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의 자산 독차지, 올해도 요지부동

상위 20%가 61% 차지, 지난해와 엇비슷

가구소득 많을수록 자산도 많을 가능성 높아

 

한국의 부자들이 자산을 독차지하는 현상이 좀처럼 바뀌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함께 작성한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자산에서 빚을 뺀 순자산 기준으로 상위 10% 부자들이 전체 자산의 43.2%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0.1%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또 상위 20% 자산 부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합치면 전체의 61%에 달한다. 지난해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치다. 가장 가난한 10%는 자산보다 빚이 더 많은데, 이들의 상황도 상대적으로 조금 나빠졌다. 자산 기준 하위 10-20% 계층이 보유한 자산도 약간 줄었다. 최상위층과 최하위층의 감소분은 자산 상위 20-30% 계층, 50-70% 계층이 가져갔다. [ 관련 기사: 올 가계소득 105만원 늘 때 빚은 203만원 늘었다 ]

asset-10.jpg

■ 하위 70%는 순자산이 3억원에도 못미쳐

순자산 액수를 기준으로 가구 분포를 보면, 자산이 3억원에 미달하는 가구가 전체의 70.7%에 달한다. 순자산이 3억원만 넘어도 상위 30%에 든다는 얘기다. 이보다 자산이 많은 계층도 대부분은 크게 넉넉하지 못하다. 순자산이 6억원만 넘어도 상위 10.6% 안에 들 정도다. 서울 강남에 왠만한 아파트 한 채만 있어도, 자산 부자인 셈이다. 많은 사람이 '진짜 부자'로 여길만한 자산 10억원 이상 가구는 전체의 4.2%로 지난해보다 0.1%포인트 늘었다.

asset.jpg

■ 자산 부자는 소득도 많아

소득이 많다고 꼭 자산도 많은 건 아니지만,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둘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많은 계층일수록 자산이 많은 경향이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밝혔다.(둘의 상관계수가 0.5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한다.) 실제로 자산이 전체의 20% 안에 드는 가구 가운데 소득도 전체의 20% 안에 있는 가구가 52.1%에 달한다. 반면에 자산이 가장 적은 하위 20% 가구의 47%는 소득도 하위 20%에 속한다.

income-asset.jpg

■ 시도별 순자산과 소득

시도별로 보면 울산과 서울 시민들이 가장 부유한 것으로 확인된다. 평균치로 보면, 서울 시민이 순자산 3억8988만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울산 시민이 3억698만원으로 나타나지만, 중앙값(전체를 100으로 했을 때 50번째 가구)으로는 울산이 2억3876만원으로 서울(2억768만원)을 앞선다. (평균치는 자산이 아주 많은 가구가 있으면 크게 오르기도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평균 가구의 상황을 보려면 중앙값이 더 나을 수도 있다.) 순자산의 중앙값 기준으로 보면, 인천 강원 전라 제주가 다른 시도에 비해 더 낮다. 인천과 제주는 울산보다 1억원 가량 적고, 전라남북도는 각각 1억1496만원과 1억1262만원으로 울산의 절반 수준이다.

새 창에서 띄워 보기(모바일에서 보기 편함)

시도별 가구 소득도 자산과 큰 차이가 없다. 울산이 평균치로든 중앙값으로든 전국 1위이고, 평균치로는 서울, 경기가 뒤를 잇는다. 중앙값으로 보면 대전이 2위이고 경기도가 3위를 기록했다. 전라도와 제주도는 자산과 마찬가지로 소득도 적은 지역이다. 시도별 가구 소득은 중앙값 기준으로 최저 3041만원(전남)부터 최고 5160만원(울산)까지의 분포를 보인다.

새 창에서 띄워 보기(모바일에서 보기 편함)

 

■ 빈부 격차 지표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로 보면 한국의 빈부 격차는 최근 몇년 사이 조금 완화됐다. (지니계수가 0이면 아주 고른 것이고 1이면 극도로 불공평한 것이다. 또 소득5분위배율은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의 몇배에 달하는지를 보여준다. 이 수치가 낮을수록 부자와 가난한 이의 격차가 적다.) 하지만 빈부 격차에 관한 공식 통계인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보다 가계금융복지조사의 소득분배지표가 대체로 나쁘게 나타난다. 이런 격차는 조사 방식 등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통계청은 지적했다.

한편 두 조사 모두 정부 정책이 소득 격차를 줄이는 효과를 내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각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 곧 '시장소득'보다, 시장소득에 공적 지원금을 더하고 세금 등 공적 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한 지표가 더 낮게 나타난다. 이는 세금 등 공적 지출이나 공적 지원금이 저소득층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하는 걸로 풀이할 수 있다. 다만, 개선효과가 해를 거듭할수록 더 커지는 정도에 이르지는 못하는 걸로 나타난다.

