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막바지에 더위 맹위, 280여곳 31일에 최고 기온

전국 675개 기상 관측지점의 7월 기온 3년치 비교

올해는 상순, 지난해는 중순, 2012년은 하순에 높아

7월 마지막 이틀 동안 더위가 맹위를 떨쳤다. 31일 서울, 부산, 대구, 인천을 비롯한 283개 지역의 최고 기온이 7월 들어 가장 높게 치솟았다. 이 때문에 “올해가 가장 더울 것 같다”고 걱정하는 이들도 꽤 있을 듯 하다. 더위를 느끼는 정도는 처지나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지역별 차이도 상당하다. 하지만 신문이나 방송을 통해 흔히 접하는 날씨 정보는 몇십군데의 자료에 불과하다. 전국 각 지역의 올해 7월 기온을 세밀하게 보기 위해 기상청이 공개하는 675곳의 상세관측자료 3년치를 비교했다. (기상청이 공식 기록용으로 관리하는 자료는 이 가운데 기상대나 관측소가 있는 70여곳이어서, 이 분석은 공식 기록과는 차이가 있다.)

 

먼저 서울, 부산, 대구, 인천의 지역별 한달 기온 변화를 비교했다. 같은 서울이라고 하더라도 기준점이 되는 종로구와 노원구 공릉동, 강남구 삼성동은 차이가 있는데, 특히 공릉동의 하루 중 가장 낮은 기온(보통 새벽 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부산의 경우 부산진구가 중구(기준지점)나 해운대보다 좀더 더웠고, 대구는 지역별 격차가 비교적 적다. 인천은 부평구의 기온이 확실이 높았다. 지난해(그래프의 회색선)와 2012년(파란선)의 날짜별 최고 기온을 비교해보면 4대 도시 모두 하순의 기온이 지난 두해보다 조금씩 낮다가, 31일에는 2012년 수준으로 올라갔다.

four-cities.jpg


올해 7월 하순이 지난 2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다는 것은 전체 675곳을 비교해보면 더 확연하다. 아래 그래프에서 보듯이, 올해 7월 10, 11, 14일에는 날짜별 최고 기온이 지난 2년보다 높은 지역이 400곳을 훌쩍 넘겼다. 그 이후 20일까지는 지난해 기온이 올해나 2012년에 비해 높은 지역이 많았다. 하순에는 2012년이 가장 더웠던 지역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 그래프의 높이는 최고 기온 격차와는 무관하다. 그래프 높이가 얼마나 더 더웠는지를 보여주는 게 아니라는 뜻이다.)

july-high-graph.jpg


최근 3년동안 언제 어느 지역이 얼마나 더 더웠는지를 짐작해보기 위해 7월 최고 기온과 날짜별 최저 기온의 최고치를 지도로 그렸다. 빨간색으로 칠해진 지도는 7월 한달동안 지역별로 가장 높게 올라갔던 기온을 보여준다. 2012-14년 평균적으로 보면, 대구와 경북, 경남 동부 지역의 최고 기온이 역시 가장 높다. 눈에 띄는 건, 올해 7월 대구와 인근 경북 지역의 최고기온이 지난해나 2012년보다도 높았다는 것이다. (가장 오른쪽 지도의 검은색에 가깝게 표시된 지역) 이 지역은 월말, 특히 31일에 최고 기온이 37.5도 이상으로 치솟은 지역이다. 드문드문 노란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대체로 높은 산 지역이다.

최고 기온도 문제지만, 이에 못지 않게 문제가 되는 것이 최저 기온이다. 밤이 되어도 기온이 잘 안떨어지면 이만저만 고통스러운 게 아니다. 아래쪽 지도는 날짜별로 가장 낮았던 기온(31개 자료) 중 가장 높은 기온이 몇도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하늘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한달 내내 어느 순간에는 기온이 25도 아래로 내려갔다는 뜻이다. 밤보다 낮의 기온이 더 낮은 일은 거의 없으니, 이 지역은 한달 내내 열대야를 겪지 않았다고 봐도 무방하다. (열대야는 오후 6시1분부터 다음날 아침 9시까지 기온이 25도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 것을 뜻한다.) 노란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한달 중 어느날인가는 25도 아래로 기온이 떨어지지 않은 적이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꼭 열대야가 발생했다는 뜻은 아니다. 이런 날이 이틀 연속 곧 전날 오후 6시1분부터 자정까지, 그리고 당일 0시부터 아침 9시까지 25도 이상을 유지해야 열대야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다만 밤에도 꽤 더웠던 지역임에는 틀림없다. (아래 지도를 누르면 더 크게 볼 수 있다.)

july2012-14-big.jpg


올해 7월은 지난 두해와 비교해서 최고 기온이 낮은 편은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워낙 가물어서 체감 온도는 낮았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월말에 기온이 치솟아서 8월 더위가 어떨지 걱정되는 상황이다. 기상청의 예고로는 8월 기온이 평년(30년 평균)과 비슷하거나 높을 것이라고 한다.

