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로봇과 인간의 탁구대결, 결과는?

1997년 첫 대결 체스에선 컴퓨터 승리 1997년 컴퓨터와 인간의 체스 경기에서 컴퓨터 딥 블루(Deep Blue)는 처음으로 인간을 이겼다. 컴퓨터에 무릎을 꿇은 상대방은 체스 챔피언 개리 카스파로프(Garry Kasparov). 당시 34살이었던 그는 1984년부터 20여년간 세계 체스 챔피언 자리를 지켜온 전설전인 인물이었다. 한 해 전인 1996년 딥 블루 이전버전과의 대결에서 승리했던 카스파로프는, 2차 대결에서 접전 끝에 패하고 말았다. 6번에 걸친 게임에서 딥 블루가 2승3무1패로 이겼다. 2011년 퀴즈쇼 대결에선 컴퓨터 승리 2011년엔 미국 ABC 텔레비전의...

» More

[3월2주] 12번째 맺은 한국의 FTA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데이터 박사의 제자...

» More

[생명] 수학자의 뇌는 방정식을 예술품으로 인식한다

아름다운 수식을 볼 때와 예술품 감상 때 뇌 반응 같아 i, π , e의 관계를 묘사한 오일러의 공식은 수학자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는 공식이다. 미 네바다대의 알렉산더 헨더슨 같은 수학자들은 그걸 몸에 문신으로 새겨 넣었을 정도다. 그런데 수학자들이 등식(equations)을 ‘아름답다’고 표현할 때, 그건 단순한 비유나 거짓말이나 잘난 체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뇌영상을 촬영해 분석해 본 결과, 수학자들이 ‘아름다운’ 수식을 바라볼 때의 반응은 일반인들이 위대한 예술품(그림이나 음악)을 감상할 때의 반응과 같은 것으로 밝혀졌으니 말이다. 이번 ...

» More

[건강] 혈액검사로 치매 발병 2~3년전 알아낸다

혈액검사로 2~3년후 발병 가려내 치매 질환 퇴치에 큰 기여 기대 혈장속 인지질 농도로 판별, 정확도 90%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 2~3년 안에 치매 증상이 나타날지 미리 알아낼 수 있는 검사법이 개발됐다. 이 검사법이 검증된다면, 이 검사법은 퇴행성 뇌질환을 퇴치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퇴행성 뇌질환은 증상이 너무 늦게 나타나, 효과적인 치료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치매라는 뇌 세포가 죽는 현상을 말하는데, 여기엔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 2종류가 있다. 우리나라 치매 환장의 70%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다. 이번에 ...

» More

[사회] 뭐든지 악기로 만드는 별난 키트

Music-making card turns objects into instruments 12개의 키, 4개의 센서 신용카드보다 약간 커 터치스크린 기술 활용 채소를 피아노로, 배수관을 색소폰으로, 한 컵의 물을 드럼으로…. 주변에 널려 있는 물건들을 단숨에 악기로 변신시켜주는 별난 악기 제조 키트가 나왔다. 신용카드 크기보다 약간 큰 이 보드형 기기는 조지프 플리스(Joseph Pleass)와 런던 덴타쿠 디자인 스튜디오가 개발한 것으로, 이름은 오토토(Ototo)다. 오토토는 남동생이라는 뜻의 일본어. 이 기기에는 12개의 터치형 키가 키보드의 한 옥타브처럼 나란히 배열돼 있는데, 이것이 신디...

» More

[3월1주] 빈곤의 절벽은 도처에 있다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데이터 박사의 제자...

» More

[식량] 씨앗의 방주, 작물의 미래를 품에 안다

폭설과 가뭄, 혹한과 해빙…유별났던 올 겨울 이상기후 해가 갈수록 이상기후 현상이 심해지는 걸 목격하지만, 올 겨울 지구촌의 기상이변은 매우 유별난 듯하다. 미국 동쪽끝 워싱턴은 혹한과 폭설로, 서쪽끝 캘리포니아는 가뭄과 기습폭우로 큰 손실을 입었다. 반면 유럽대륙은 전에 없는 따뜻한 겨울을 보냈다. 북유럽국 스웨덴에선 얼음과 눈이 녹아 1급 홍수주의보가 내려지기도 했다. 영국 역시 250여년만의 겨울 홍수로 1조원이 넘는 피해를 입었다. 호주에선 40도에 육박하는 폭염이 들이닥쳐 산불이 잇따르고 있다. 세계 주요 곡창지대인 남미에선 수개월...

» More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