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살률, 나이와 지역 따라 양극화

80살 이상, 20대의 5-7배...차이 점차 줄어

시도별로는 강원·충청 높고 서울·울산 낮아


2005-13-900.jpg

한국의 자살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것은 익히 알려져있다. 그리고 많은 사람은 연령이나 지역에 상관없이 한국인 전체의 자살률이 높은 것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실상은 이런 생각과 거리가 있다. 통계청이 최근 2013년 사망원인 통계를 발표한 걸 계기로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치 자살률 통계를 상세히 분석했다. (2005년부터 분석한 것은 일반에 공개된 시군구별 사망통계가 2005년치부터이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는 1. 연령 및 시도별 자살률 변화와 자살의 원인 2. 시군구별 상세 비교 및 9년 평균 상위 10곳 들여다보기로 나눠 싣는다.


시군구별 자살률 변화 슬라이드로 보기



1. 연령 및 시도별 자살률 변화와 자살의 원인

자살 통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노인층의 자살이 젊은이들과 비교할 수 없이 높다는 사실이다. 80살 이상의 자살률은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인구 10만명당 100명 이상을 계속 웃돌다가 지난해에 와서야 94.7명으로 떨어졌다. 이 수치는 20대 자살률(15-25명 수준)의 5-7배에 달하는 것이다. 70대의 자살률도 9년동안 67-84명 정도의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런 수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2위인 헝가리보다도 50% 가까이 많은 것이다.(2009년 기준치) 한국 노령층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의 4배에 이른다. 아래 그래프에서 보듯 60살 이상의 자살률은 그나마 조금씩 줄고 있지만, 30-50대의 자살률은 늘고 있는 것도 걱정스런 대목이다. 특히 50대의 자살률은 2005년 34.6명으로 60대(54.6명)보다 상당히 낮았으나, 2013년에는 38.1명으로 60대(40.7명)와 거의 같아졌다.

연령별그래프.jpg


연령별 자살률 (단위: 10만명당 명)
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10대4.53.74.23.54.64.66.55.25.55.14.9
20대15.213.817.713.82122.625.424.424.319.518
30대21.820.621.816.822.424.731.429.630.527.328.4
40대28.229.528.324.926.328.432.834.13430.932.7
50대34.838.134.633.631.132.941.140.141.235.338.1
60대48.551.554.647.147.747.251.852.750.142.440.7
70대7281.980.274.078.5727983.584.473.166.9
80살
이상
114.6127.1127112.8117.3112.9127.7123.3116.9104.594.7


■ 강원, 충청 유독 자살 많아

2005년부터 2013년까지의 자살률 변화를 시도별로 나눠 보면 확연히 드러나는 사실이 있다. 강원, 충남, 충북의 자살률이 다른 시도에 비해 확연히 높다는 점이다. 연령에 따른 자살률 차이를 보정한 '연령 표준화 자살률' 그래프는 이를 뚜렷하게 보여준다. 강원도는 2005년 10만명당 31.7명으로 가장 낮은 서울(20.1명)보다 58%나 높았는데, 2013년에도 32명으로 22.6명인 서울보다 여전히 41% 높았다. (2013년에 자살률이 가장 낮았던 세종시의 14.7명보다는 117% 높은 수치다.) 충남과 충북도 강원도에는 못미치지만 꾸준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전반적으로 보면, 서울을 비롯한 광역시의 자살률이 낮고 도 지역의 자살률은 상대적으로 높은 양상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이 비교는 연령에 따른 자살률 차이를 보정한 것이기 때문에 시도별 연령 분포 차이와는 무관한 것이다.)

시도별그래프.jpg


시도별 연령 표준화 자살률 (단위: 10만명당 명)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전국24.721.323.924.729.128.728.825.125.1
서울20.117.119.620.724.624.324.621.222.6
부산26.121.224.125.929.329.328.626.524.9
대구22.920.422.624.52827.927.522.424.1
인천26.723.524.127.230.73131.229.427.9
광주20.617.523.622.128.830.726.124.621.6
대전27.723.725.322.931.1292924.122.6
울산23.518.321.323.425.924.625.522.823.6
세종시33.614.7
경기26.222.123.224.628.828.929.225.525.8
강원31.727.4333338.136.837.731.432
충북31.32628.430.637.531.933.630.629.3
충남3227.931.730.338.836.936.53030.3
전북23.822.72826.83128.331.625.124.5
전남21.82021.823.8282927.825.825.7
경북25.122.826.225.129.229.73027.125.8
경남26.824.127.42729.229.329.22424.3
제주27.320.524.528.131.730.228.529.430.5


■ 자살이 느는 까닭

한국의 자살이 2000년대 이후 이렇게 높은 수준을 보이는 까닭은 무엇일까? 자살에 대한 국내 연구들이 주로 꼽는 자살 원인은 질병, 가족이나 애인과의 갈등, 경제적 어려움 등이다. 이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국회예산정책처가 1990년부터 2012년까지 23년치의 자살률을 사회경제적 요인들과 비교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지난해 11월 나온 <자살예방사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에 수록된 이 분석 결과를 보면, 자살률 변화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인 요인은 출생률(조출생률, 1년간 태어난 아이 수를 그 해 총 인구로 나눈 수치)이다. 자살률과 조출생률의 상관계수는 -0.921에 달한다. 쉽게 말해 출생률이 늘면 거의 비슷한 양상으로 자살률이 떨어진다는 뜻이다. (다만, 조출생률이 자살률의 원인이 된다거나, 그 반대라는 뜻은 아니다. 상관관계는 원인과 결과로 연결되는 관계와는 다르다. 한 변수가 변할 때 다른 변수가 어떤 연관 속에서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관계수가 1이면 두 변수의 변화가 직선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다. 이에 못지 않게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지니계수(빈부 격차를 보여주는 지표)다. 자살률과 지니계수의 상관계수는 0.915다. 빈부 격차가 늘면 거의 비슷한 양상으로 자살률도 는다고 볼 수 있다. 이혼율과 경제성장률도 자살률과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만 실업률은 40대, 50대 남성을 빼고는 자살률과 거의 무관한 걸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대해 “사회적 불평등 심화, 전통적인 가족구조의 변화 등이 자살률 증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고 풀이했다.

상관관계.jpg

아래 그래프는 경제적 불평등을 고려하며 각 시도를 비교해본 것이다. 1인당 지역내 총생산으로 보면 자살률이 가장 높은 강원도와 충청도가 비슷한 양상을 보이진 않는다. 하지만 2010년부터 공개된 1인당 개인 소득 그래프를 보면 자살률이 낮은 서울, 울산과 자살률이 높은 강원, 충청의 격차가 상당함을 알 수 있다. 다만 1인당 소득이 가장 낮은 전남의 자살률이 강원도나 충청도보다 낮다는 점에서 소득이 시도별 자살률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보는 건 무리다.

시도별경제상황.jpg

 

■ 글 주소: 한겨레 데이터 블로그 http://plug.hani.co.kr/data/1965347
■ 통계청 자료, 새 창에서 보기: 시군구별 사망원인, 성, 사망자수, 사망률, 연령표준화 사망률(2005-2013)
■ 사회경제 요인과 자살률 상관관계 분석 자료, 새 창에서 보기: 국회예산정책처, 자살예방사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신기섭 기자 marishin@hani.co.kr
트위터 계정: twitter.com/Hanidatablog
창작물 저작권은 한겨레신문사에 귀속됩니다.
TAG

댓글 쓰기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