 

■ 글 주소: 한겨레 데이터 블로그 http://plug.hani.co.kr/data/1874198
기상청 지역별 상세관측자료 새창에서 보기

신기섭 기자 marishin@hani.co.kr
트위터 계정: twitter.com/Hanidatablog
창작물 저작권은 한겨레신문사에 귀속됩니다.
TAG

댓글 쓰기

무더위로 배추 소비자값 20% 이상 올라

속초 영동(충북) 예산 경산 의령 특히 올라

충남 일부, 경남북 일부는 큰 변동 없어

지난 겨울 따뜻한 날씨 덕분에 생산이 크게 는 이후 최근까지 바닥권을 형성하던 채소값이 7월 들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지자체가 자체 조사해서 제공하는 배추의 소비자 가격을 모아본 결과, 7월 중순 소비자 가격이 한달 전에 비해 대체로 20% 정도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3kg 짜리 배추 한 포기 소비자 값이 서울 대형 매장의 경우 6월 중순 2300원 선에서 7월 중순 2820원으로 올랐다. (서울시는 전 지역의 재래 시장과 대형 매장의 물가를 주기적으로 상세하게 공개하고 있지만, 배추의 경우 중량까지 정확하게 표시한 정보는 드물다. 이 자료는 중량까지 정확히 표시한 대형 매장 가격의 평균치다.) 부산도 마찬가지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해운대구와 부산진구를 확인해본 결과 각각 33%, 63%나 올랐다. 대구시가 제공하는 대형 매장 평균치로는 49%, 광주는 64%가 올랐다. 인천은 시 차원에서 공개하는 자료는 찾기 어렵고 서구와 남동구의 구청이 제공한 자료를 보니 각각 56%, 45% 올랐다. 대전은 시에서 제공하는 6월치 자료가 없어 상승률은 확인이 안되고 7월 소비자 가격은 한 포기에 2508원으로 다른 대도시보다 조금 싼 편이다. 울산 평균 상승률은 18%로 광역시 가운데 가장 낮았다.

도 지역 중에서는 강원, 충남북, 경남북이 지역별 소비자 물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통합해서 제공한다. 전라남도도 도 차원에서 취합해 제공하지만 공개되는 지역이 목포 등 6곳밖에 안된다. 경기도는 도 차원의 물가 정보 사이트가 있으나 7월 24일 현재 접속되지 않는다. (아래 경기도 자료는 인구가 많은 시군 사이트를 중심으로 직접 확인해서 확보한 것이다.) 전라북도도 물가 정보가 부실한 지자체다.

도 지역의 배추값과 가격 상승률은 지역별 편차가 상당히 크다. 경기도 수원시(63%), 강원도 속초시(71%), 충북 영동군(58%), 충남 예산군(146%), 전남 여수시(63%), 경북 경산시(177%), 경남 의령군(59%)이 특히 배추값이 많이 오른 지역이다. 경기도 동두천시(4%), 강원도 동해시 홍천군(7%), 충북 음성군(변동없음), 충남 공주시 보령시 서산시(변동없음) 서천시(10% 내림), 경북 영양군(7%) 포항시(6%) 영덕군(1% 내림) 성주군(8% 내림) 청송군(16% 내림), 경남 밀양시(변동없음) 합천군(27% 내림)은 값이 안정된 지역이다. (모든 지자체가 같은 기준으로 물가를 수집하는지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별 차이는 단순 참고용으로 보는 게 좋다. 이에 비해 같은 도내 지역간 비교는 좀더 정확할 여지가 있다.)

