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나그네 딱새의 힘겨운 겨울나기

안산 호수공원에 주저앉은 붉은가슴흰꼬리딱새…곤충 먹는 새가 어떻게 겨울 날까 앙증맞은 모습의 붉은가슴흰꼬리딱새. 주로 곤충을 먹는 나그네새이지만 안산 호수공원에서 이례적으로 겨울을 나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매우 보기 힘든 나그네새인 붉은가슴흰꼬리딱새가 안산시 호수공원에서 월동을 하고 있다. 이 새는 원래 봄·가을 우리나라를 지나가는 나그네새이지만 매우 드물게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보낸다. 붉은가슴흰꼬리딱새는 안산 호수공원 귀퉁이 약 1300㎡ 넓이의 숲에 이동 동선과 횃대를 정해놓고 하루 종일 동선을 따라 바쁘게 움직인다. 어떤 이유로 이...

» More

‘S모양 턱’ 물고기, 짝짓기 잠자리 골라 한입에…끄리의 사냥

강과 호수의 물고기 포식자, 가을철 수면 접근하는 잠자리 노려 뛰어난 유영력, 물 밖 사냥…물잠자리는 있어도 거들떠보지 않아 수면에 접근하는 깃동잠자리를 물 밖으로 뛰어올라 낚아채는 끄리. 잠자리의 머리를 정확하게 물었다. 김철용 사진가 제공. 지난달 28일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가산리 장양천을 찾았다. 포식성 물고기인 끄리가 잠자리를 사냥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다. 장양천은 진천군 광혜원면과 이월면 신계리 옥정현에서 발원하여 장양리에서 합수하는 자연이 살아있는 하천이다. 끄리는 잉어과에 속하는 대형 민물고기로 공격...

» More

‘숲의 유령’ 참매는 왜 올림픽공원에 왔을까

손쉬운 먹이 비둘기 찾아 도심 공원 진출…유럽선 이미 도시 맹금류로 자리 잡아 지난 12월 23일 붉은목지빠귀를 관찰하기 위해 올림픽공원을 찾았다. 이곳저곳을 살피며 걷고 있는 바로 그때, 생각지도 못한 광경이 눈앞에 펼쳐졌다.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산책로부터 20여 미터 남짓 떨어진 곳에서 참매가 사냥한 비둘기를 버젓이 먹고 있다. 참매는 먹이를 먹으며 나름대로 주변을 경계하지만 무관심한 사람들 눈에는 띄지 않는다. 참매는 숲 속에서 은밀하게 사냥해 ‘숲의 유령’으로 불린다. 최근 유럽에서는 먹이인 비둘기를 찾아 도심에서 참매가 공원과 묘지...

» More

진객 흰죽지수리의 쇠기러기 사냥과 ‘공중전’

교동도 출현한 최강 맹금류, 흰꼬리수리와 치열한 먹이 다툼 지난 12월 3일 강화군 교동도에서 희귀 조류인 어린 흰죽지수리를 만났다. 얼굴 보기 참 힘든 새다. 20여 일 동안 생태를 관찰해 보았다. 강화도 주변의 섬은 크게 교동도, 석모도, 볼음도로 나눌 수 있다. 교동도에는 드넓은 농경지가 있어 많은 철새가 찾는다. 한강과 예성강 등 여러 하천에서 밀려 내려오는 많은 토사와 거센 조수에 의한 퇴적작용으로 넓은 연안 평야가 펼쳐져 있다. 특히 예성강 서쪽에 북한의 연백평야가 자리 잡고 있어 철새들이 5km 거리의 남북한을 자유롭게 오간다. 이 ...

» More

자유자재로 발톱 바꾸는 물수리의 사냥 비법

윤순영의 자연 관찰 일기 숭어 덮치기 직전 앞발톱 하나가 뒤로, 홀치기 낚시 형태로 변신 남미를 제외하고 전 세계에 분포하는 물수리는 9월 중순이면 우리나라 한강 하구, 광주 경안천, 화성 화홍호, 강릉 남대천, 울산 태화강, 포항 형산강 등 하천에서 관찰되는 통과 철새이다. 수리류는 보통 짐승이나 새, 물고기를 모두 사냥하지만 물수리는 오직 담수성, 해양성 물고기만을 사냥해서 ‘물수리’라 부른다. 아주 드물게 설치류와 파충류, 다른 새들을 사냥하기도 한다. 물수리의 사냥터는 물고기가 서식하기 좋은 강, 하구, 호수, 해안 등 수초가 잘 형성되고...