소득분배지표 차이 (가계동향조사 대 가계금융복지조사)
가계동향조사가계금융복지조사
시장소득처분가능소득개선효과시장소득처분가능소득개선효과
지니계수2012년0.3380.3070.0310.3820.3520.030
2013년0.3360.3020.0340.3800.3470.033
2014년0.3410.3020.0390.3800.3440.036
소득5분위배율2012년7.515.541.979.226.792.43
2013년7.65.432.179.326.692.63
2014년8.085.412.679.536.542.99

■ 글 주소: 한겨레 데이터 블로그 http://plug.hani.co.kr/data/2482001
■ 원 자료 새 창에서 보기: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통계청, 보도자료 게시판)

신기섭 기자 marishin@hani.co.kr
트위터 계정: twitter.com/Hanidatablog
창작물 저작권은 한겨레신문사에 귀속됩니다.
TAG

댓글 쓰기

경기 신도시 5곳 아파트 전세, 지난해보다 24% 줄어

2014-2015년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 추이 <2> 경기 신도시

평균 전세가격은 매매가격의 72-78%

신도시 중 분당 전세 가격 유독 강세

저금리가 이어지면서, 주택 전세 가격이 계속 오르고 집주인들의 월세나 반전세 선호로 전세 집을 구하기도 힘들다. 대도시 서민들의 한숨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2014년부터 최근까지 대도시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 추이 분석, 두번째는 경기도 신도시 5곳이다. 이 비교가 부동산 전문기관의 분석과 구별되는 건, '표본'이 아니라 거래 전체를 다룬다는 점이다. 표본이 정확하면 전체의 단순 평균보다 더 추세를 잘 보여줄 수 있지만, 아직 한국의 부동산 통계는 신뢰성이 높지 못하다. 그래서 이 둘을 비교해볼 가치가 있다.

시리즈 목차
1. 서울 아파트 전월세
3. 영남권 아파트 전월세
4. 인천, 광주, 대전 아파트 전월세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실거래가 자료를 기준으로 보면 지난 9월말까지 경기도 전체에서 계약이 이뤄진 전세 건수는 6만5300건이다. 월세(반전세) 계약 건수는 절반인 3만2527건이다. 올해 계약 건수를 2014년 9월까지와 비교해보면, 전세는 지난해 9만888건의 71.8%다. 서울(70.6%)보다 감소폭이 약간 적다. 월세는 지난해 3만6414건의 89.3%다. 지난해보다 월세가 1.7% 는, 서울과 차이가 나는 대목이다. 지난해 9월까지는 전체 아파트 셋집 중 월세가 28.6%를 차지했는데 올해는 33.2%로 상당히 늘었다.(서울은 24.5%에서 31.8%로 증가) 전세 찾기 어렵기는 서울이나 경기도나 마찬가지 현상임을 알 수 있다.

경기도는 서울과 인접한 신도시부터 양평군이나 가평군 같은 농촌 지역까지 특성이 다른 지역이 섞여 있다. 서울 시민과 비슷한 '수도권 도시민'의 주거 상황을 보기 위해 '신도시' 지역 5곳을 따로 떼어내 살펴본다. 5곳은 분당과 판교(성남시 분당구), 일산(일산동구와 서구), 평촌(안양시 동안구), 수지(용인시 수지구), 광교(수원시 영통구)다. 이들 지역의 올해 전세 거래량을 모두 합하면, 지난해 9월까지보다 24% 줄어 30% 감소한 서울보다 사정이 조금 나았다. 매매 가격과 비교한 전세 가격은 강남을 뺀 서울 나머지 지역와 비슷한 수준인 75% 안팎이다.

■ 전세값이 매매값의 72~78%

올해 1월1일부터 8월말까지 성남시 분당구에서 거래된 아파트 4404 채의 제곱미터 당 평균 매매가격은 635만원(평당 2096만원)이었다. 용인시 수지구는 4431개 평균 434만원(평당 1434만원), 안양시 동안구는 4022 채 평균 472만원(평당 1559만원), 수원시 영통구는 3621 채 평균 419만원(평당 1382만원), 일산서구는 4621 채 평균 332만원(평당 1097만원), 일산동구는 2739 채 평균 367만원(평당 1211만원)이다. (일산 합산 평균은 346만원, 평당 1143만원)

올해 8월말까지 거래된 성남시 분당구 전세 아파트 3841 채의 제곱미터 당 평균 가격은 461만원(평당 1523만원)으로 매매 평균 가격의 72.5%다. 용인시 수지구는 2894 채 평균 312만원(평당 1030만원)으로 매매 가격의 71.9%, 안양시 동안구는 2849 채 평균 358만원(평당 1182만원)으로 매매의 75.8%, 수원시 영통구는 1348 채 평균 326만원(평당 1076만원)으로 매매의 77.8%에 달한다. 또 일산서구는 2740 채 평균 252만원(평당 829만원)으로 매매 가격의 75.9%에 이르고, 일산동구는 1589 채 평균 270만원(평당 892만원)으로 73.6%다.(일산 합산 평균은 4329 채 259만원, 평당 853만원, 매매 가격의 74.9%)

매매 가격의 72~78%에 이르는 신도시 전세값은 서울의 강남4구(강남 서초 송파 강동)을 뺀 나머지 지역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서울의 경우 매매 가격이 높은 지역의 전세값이 매매 가격과 비교해 낮은 반면 신도시 지역에서는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 눈에 띈다. 다시 말해, 아파트 가격이 비싼 성남시 분당구의 전세값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세라고 할 수 있다.

