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아마존 합류...세계 위성인터넷망 3파전

아마존 베이조스도 합류 선언 머스크-브랜슨에 도전장 내밀어 우주여행 이어 위성인터넷도 격돌 "위성 3236기 띄워 전세계 95% 커버" 우주여행 산업 선점 경쟁에서 치열한 3파전을 벌이고 있는 제프 베이조스와 일론 머스크, 리처드 브랜슨이 전 세계 위성 인터넷망 사업에서도 자존심 싸움을 벌이게 됐다. 머스크, 브랜슨에 이어 베이조스가 이끄는 아마존이 위성을 이용한 전 세계 인터넷망 경쟁에 뛰어들기로 했기 때문이다. 머스크는 스타링크라는 이름으로 독자적인 글로벌 위성인터넷망 구축을 시작했으며, 브랜슨은 원웹의 프로젝트에 투자자로 참여하고 있다. 원...

» More

[4월1주] 복지예산과 지역화폐의 결합

[4월1주] 경기도가 지역화폐의 본산으로 떠올랐습니다. 12개 시·군이 지역화폐를 일제히 출시했습니다. 이미 지역화폐를 발행한 성남·시흥·양주를 포함하면 15개 지방자치단체가 지역화폐를 발행한 것인데요. 고양·의정부 등 경기지역 나머지 16곳도 4월 중 지역화폐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지역 가맹점에서 쓸 수 있는 일종의 상품권입니다. 골목경제를 살리기 위해 발행하는 것이어서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에선 사용할 수 없습니다. 현재 전국 120개 지방자치단체가 지역화폐 도입을 추진 중이라네요. 청년수당, 아동수당 같은 복지예산이 지역화폐로 발행...

» More

[로봇] 화재 진압하는 자율주행 소방로봇

위험 현장에 소방관 대신 투입 캐논봇-호스봇이 짝 이뤄 이동 소방관을 대신해 위험한 화재 현장에서 활약할 소방로봇이 등장했다.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은 최근 도쿄 국립소방방재연구소에서 소방로봇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시범을 보였다. 이 로봇은 화학공장처럼 소방관을 투입하기에는 너무 위험한 화재 현장에서 쓰기 위한 것이다. 공개된 시범 동영상을 보면 이 로봇 소방관은 물대포를 쏘는 캐논봇과 호스를 갖고 다니는 호스봇으로 이뤄져 있다. 전용 컨테이너차량에 실려 화재 현장 인근에 도착한 두 로봇은 위치정보시스템(GPS)와 레이저 센서를 이용해 서로 일...

» More

[진화] 고래 조상은 다리가 넷...뭍에서도 살았다

4300만년전 고래 화석 분석 결과 발에는 물갈퀴..육상생활도 겸해 남아시아서 건너간 것으로 추정 6600만년 전 공룡이 멸종한 이후 등장한 고래의 조상은 원래 다리가 네 개인 육상 동물이었다. 그러다 먹을 것을 찾아 바다로 이동하면서 서서히 바다 생활에 적응해간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한다. 초기 고래의 진화 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는 화석에 대한 분석 결과가 발표됐다.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실린 연구 논문에 따르면 다리가 네 개인 이 고래 화석 화석이 발견된 곳은 동태평양 페루 해안에서 내륙으로 1km 들어온 지점...

» More

[로봇] 보스턴 다이내믹스, 물류로봇 시장 진출

인공지능 기술 신생기업 인수 산업용 모바일 로봇 내놓기로 모기업 소프트뱅크 방침인 듯 미국의 대표적인 로봇 연구개발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마침내 로봇 시장에 진출한다. 그동안 연구용 시제품을 팔아왔던 단계에서 벗어나 상용 제품을 내놓는다. 회사 출범 17년만이다. 그 첫 대상은 물류하역 로봇이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2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의 신생기업 키네마 시스템(Kinema Systems)을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실리콘밸리에 기반을 둔 키네마는 영상 센서와 딥러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상자 하역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피크 시스템' 기술을 확보하고...

» More

[화보] 우주에서 본 지구의 봄

미 남캘리포니아 일대 뒤덮은 야생화 적당한 겨울 비와 기온이 만든 조화 겨울이 가고 봄이 왔음을 알려주는 최고의 전령사는 역시 꽃이다. 들판과 계곡, 산 허리에 흐드러지게 핀 봄꽃을 보노라면 새롭게 시작하는 봄 기운을 한가득 받는 느낌이다. 우주에서 본 지구의 봄 모습에서도 이런 기운을 느낄 수 있을까? 온천지가 야생화로 뒤덮인 미 서부 남캘리포니아의 초원을 위성에서 촬영한 사진이 잇따라 공개됐다. 미국의 위성영상정보업체 디지털글로브의 월드뷰2 위성과 미 항공우주국(나사)의 지구관측위성 랜드샛8이 촬영한 사진이다. 이 지역은 원래 덥고 건...

» More

[언어] 언어 습득에 필요한 정보량은?

1.5메가바이트…`플로피 디스크' 한 장 분량 연구진 "첫 계량화 시도...생각보다 적은 양" 한 언어를 막힘없이 구사하는 수준으로 습득하려면 얼마나 많은 정보량이 필요할까? 흥미롭긴 하지만 선뜻 손대기가 어려울 법한 연구 과제다. 프랜시스 몰리카(Francis Mollica) 미 로체스터대 뇌인지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수학의 정보이론을 이용해 영어를 대상으로 이에 도전했다. 정보이론이란 확률분석을 토대로 정보의 양을 측정하는 응용수학의 한 분야다. 연구진은 태어나서부터 18세까지를 언어 습득 과정으로 가정하고 이 기간중 언어 정보를 얼마나 뇌 속에 ...

» More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