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꽃이 반짝반짝...유전자 조작 발광식물이 나온다

발광버섯 유전자 주입한 피튜니아 미서 시판 허용…내년초 출시될 듯 발광버섯의 유전자가 주입된 발광 피튜니아가 내년에 시판된다. 라이트 바이오 제공 반딧불이가 밤에 빛을 낼 수 있는 것은 몸에 있는 루시페린이라는 물질 덕분이다. 루시페린이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산화되면 빛이 방출된다. 자연계에는 박테리아에서부터 해파리, 물고기, 절지동물, 버섯에 이르기까지 약 1500종의 발광생물이 알려져 있다. 발광생물은 모두 반딧불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빛을 방출한다. 1986년 처음으로 개발된 발광식물 역시 반딧불이 유전자를 이용했다. 2010년엔 발광 박...

» More

[건강] 롱코비드만 있나? 감기에도 롱콜드가 있다

4주 이상 기침, 복통, 설사, 쉰목소리 등 호소 전체의 22%…코로나19 장기 후유증과 비슷 코로나19뿐 아니라 독감, 감기 등 다른 호흡기 질환 감염자들의 상당수도 장기 후유증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픽사베이 2019년 말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은 지금까지 7억7천만건의 감염 사례에서 700만명의 사망자를 냈다. 코로나19를 무서운 질병으로 만든 데는 독감보다 높은 치사율이나 강력한 전염성만이 아니라 수개월간 지속되는 장기 후유증(롱코비드)도 한몫한다. 지난 3년간 바이러스가 변이를 거듭하며 지금은 장기 후유증을 겪는 비율이 10%대로 낮아지기는 했지만 초...

» More

[우주] 지구 핵의 기원을 찾아서...사상 첫 금속 소행성 탐사 출발

미, 프시케 우주선 발사…6년 후 도착 지구 핵과 같은 철·니켈 주성분 추정 주로 금속 성분으로 이뤄진 프시케 소행성 상상도. 미 항공우주국 제공 사상 첫 금속 천체 탐사를 위한 6년간의 우주여행이 시작됐다. 미 항공우주국(나사)은 13일 오전 10시19분(한국시각 오후 11시19분)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센터에서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에 있는 금속 소행성 프시케를 탐사할 우주선 프시케를 스페이스엑스의 팰컨헤비 로켓에 실어 발사했다. 지구보다 태양에서 약 3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프시케는 가장 긴 쪽의 폭이 280km에 이르는 감자 모양의 소행성이다. 지구...

» More

[생명] 유전자 편집 닭이 조류독감 확산 막아줄까

바이러스 증식 돕는 유전자 제거한 닭 탄생 10마리 중 9마리, 바이러스 노출돼도 멀쩡 조류 인플루엔자에 저항성을 갖도록 유전자 편집된 닭(오른쪽, 다리에 파란 띠를 두름)과 일반 닭.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해 조류인플루엔자(조류독감)에 상당한 내성을 갖춘 유전자 편집 닭이 탄생했다. 해마다 전 세계에서 큰 경제적 피해를 입히는 조류독감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바이러스의 또다른 적응 진화를 유발할 위험에 대한 우려도 일고 있다. 영국 에든버러대 로슬린연구소와 임페리얼칼리지런던, 퍼브라이트연구소...

» More

[우주] 소행성 베누에서 다량의 탄소와 물 분자 발견

미 항공우주국, 2주 만에 첫 시료 분석 결과 발표 “생명체 탄생에 핵심 역할 했을지도 모를 광물”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이 가져온 소행성 베누 암석과 먼지를 담은 용기의 외부. 안쪽은 닫혀 있고, 함께 묻어온 물질이 용기 바깥 오른쪽에 보인다. 과학자들은 이 물질의 초기 분석에서 탄소와 물을 발견했다. 나사 제공 7년간 60억km가 넘는 우주 왕복 여행 끝에 가져온 소행성 베누의 시료에서 생명의 핵심 요소인 탄소와 물 분자가 발견됐다. 미 항공우주국(나사)은 11일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존슨우주센터에서 지난달 24일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

» More

[생명] 개수 세기의 비밀...4개는 쉽고 5개는 어려운 이유

개수 세는 뇌의 체계, 5부터 달라져 내측 측두엽의 뉴런 활동 측정 결과 뇌는 4개까지 셀 때와 5개 이상을 셀 때 서로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픽사베이 앞에 사과가 2개나 3개 놓여 있다고 치자. 굳이 세어보지 않아도 사과가 몇개인지 단박에 알 수 있다. 그러나 사과가 7개가 있을 경우엔 어떤가. 잠깐이지만 몇개인지 세어봐야 한다. 사과 개수가 더 많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수량을 셀 때 굳이 몇개인지를 셈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수비타이징’(subitizing, 직산)이라고 부른다. 여러 이론이 있기는 하지만 ...

» More

[진화] 4억6500만년 전 삼엽충의 `마지막 식단'

퇴적암 속 화석 뱃속에서 음식물 발견 해저에서 갑각류, 조개류 등 섭취한듯 통째로 삼킬 수 있는 작은 생물 위주 현미경으로 본 삼엽충 화석. 빨간색과 파란색은 소화관에 있는 음식물이고 오른쪽 연두색은 입이다. 네이처 제공 38억년의 지구 생명 역사에서 고생대를 대표하는 생물을 꼽으라면 삼엽충을 첫손에 꼽을 수 있다. 삼엽충은 5억4000만년 전 고생대 캄브리아기에 출현해 고생대 전 기간에 걸쳐 2억7천만년 동안 번성하다 페름기 대멸종기에 자취를 감췄다. 삼엽충이란 이름은 몸이 왼쪽, 가운데, 오른쪽 세 부분으로 뚜렷이 구분돼 있다고 해서 붙여졌다....

» More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