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5주] 늘어만 가는 비정규직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데이터 박사의 제자...

» More

[항공] 창문없는 비행기 시대 임박

창문 대신 비행기 벽과 천장을 모두 스크린으로 뒤덮어 몇년 후에는 고도 1만미터의 비행기 안에서 조그만 창문 대신 비행기 천장을 온통 뒤덮은 화면을 통해 바깥 하늘세상을 맘껏 구경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르겠다. 미래의 항공여행 수단으로 창문없는 비행기 개발 구상이 올들어 잇따라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영국 정부 출연기관인 프로세스혁신센터(CPI=Centre for Process Innovation)는 지금과 같은 창문을 없애고 기체 천장과 벽 전체에 걸쳐 고해상도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곡면 스크린을 설치한 여객기 디자인을 공개했다. 스크린에는 ...

» More

[생명] 과학자들 "두뇌훈련 게임, 과학적 근거 없다"

노화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들은 뇌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제작된 비디오게임 앞에 앉아 있는 것보다는 바깥에 나가서 하이킹을 하는 것이 훨씬 나을 것이라고 이번 주에 70여명의 연구자들이 뇌훈련 산업체의 주장을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연간 구독비용이 120달러에 이르는 상업용 두뇌훈련 게임은 기억력 증진과 처리속도 및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고 심지어 알츠하이머 질환을 피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루모시티(Lumosity)와 코그메드 (Cogmed)와 같은 많은 기업들은 이 게임이 강력한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것이며 최고 대학과 연구센...

» More

[건강] 야간 근무자는 철분식품을 피하라

야간에 철분이 풍부한 식품 먹으면 철분이 간의 혈당조절을 활성화해 간 생체시계와 뇌 생체시계 어긋나 야간 교대근무자들은 2형당뇨, 비만, 암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많은 과학자들은 생체시계(circadian clock) 교란이 그 원인일 것이라고 믿는다. 수면과 섭식을 조절하는 인체의 주요 생체시계는 뇌 속에 있지만, 다른 인체조직에도 별도의 생체시계가 있다. 예컨대 간에 있는 생체시계는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야간근무를 하는 근로자들은 야간에 철분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More

[10월4주] 군사주권 포기한 한국의 미래

오늘 우리가 접하는 뉴스들에서 보는 우리 사회의 미래 이미지는 어떤 모습입니까? 대안미래학의 대가인 짐 데이터 교수(미 하와이대)는 미래는 네가지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네가지는 계속성장(Continued Growth), 지속가능(Disciplined), 붕괴(Collapse), 변형(Transformation)입니다. 한겨레신문에 실린 뉴스들을 이 네가지 이미지에 편입시켜보았습니다. 지난 한 주간의 뉴스들은 어떤 미래 이미지와 연결되나요. 그 미래는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인가요. 오늘의 뉴스에서 미래 이미지를 연상해내는 것은 미래로 가는 첫 걸음입니다. 데이터 박사의 제자...

» More

[사회] 베스트셀러 책 표지의 비밀

한 젊은 과학도의 엉뚱한 호기심 “베스트셀러에 오른 책들엔 어떤 비밀이 숨어 있을까. 아니, 베스트셀러 책의 표지들엔 어떤 특징이나 트렌드가 있을까?” 과학소설 마니아인 미 워싱턴대의 한 천문학 박사학위 지원생(PhD candidate)이 다소 엉뚱하게 보이는 이런 호기심을 풀기 위해 유별난 분석을 시도했습니다. 과거 베스트셀러에 오른 책들의 표지를 모아 요모조모 뜯어본 것입니다. 평소 데이터과학과 데이터 비주얼화에 관심이 많았던 제임스 데이븐포트(James R.A.. Davenport)라는 이름의 이 젊은 과학도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의 전국종합일간지...

» More

[생명] 수컷은 식욕보다 성욕이 강하다

꼬마선충 실험 결과, 수컷은 먹이보다 짝짓기 선호 좋아하는 것 두 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어렵다. 동물, 특히 수컷에게 있어서 먹이와 짝짓기 기회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일부 인간에게 적용될 수도 있는) 한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최소한 선충류(nematodes)의 경우, 수컷의 뇌는 짝짓기 상대를 찾는 데 집중하느라, 먹이 찾는 능력을 억제하도록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현대생물학>(Current Biology) 10월16일호에 실린 이번 연구 결과는 “뇌 회로의 미묘한 차이가 수컷과 암컷의 행동 차이를 초래하는 메커니즘”...

» More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