부 “만약 우리가 로봇에 애착을 느끼게 된다면, 로봇에 대해 인간적인 감정을 가지는 것을 과연 피할 수 있을까?”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이 이런 의문을 풀기 위해, 아이들에게 로봇 장난감과 놀이를 하도록 만든 다음 이 로봇 장난감에 고문을 가하도록 하는 실험을 했다. 아이들은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로봇 장난감에 애착을 느끼면, 이 로봇 장난감을 부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게 됐다. 로봇은 이미 우리들 가운데 살고 있다. 그렇다면 로봇은 인간과 같은 권리를 가져야...

» More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