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불의 천체’ 이오에서 화산 분출 2개 기둥 포착

탐사선 주노, 1500㎞ 근접비행서 촬영 목성 탐사선 주노가 2월3일 위성 이오에서 포착한 2개의 화산 분출 기둥. 3800㎞ 떨어진 거리에서 찍은 사진이다. 나사 제공 목성에서 가장 가까운 위성 이오의 활화산에서 지평선 위로 솟아오르고 있는 2개의 기둥이 발견됐다. 미 항공우주국(나사)은 목성 탐사선 주노가 지난 3일 이오에서 1500㎞ 떨어진 곳까지 근접비행하면서 촬영한 사진을 분석한 결과, 3800㎞ 거리에서 찍은 사진에서 이 장면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주노의 이날 비행은 지난해 12월30일에 이은 두 번째이자 마지막 최근접 이오 비행이다. 이오는 태양계에서...

» More

[건강] 암세포 안에서 약물을 만든다...새로운 암 치료법 임상시험

코로나19 백신 제조에 쓰인 메신저RNA 이용암 세포 안에서 면역세포 유인 단백질 생산 암세포(파란색, 가운데)를 둘러싸고 있는 킬러 T 세포(녹색 및 빨간색). 위키미디어 코먼스 코로나19 퇴치에 혁혁한 공을 세운 메신저RNA가 암 치료 분야에서도 -새로운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 메신저RNA란 세포에 특정한 단백질을 만드는 지침을 전달하는 유전물질을 말한다. 코로나19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의 돌기(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지침을 담은 메신저RNA로 이뤄져 있다. 백신이 주입된 팔 근육 세포 안에서 이 단백질이 만들어지면 우리 몸의 면역세...

» More

[화보] 온천장의 결투…“아무나 못 들어가”

과학자들이 연구 현장서 포착한 순간들프랑스국립과학연구원 후보작 20편 선정 원숭이들의 온천장 결투. @ C. Sueur/ Institut pluridisciplinaire Hubert Curien (IPHC) 과학자들이 연구 현장에서 찍은 과학 사진 공모전 ‘이미지 증거’(Proof in images)의 최종 후보작들이 공개됐다. 프랑스국립과학연구원(CNRS)과 프랑스어권 과학자 네트워크 아크파스(Acfas)의 캐나다지부가 공동 주최하는 이 공모전은 올해로 5회째를 맞았다. 연구원은 웹사이트(https://www.concours-preuve-image.fr/vote-du-public/)에 후보작 20편을 올려 놓고 누리꾼을 대상으로 인기 투표를 진행하고 ...

» More

[건강] 슈퍼푸드 토마토엔 강력한 항균 효과도 있다

토마토 주스 실험서 장티푸스균 등 사멸 확인 대표적 건강 식품 가운데 하나인 토마토에 장내 유해균을 제거하는 항균 효과까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픽사베이 세계인이 가장 즐겨 먹는 야채(또는 과일) 가운데 하나인 토마토는 미국 시사주간 타임이 선정한 세계 10대 슈퍼푸드에 들기도 한 대표적인 건강 식품 가운데 하나다. 비타민 C, 비타민 K 등 영양소가 풍부하고, 항산화 성분인 ‘라이코펜’이 토마토에 많이 들어 있다. 잘 익은 토마토가 빨간색을 띠는 것은 라이코펜 때문이다. 라이코펜은 나쁜 콜레스테롤(LDL)이 쌓이는 걸 막아줘 심혈관 질환을 예방...

» More

[건강] 비만치료제 ‘만병통치약’ 되나…치매·파킨슨병에도 효과 기대

염증 완화 효과, 뇌에도 작용하는 듯노보노디스크, 임상시험 2건 진행중 비만치료제의 염증 완화 효과가 알츠하이머병 치료에도 먹혀드는지 알아보는 임상시험이 진행중이다. 픽사베이 미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고 있는 비만치료제가 치매의 주원인인 알츠하이머병 치료에도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수용체 작용제로 불리는 이 약물이 간, 신장, 심장 등 다양한 장기에 발생한 염증을 줄여주는 효과에 근거한 판단이다. GLP-1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혈당을 조절하고, 포만감을 불러 식욕을 억제하는 데 관여...

» More

[인구] 친족의 미래...증조부모는 있는데 사촌은 없다

저출산 고령화의 영향으로 이번 세기말 가족을 포함한 친족의 수는 35%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Rajiv Perera/unsplash 유엔 인구 전망에 따르면 80억명대에 진입한 세계 인구는 2086년 104억명을 정점으로 점차 하락 국면으로 들어선다. 이 흐름을 떠받치는 세 가지 축이 저출생과 고령화, 그리고 도시화다. 이 세 물줄기가 만나는 자리에서 일어나는 소용돌이가 있다. 한 개인이 태어나서 성장해 삶을 마칠 때까지 생활의 원동력 내지는 보호막 역할을 하는 가족 또는 친족 구조의 변화다. 20세기 후반 도시화의 진행과 함께 전통의 대가족 구조를 대신해 ...

» More

[IT] 머스크의 뉴럴링크, 사람 뇌에 무선 칩 첫 이식

“수술 뒤 신경자극 감지…잘 회복 중” 뉴럴링크의 뇌 이식 칩 개념도. 뉴럴링크 제공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개발업체 뉴럴링크가 사람의 뇌에 무선 칩을 성공적으로 이식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29일 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어제 첫 환자가 뉴럴링크 칩을 이식받았다”며 “칩 이식 후 신경 자극이 감지됐으며 현재 환자는 잘 회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뉴런을 감지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앞서 미 식품의약국(FDA)은 지난해 5월 뉴럴링크의 뇌 이식 칩 임상시험을 승인했으며, 뉴럴링크는 지난해 9월 임상시험 ...

» More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