신도시 전세값의 상대적 가격 변화는 크지 않다. 평균 매매가격도 거의 변화가 없고, 전세 가격도 마찬가지로 변화폭이 크지 않다. 반면에 월세 가격은 변동폭이 크다. 성남시 분당구와 수원시 영통구, 고양시 일산동구의 월세 가격이 특히 최근 큰 폭으로 떨어졌다.(특정 아파트의 월세 가격이 내렸다는 뜻이 아니라, 신도시 지역에서 아파트 여건이나 상태와 무관하게 한평의 월세를 구할 때 드는 비용이 줄었다는 뜻이다.) 아래 그래프 오른쪽의 월세 가격은 한국감정원이 매달 조사해 추산하는 지역별 전월세 전환율에 따라 전세 가격으로 환산한 것이다.

kyunggi-compare1.jpg

아파트 전세와 월세 가격을 2014년초부터 비교해보면, 성남시 분당구의 전세 가격이 올해 강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매매 가격과 비교한 상대 가격 변화에서도 짐작할 수 있던 점이다. 나머지 지역의 전세 가격도 지난해보다는 대체로 높지만, 그 격차가 분당만큼 크지 않다. 또 분당은 올해뿐 아니라 지난해에도 시기에 따라 월세 가격이 크게 오르내린 것을 알 수 있다.

kyunggi-price1.jpg

■ 전세와 월세 거래 건수 동향

2014년 9월까지와 비교한 전세 거래량은 용인 수지구(2014년의 68.1%인 3043건)가 가장 많이 줄었고, 안양 동안구(69.8%인 2992건), 수원 영통구(70.7%인 1430건), 고양 일산(동구와 서구 합계, 76.9%인 4534건), 성남시 분당구(90%인 4041건) 차례다. 월세 거래량은 분당구가 유일하게 지난해보다 7.5% 는 2290건을 기록했고, 나머지는 모두 지난해보다 감소했다. 일산(94.3%인 2170건)이 가장 적게 줄었고, 이어서 안양 동안구(94.1%인 1255건), 용인 수지(81.4%인 1127건) 차례다. 수원 영통구는 지난해보다 22%나 감소한 667건의 계약이 이뤄졌다. 전체 아파트 셋집 가운데 월세의 비중은 성남시 분당구가 가장 높은 36.2%를 기록했고, 일산동구와 서구 32.4%, 영통구 31.8%, 안양 동안구 29.6%, 용인 수지구 27.0%였다. 5곳을 거래량을 합하면, 올해 전세 물량은 지난해 9월까지 2만1096건의 76%인 1만6040건이다.

아래 그래프에서 보듯, 대부분의 지역이 연초에는 지난해와 전세 거래량이 거의 같거나 많았는데, 4-5월부터 거래가 줄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7-8월 전세 거래량이 봄철보다 늘어나는 추세를 보인 반면, 올해는 시간이 지날수록 거래량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아파트 매매량 변화 추세와도 비슷하다. 신도시들의 올해 상반기 아파트 매매 거래는 아파트 거래가 최절정기였던 2006년에 버금가는 수준을 보였으나 여름철로 접어들면서 급격하게 준 바 있다.(참고: 신도시 아파트 매매 추이) 반면에 월세 거래는 계절별 격차가 크지 않고, 지난해 거래량과 비교해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결국 신도시 아파트 거래는 여름철로 접어들면서 매매와 전세는 줄고 월세만 지난해와 엇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할 수 있다.

kyunggi-contract1.jpg

■ 인터랙티브 지도로 동별 가격 비교해보기

아래 지도는 올해 월별 아파트 전세 거래량과 평균 가격을 5개 신도시 동네별로 표시한 것이다. 가격은 6등급으로 나누었다. 오른쪽 '월 선택' 항목에서 비교해보고 싶은 달을 선택할 수 있다. 지도 위로 마우스를 가져가면 동네별 거래량과 평균가격을 확인할 수 있다.
화면이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보기 쉬운 지도 새창에서 열기

■ 글 주소: 한겨레 데이터 블로그 http://plug.hani.co.kr/data/2430806
■ 원 자료 새 창에서 보기: 국토교통부, 월별 실거래가 내려받기

신기섭 기자 marishin@hani.co.kr
트위터 계정: twitter.com/Hanidatablog
창작물 저작권은 한겨레신문사에 귀속됩니다.
TAG

댓글 쓰기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