» More

참매미의 마지막 합창, 여름이 간다

늦여름 말매미에 넘기고 ‘안녕’…긴 장마와 태풍 피해 짝짓기 아침저녁으로 귀가 따갑게 울던 참매미 소리가 부쩍 힘을 잃었다. 50일이 넘은 장마에 이어 태풍을 겪으며 한 달도 안 되는 지상에서의 마지막 번식기는 엉망이 됐다. 적당한 비는 땅을 부드럽게 해 애벌레가 흙을 헤쳐 나오는 데 도움이 되지만 장기간의 비로 질식사하는 일이 많아졌다. 거센 바람과 비는 짝짓기를 방해했다. 도시의 여름을 상징하는 참매미의 우화부터 짝짓기까지의 여정을 돌아봤다. 예전엔 매미를 흔히 잡았다. 매미채가 귀하던 1960년대엔 긴 대나무에 철사를 둥글게 만 뒤 끈끈한...

» More

‘100만분의 1 확률’ 흰 참새 형제는 당당했다

윤순영의 자연 관찰 일기 백색증 아닌 돌연변이 일종 ‘루시즘’, 동료와 잘 어울려…춘천시민 사랑 듬뿍 지난 7월 21일, 지인으로부터 강원도 춘천시 약사고개길 인근에 흰참새가 출현했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갔다. 주변을 둘러보니 아파트로 둘러싸여 몇 채 남지 않은 기와집의 용마루와 담벼락 위에 참새와 집비둘기가 옹기종기 모여 있다. 약사천 건너편 공원에는 바위에 먹이를 뿌려 놓고 흰참새를 촬영하는 사진인들이 모여 있다. 인위적으로 먹이를 주거나 지속적으로 쫓아다니지 않아도 기다리다 보면 자연스러운 사진을 촬영할 수 있을 텐데 하는 생각이 앞선다...

» More

100마리 남은 토종 ‘양비둘기’를 만나다

 윤순영의 자연 관찰 일기 원앙도 울고 갈 오글오글 사랑꾼 낭비둘기 국내에 100여 마리밖에 생존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양비둘기(낭비둘기,굴비둘기)를 포착했다. 지난 7월 4일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를 들렀다. 천년고찰 화엄사의 웅장한 대웅전과 각황전 모습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바로 이들의 서식지다. 높은 용마루 위에 비둘기 모습이 얼핏 보인다. 마음이 설렌다. 집비둘기인지 양비둘기인지 확인할 생각이 앞섰다. 관심이 없다면 그냥 집비둘기로 대수롭지 않게 여겨 무심하게 지나칠 수 있다. 도심 공원에 주로 사는 애물단지 ...

» More

귀엔 익지만 눈엔 낯선 제비, 흥부는 뭐랄까

윤순영의 자연 관찰 일기 농촌에서도 보기 드문 추억 속의 정겨운 새 제비는 해마다 봄을 물고 온다. 음력 3월 초사흘, 삼월 삼짇날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 하여 제비집을 손질하고 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 먹으며 춤추고 노는 화전놀이의 풍습이 있었다. 귀소성이 강한 제비는 여러 해 동안 같은 곳으로 돌아온다. 옛 둥지를 찾아와 수리해 쓰기도 하고 추녀 밑에 둥지를 새로 짓기도 한다. 삼짇날 무렵이면 날씨도 온화하고 산과 들에 꽃이 피기 시작하고 각종 벌레 등 먹잇감이 넘쳐난다. 번식 채비를 하기에 적합한 시기다. 예전엔 그렇게 ...

» More

참매 번식 둥지 가린다고 아름드리 나무 고사시켜

 경기 남양주서 낙엽송 표피 돌려 베어, “조류 사진가 소행”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팔현리 야산의 낙엽송 조림지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인 참매가 번식하는 곳이다. 올해 참매가 둥지를 틀어 번식 중인 한 낙엽송이 누렇게 죽어 푸른 주변의 낙엽송과 대조를 이룬다. 유독 이 나무만 죽은 것도 이상하지만, 참매가 하필 죽은 나무에 둥지를 튼 것도 이해하기 어렵다. 그 비밀은 나무의 밑동을 보면 드러난다. 수피를 빙둘러 누군가 베어냈고, 물과 양분 이동이 차단된 낙엽송은 꼭대기 부근의 참매 둥지를 훤히 드러낸 채 말라죽었다. 이 숲에는 긴꼬리딱...

» More


profile안녕하세요?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윤순영 입니다. 어린 시절 한강하구와 홍도 평에서 뛰놀며 자연을 벗 삼아 자랐습니다. 보고 느낀 생각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