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경남 충북 보수층, “진보 교육감” 선호 급증

지방선거 결과 분석 시리즈4

1. 당선자 3930명 재산 분포

2. 2012년 대선과 비교한 표심 변화

3. 2000년대 전체로 본 표심 변화

4. 시도지사와 교육감 선거 결과 비교

5. 광역, 기초의회 여야 판세 변화

 

보수 시도지사와 진보 교육감에 투표한 유권자층 상당수

충남은 거꾸로 야당 도지사와 보수 교육감 투표층 두터워

 

지난 6.4 지방선거에서 가장 큰 이변은 어쩌면 교육감 선거라고 할 수 있다. 전체 17곳 가운데 13곳에서 진보 성향의 교육감이 당선했다. 시도지사 선거가 야당 9 대 여당 8이었으니, 시도지사는 여당에 표를 주고 교육감 선거에서는 반대 성향의 투표를 한 이들이 상당수에 이른다는 이야기다. 어느 지역 유권자들이 이런 엇갈린 투표 행태를 많이 보였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국 시군구별로 교육감 1위와 시도지사 1위를 비교했다.

 

아래 지도를 보면 시도지사는 보수 여당 후보를 지지했지만 교육감은 진보 성향의 후보를 지지한 이들은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경기도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4-교육감-시도지사-비교.jpg

부산은 재선을 시도한 임혜경 후보가 중구에서 1위를 한 것을 빼고 모든 구에서 진보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진보 후보가 1위를 차지한 15곳 가운데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남구, 해운대구, 사하구, 금정구, 수영구 등 10곳은 시장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1위를 차지한 곳이다.

도지사 선거 결과와 교육감 선거 결과가 가장 엇갈린 지역은 경남이라고 할 수 있다. 도지사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홍준표 후보가 새정치민주연합 김경수 후보를 20%포인트 이상의 차이로 크게 이겼지만, 교육감 선거 결과는 정반대로 나왔다. 고성군, 통영시, 합천군, 창녕군을 뺀 대부분의 지역에서 도지사와 교육감 투표 결과가 엇갈리는 양상을 보였다.

 

■ 경기도는 보수화 경향도 엿보여

충청북도, 강원도도 도지사는 여당 후보를 지지했지만 교육감은 진보 성향 후보를 찍은 유권자들이 상당히 많은 곳이다. 언뜻 보기에는 경기도도 비슷한 성향이 나타나는 듯 하지만, 지난 2010년 5회 지방선거와 비교해보면 이런 양상은 도리어 약화됐음을 알 수 있다. 2010년에는 가평군을 제외한 전체 시군구에서 진보 성향 교육감이 1위를 차지했지만 이번에는 6개 시군구에서 보수 성향 후보가 1위를 했다. 흔히 교육감 선거에서 세월호 사건이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지만, 경기도의 양상을 보면 의문이 남는다.

충청남도 또한 특이한 양상을 보인다. 야당 도지사 후보와 진보 성향 교육감 후보가 나란히 당선한 지역이지만, 천안과 아산, 서천, 태안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보수 성향의 교육감 후보가 1위를 했다. 특히 도지사는 야당 후보가 1위를 했지만 교육감은 보수 성향으로 돌아선 지역이 전체 16개 시군 가운데 9곳에 달한다. 보수 성향 교육감 후보가 당선된 대전도 비슷한 성향이 나타나는 것 또한 흥미로운 점이다.

2010년과 2014년 선거 결과만으로 보면 교육에 있어서 가장 보수적인 색채가 강한 곳은 대구, 울산, 경북, 대전 그리고 충남 농촌지역과 경기 농촌지역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글 주소: 한겨레 데이터 블로그 http://plug.hani.co.kr/data/1844626
중앙선관위원회 투,개표 자료 새창에서 보기

신기섭 기자 marishin@hani.co.kr
트위터 계정: twitter.com/Hanidatablog
창작물 저작권은 한겨레신문사에 귀속됩니다.
TAG

댓글 쓰기

15개 재보궐 선거구 중 3곳은 1위 불변 지역

지방선거 결과 분석 시리즈3

1. 당선자 3930명 재산 분포

2. 2012년 대선과 비교한 표심 변화

3. 2000년대 전체로 본 표심 변화

4. 시도지사와 교육감 선거 결과 비교

5. 광역, 기초의회 여야 판세 변화

 

해운대기장갑 울산남구을은 새누리... 광주 광산을은 새정치연합

전국 251개 시군구 중에선 46곳이 15년 동안 한 정당만 찍어

 

지난 6.4 지방선거도 그렇지만, 매번 투표함을 열어보면 예상밖의 결과들이 나온다. 하지만 길게 보면 현안에 따라 유권자들의 투표 성향이 바뀌는 지역은 제한되어 있다. 상당수의 지역은 웬만해서는 지지 정당이 바뀌지 않는다. 7월30일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가 치뤄질 15개 선거구 가운데도 상당수는 비슷한 상황이다. 재보궐 선거구를 중심으로 2000년 16대 총선부터 지난 6월4일 6회 지방선거까지 11번의 주요 선거(대선, 총선, 시도지사 선거) 결과를 시군구별 1위 정당 변화 측면에서 분석했다.

