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외출 뒤, 사회불만세력이 되다

육아휴직중이던 그 시절, 13개월이 된 아이와 단둘이 차를 타고 길을 나섰다. 처음이었다. 그때만 해도 유모차에 동네 한바퀴가 내 세상의 전부였다. 아! 이렇게만 살 순 없잖아! 과감히 카시트에 아이를 ‘묶었’다. 여느 때같으면 싫다고 몸을 틀며 고함을 지르던 아이가, 그날은 웬일인지 반항하지 않았다. 아! 아빠 마음 안거야? 그런거야? 아싸! 가는거야!

마음은 설레었지만, 막상 갈 곳은 마땅치 않았다. 이왕 나왔으니 근사한 데를 가야 할텐데. 문득, 아이가 두 손을 모으고 물고기 흉내를 내는 게 떠올랐다. ‘고기를 잡으러 바다로 갈까나’ 노래와 함께 가르친 눈부신 성과였다. 그래! 수족관! 노래를 불러줬더니 아이는 또다시 양손을 까딱까딱…, 옳거니!
하지만 아빠 혼자 외출이 어디 그리 여유롭기만 할까. 지금 돌이켜보면 그땐 처음이라 뭘 몰랐다. 아이를 데리고 나간 세상엔, 솔직히 불편한 일이 너무 많았다.

‘고난’은 도착 직후 시작됐다. 유모차에 아이를 태워 들어갔더니, 수족관 입구엔 에스컬레이터 뿐 경사로나 엘리베이터가 없었다. 아이를 한손으로 안고 유모차를 둘로 분해했다. 하나씩 올린 뒤 위에서 다시 조립해서 아이를 앉혔다. 땀을 뻘뻘 흘렸다. 왜 엘리베이터가 없는거야!

아빠의 고충은 아랑곳않고 아이는 신이 났다. 눈이 휘둥그래져서는 생각날 때마다 양손을 까딱까딱…, 귀여운 녀석! 하지만 가다보니 경사로 없는 계단이 또 나왔다. 낑낑대며 유모차째 들어서 계단을 올랐다. 왜 경사로가 없는거야!

한쪽에 수유실이 보였다. 기저귀도 갈고 목도 좀 축이고, 무엇보다 때가 됐으니 이유식을 먹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정말 ’수유’만을 위한, 그래서 아빠는 허용되지 않는 공간이었다. 에휴! 수유실 옆 벤치에 잠깐 앉아 아이와 함께 목만 좀 축였다. 수유실에 드나드는 엄마들이 왜 그리 부러운지. 왜 아빠 수유실은 없는거야!

그렇다고 이유식을 건너뛸 순 없었다. 나도 배가 고팠다. 수족관을 나와 바로 옆 베트남식당에 들어갔다. 쌀국수를 시켰다. 그런데 유아용 의자가 없었다. 일단 아이를 옆자리에 대충 앉히고, 집에서 싸온 이유식과 수저를 가방에서 주섬주섬 꺼냈다. 하지만 아이는 몇숟갈 뜨더니 더 먹지 않았다. 오랜만의 외출이을 만끽하느라, 옆자리, 뒷자리, 앞자리 손님들을 찾아가 인사하기 바빴다. 나도 그걸 쫓아다니느라 몇달만의 쌀국수는 먹는둥마는둥했다. 왜 유아용 의자는 없는거야!

우유라도 조용히 먹이고 기저귀를 갈아야겠다 싶어 옆 백화점 수유실을 가려 했다. 거긴 아빠들도 들어갈 수 있고, 시설도 괜찮으니까. 문제는 엘리베이터였다. 문이 열릴 때마다 꽉 찼는데, 누구도 유모차에 자리를 양보하지 않았다. 당신들은 에스컬레이터 타도 되잖아!

결국 백화점 수유실은 포기하고 차로 돌아와 기저귀를 갈고 우유를 먹였다. 차 없었으면 어쩔 뻔 했나. 버스나 지하철이었다면 한층 힘들었을 게다. 외출의 즐거운 기억과는 별개로, 사회에 대한 불만이 가득했다.

물론 시간이 흐르고 외출이 거듭되면서 불편은 익숙해졌고 불만은 잊혀져갔다. 많은 것을 ‘으레 그러려니’ 받아들이게 됐다.

다만 며칠 전, 그때 기억이 잠시 살아난 적이 있었다. 지금 출입하는 국회의 한 남자화장실에 갔다가, 좌변기 칸 안 한쪽 벽에 유아용 안전의자와 기저귀교환대가 있는 걸 봤다. 다른 곳 남자화장실에선 좀처럼 볼 수 없는 설비다. 왜 이런 건 국회에만 있는 거야!
 
** 이 글은 월간 육아잡지 <맘&앙팡>(디자인하우스) 2012년 4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Leave Comments


profile아이 둘의 아빠인 <한겨레> 정치부 기자. 21세기 인류에게 육아는 남녀 공통의 과제라고 믿는다. 육아휴직 등으로 나름 노력해봤지만 역시 혼자 가능한 일은 아니며,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걸 어렴풋하나마 알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