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사우디아라비아, 아프간전쟁의 자양분

 사우디 왕국의 탄생, 와하브와의 동맹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대항하는 무자헤딘의 투쟁을 지원한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공작이 CIA의 대소련 공작 사상 가장 성공적인 길로 접어들게 한 자양분은 사실 이슬람권 내부에서 나왔다. 특히 이슬람의 종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슬람권의 변방인 파키스탄에서 그 자양분의 대부분이 나왔다. 이슬람권의 중심과 변방에서 동시에 분출된 그 자양분은 이슬람주의였다. 이슬람주의가 소련의 아프간 침공을 계기로 분출되게 된 배경을 보려면 우리는 시계를 멀게는 18세기까지 되돌려, 아라비아 반도 내부의 척박한 ...

» More

2. 소련의 아프간 수렁/중앙정보국의 비밀공작

 탱크 등 막강한 화력을 앞세운 소련군은 곧 주요 도시와 이 도시들을 잇는 도로와 인근 지역들을 장악했다. 하지만, 그뿐이었다. 위의 지도에서 보듯, 소련군은 붉은 화살표 방향으로 침공하면서 그 지역들을 장악해, 주요 도시를 잇는 가는 띠 모양의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보했다. 하지만, 소련군이 진입하지 못한 아프간의 광막한 황야와 산악 지대는 무인지경으로 그대로 남았다. 무자헤딘들의 무대가 됐다. 소련군 개입 1년 전부터 군사 활동을 시작한 무자헤딘들은 소련군 침공을 전후해 시작된 미국 중앙정보국의 무기 지원을 받으면서 갈수록 활동력을 높여...

» More

1.2 '블로우 백'이 만든 소련 침공/하

소련 지도부가 상식에 기초한 개혁과 국정운영을 조언했지만, 카불의 사회주의자들은 권력투쟁으로 힘을 소진하고 있었다. 소련은 카불의 대사관을 보호하려고 위장한 KGB 군사요원을 파견할 지경이 됐다. 이런 상황에서도 타라키는 당내 경쟁자들과의 목숨을 건 권력투쟁에 사로잡혀 있었다. 타라키는 당내의 같은 파벌인 칼크파 소속인 하피줄라 아민 외무장관 겸 혁명위 부의장과도 반목했다. 친소정부를 수립한 1978년 쿠데타의 설계자들인 타라키와 아민은 서로가 양립이 불가함을 느끼게 됐다. 무엇보다도 반란 상황의 악화로 타라키의 입지가 줄어들었고, 소련도...

» More

1.2 '블로우 백'이 만든 소련 침공/상

 파병에 반대했던 소련 아프간의 헤라트에서 봉기가 들불처럼 번지던 1979년 3월17일. 소련 공산당 정치국은 비밀 비상 회동을 했다. 이날 회동에서 유리 안드로포프 당시 국가안보위원회(KGB) 의장은 아프간 사태를 보고했다. 회동은 다음날 있을 정치국 정례회의에 앞서, 심각해지는 아프간 문제에 대한 정치국원들의 입장을 조율하기 위한 것이었다. 3년 뒤 소련의 최고 지도자로 등극하는 안드로포프는 소련 지도부 내에서 비중이 커지는 자신의 입지에다가 소련의 정보기관장으로서 이 회의를 주도했다. 안드로포프의 설명이 아니어도, 소련 공산당 정치국원들은 아...

» More

1.1 크리스마스의 침공/하

중앙과 지방의 조화가 깨진 아프간 공산당 내의 파벌투쟁이 아니어도, 쿠데타로 집권했을 때 아프간의 상황은 교조적인 아프간 사회주의 세력의 역량으로는 이미 감당하기 힘든 수준을 넘어서고 있었다. 그들이 타도한 다우드 정권의 6년 집권 동안 아프간은 중앙과 지방 권력의 조화가 깨지고, 원심력이 터져나오기 시작했다.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까지 영국과 3차례의 전쟁 끝에 독립을 인정받은 아프간은 그 후 다수 종족인 파슈툰족의 무사히니 왕조의 통치 하에서 50여년간(1929~1978년) 비교적 안정을 누려왔다. 사회와 경제가 여전히 봉건적유제가 만연한 후진...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