 

15개 선거구, 21개 시군구 가운데 부산 해운대구기장군갑(해운대구 대부분의 지역이 포함됨), 광주 광산구을, 울산 남구을은 11번의 주요 선거에서 1위 정당이 한번도 바뀌지 않은 지역이다. 해운대구기장군갑과 울산 남구을은 한나라, 새누리당 후보가 계속 1위를 했고 광주 광산구을에서는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으로 이어지는 전통 야당이 절대 우위를 지키고 있다. 전라남도 나주시와 화순군 곡성군 담양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또한 노무현 정부 시절 민주당과 열린우리당의 분열 때를 빼면 야당 지지가 굳건하다. 반면 전남 지역 중 순천시는 지난 총선에서 통합진보당 김선동 후보가 민주통합당 후보를 이긴 지역이다. 또 경기 김포시는 2004년 17대 총선 이후 한나라, 새누리당으로 이어지는 여당 지지가 흔들리지 않고 있다.

반면 서울 동작구을, 대전 대덕구, 경기 수원시을(권선구), 수원시병(팔달구), 수원시정(영통구), 충주시, 충남 서산시와 태안군은 상대적으로 1위 정당이 자주 바뀌는 지역이다. 이런 역대 선거 결과만 놓고 보면, 이번 재보궐선거의 승패는 서울, 대전, 수원, 충주, 서산-태안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아래는 재보궐선거 지역 가운데 1위 정당 변화가 잦았던 9개 선거구의 읍면동별 민심 변화도다.

서울동작을.jpg
■ 재보궐 출마자: 나경원(새누리) 기동민(새정치민주연합) 유선희(통합진보당) 노회찬(정의당) 김종철(노동당)


대전대덕구.jpg
■ 출마자: 정용기(새누리) 박영순(새정치민주연합)


수원시을.jpg
■ 출마자: 정미경(새누리) 백혜련(새정치민주연합) 윤경선(통합진보당) 박석종(정의당)


수원시병.jpg
■ 출마자: 김용남(새누리) 손학규(새정치민주연합) 임미숙(통합진보당) 이정미(정의당) 강방원(무소속) 이계종(무소속)


수원시정.jpg
■ 출마자: 임태희(새누리) 박광온(새정치민주연합) 김식(통합진보당) 천호선(정의당) 정진우(노동당)


평택시을.jpg
■ 출마자: 유의동(새누리) 정장선(새정치민주연합) 김득중(무소속)


김포시.jpg
■ 출마자: 홍철호(새누리) 김두관(새정치민주연합) 김성현(정의당) 고의진(무소속) 이재포(무소속)


충주시.jpg
■ 출마자: 이종배(새누리) 한창희(새정치민주연합) 김종현(통합진보당)


서산시태안군.jpg
■ 출마자: 김제식(새누리) 조한기(새정치민주연합) 박태권(무소속)


아래는 전국 시군구별로 본 1위 정당 변동 양상이다.

전체 251개 시군구 가운데 11번의 선거에서 단 한번도 1위 정당이 실질적으로 바뀌지 않은 곳은 서울 관악, 서초, 강남구를 비롯해 46곳(전체의 18%)에 달한다. 1위 정당이 한번 바뀐 곳은 여당이 우세한 지역으로는 21곳, 야당이 우세한 지역으로는 25곳이 있다. 이런 지역은 대부분 영호남이다.

1위 정당이 가장 많이 바뀐 지역은 충청도 지역이다. 그동안 새누리(한나라), 선진당(자민련), 새정치민주연합(민주당)이 치열한 각축을 벌이는 양상을 보였다. 1위 정당이 가장 많이 바뀐 곳은 충북 증평군으로 11번의 선거에서 9번에 달한다. 2006년 4회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정우택 도지사 후보가 1위를 차지하고 한해 뒤 17대 대선에서 이명박 후보가 1위를 한 것을 빼고는 계속 1위 정당이 바뀌었다. 두번째로 1위 정당이 많이 바뀐 곳은 충남 아산시로 11번의 선거에서 7번 1위가 바뀌었다.

전국1.jpg

■ 1위 정당이 단 한번도 바뀌지 않은 시군구
서울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부산 중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남구 해운대구
대구 중구 동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
울산 중구 남구
경기 성남시분당구 파주시 양평군
전북 전주시완산구 덕진구 군산시 익산시 김제시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경북 포항시남구 포항시북구 김천시 구미시 영주시 영천시 경산시 영덕군 청도군 성주군 울릉군
경남 창원시마산합포구 창원시진해구 통영시 밀양시 산청군 거창군


■ 글 주소: 한겨레 데이터 블로그 http://plug.hani.co.kr/data/1806746
중앙선관위원회 재보궐 선거 정보, 새창에서 보기

신기섭 기자 marishin@hani.co.kr
트위터 계정: twitter.com/Hanidatablog
창작물 저작권은 한겨레신문사에 귀속됩니다.
TAG

댓글 쓰기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