 

6-7월배추가격.jpg


각 시도 물가 정보 사이트 목록(주소를 누르면 새창에서 열림)
■ 서울특별시 물가정보 사이트
■ 부산광역시 물가정보망
■ 대구광역시 대형소매점 동향
■ 인천광역시 (시 홈페이지에서 물가 정보 찾지 못함)
■ 광주광역시 주요 생필품 물가동향
■ 대전광역시 주요생필품 물가동향
■ 울산광역시 비교물가정보
■ 경기도 물가정보(http://mulga.gg.go.kr) 접속 불가. 도 홈페이지에서 물가 정보 찾지 못함.
■ 강원도 물가정보망
■ 충청북도 소비생활센터 주간 지역물가동향
■ 충청남도 물가정보
■ 전라북도 물가정보 (여성소비자연합이 운영 대행, 자료 극히 부실)
■ 전라남도 소비 물가정보센터
■ 경상북도 물가관리 시스템
■ 경상남도 물가정보시스템 주간 물가동향
■ 제주특별자치도 물가정보

 

전국 주요 지역의 배추(3Kg 짜리) 한 포기 소비자 자격
지역6월 중순7월 중순상승률비고
서울특별시2316282022%중량 공개된 대형 매장 평균
부산 해운대구2460327033%시 제공 평균치
부산 부산진구1965319563%시 제공 평균치
대구광역시1836273649%대형 매장 평균
인천 서구1578246356%구 공개 자료
인천 남동구1863269745%구 공개 자료
광주광역시4341710764%대형 매장 평균
대전광역시2508대형 매장 평균
울산광역시4404517818%시 제공 평균치
경기도 (공개된 각 시 자체 자료)
수원시2301374763%대형 매장 평균, 7월치는 첫주
평택시2475364847%6월치는 10일
광주시2685377741%
성남시2844384035%
의정부시1995268835%7월치는 5일
고양시2799352526%
안양시2970354019%
구리시3492404116%
동두천시344735974%6월치는 12일
강원도 (도 제공 평균치)
속초시2625450071%
화천군2625375043%
인제군2925401337%
영월군3278440334%
강릉시3105389025%
춘천시3332414824%
태백시3081374622%
양구군3750450020%
횡성군3000356319%
고성군2624299914%
원주시2772307511%
정선군2150236310%
삼척시328235518%
철원군348037508%
동해시306332887%
홍천군299031917%
충청북도 (도 제공 평균치)
영동군2030321058%
제천군1800281556%
청원군1350198047%
진천군2000280040%
보은군3000400033%
단양군2000260030%
청주시2000249025%
충주시2200269022%
옥천군2500300020%
증평군2000220010%
괴산군140015007%
음성군250025000%
충청남도 (도 제공 평균치)
예산군13443300146%
태안군2400420075%
천안시1800300067%
논산시3000450050%
당진시2100270029%
계룡시225023705%
공주시300030000%
보령시105010500%
서산시300030000%
서천시60005400-10%
부여군5100
전라북도 (각 시군 자료)
남원시6081818135%
무주군2250300033%
전주시3750435016%중량 공개된 특정매장 가격
전라남도 (도 제공 평균치)
여수시2000325063%
목포시1600250056%
보성군2000300050%
광양시1580219039%
나주시3650500037%
순천시1410183530%
경상북도 (도 제공 평균치)
경산시19445385177%
안동시3033455450%
고령군4050600048%
문경시2619384947%
상주시3024408935%
예천군3681496535%
영주시2916383732%
청도군2880375030%
경주시2598331227%
칠곡군2061262527%
봉화군3198405027%
의성군4200525025%
구미시5529666321%
김천시2643318320%
군위군4500525017%
영천시2793309911%
울릉군4050444010%
영양군840090007%
포항시377140056%
영덕군52505199-1%
성주군41763849-8%
청송군33992850-16%
울진군4125
경상남도 (도 제공 평균치)
의령군4731751559%
창원시(옛 마산)2634382845%
양산시5679773736%
창원시(옛 창원)3567483936%
사천시2937378329%
진주시2919369927%
창원시(옛 진해)4377548125%
하동군3339414024%
통영시4473509714%
거제시3420386113%
고성군3792426613%
남해군2850315011%
밀양시217821780%
합천군27452001-27%
창녕군4500
함양군4140
거창군2514

 

■ 글 주소: 한겨레 데이터 블로그 http://plug.hani.co.kr/data/1859664

신기섭 기자 marishin@hani.co.kr
트위터 계정: twitter.com/Hanidatablog
창작물 저작권은 한겨레신문사에 귀속됩니다.
TAG

댓글 쓰기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