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머무는 곳, 시골 할머니 댁 여행 화순댁의산골마을육아일기

1.jpg

 

지방 선거 투표일이었던 6월 4일.

남편이 서울 출장 간 사이,

엄마 아빠와 아이와 함께 시골 할머니 댁에 다녀왔어요.

 

 

 2.jpg

 

전북 진안군 깊숙한 산중에 자리 잡은 산골 마을.

우리가 머물고 있는 화순 북면보다 훨씬 더 촘촘하게 산으로 둘러싸인 이곳은

한 여름에도 선선한 바람이 불어온답니다.

 

 

 3.jpg

 

오늘 점심 상에 오를 부추들을 손질하는 엄마.

마당에서 금방 뽑아올린 싱싱한 것들로 상을 차리는 일은

언제라도 뿌듯해요.

 

 

4.jpg

 

그동안 딸기 사냥에 나선 할머니와 아이.

 

 

5.jpg

 

할머니가 흙을 탈탈 털어 손에 쥐어주면,

 

 

6.jpg

 

아이는 후딱 제 입으로 쏙 집어넣습니다.

그리고 조그만 입을 열심히 오물오물 냠냠, 아 맛있어!

 

 

7.jpg

 

애교 윙크가 저절로 나옵니다요^^

 

 

 8.jpg

 

옥수수, 양파, 마늘, 상추가 풍성한 앞마당은 든든한 남자 어른 같고,

 

 

 9.jpg

 

꽃과 장독대를 품은 옆마당은 아담하고 소박한 여인 같아요.

 

 

 10.jpg

 

넌 언제 어디서 날아왔니.

 

주인도 모르는 사이 마당 한편에 자라난 양귀비.

사실 이것 말고도 네 다섯 그루가 더 있었다는데,

양귀비 키우는 일이 불법이라는 걸 알고 난 뒤, 곧바로 없애버리셨답니다.

 

아마 할머니가 유난히 꽃을 좋아하지 않았더라면

저것마저 남겨두시지 않았겠지요.

 

민초들은 이렇게 사소한 것이라도 정해진 것을 지키고 살기 위해 애를 씁니다.

 

 

11.jpg

 

부뚜막에 펼쳐져 있는 고들빼기 씨.

 

고들빼기라면 환장을 하는,

이제 내 몫의 텃밭까지 가진 큰손녀를 떠올리며

올해 할머닌 전보다 더 많은 씨를 받아놓으셨을 거에요.

 

 

 12.jpg

 

부뚜막 옆 커다란 키에는 검정색 파 씨가 가득 담겨져 있었습니다.

 

고들빼기며 파김치, 하여튼 나의 김치 사랑은 유난한데,

이미 다른 작물들로 가득차서 심을 땅이 없다는 데도

할머니 한사코 한 주먹 쥐어 주셨어요.

 

 13.jpg

 

그리고 할아버지 유품이나 다름 없는 장작들.

 

원래 내 고향, 할아버지 할머니와 아버지가 나고 자란 고향은

여기서 차로 한시간 쯤 떨어진 곳이었어요.

평생 이사할 일이라곤 없을 줄 알았을 할머니 할아버지가

고모네가 살고 있는 이 마을로 오게 된 것은 16여 년 전,

용담댐이 건설되면서 졸지에 수몰민, 실향민이 된 때문이었답니다.

 

그때 할아버지가 처마 밑에 가득가득 쟁여 두었던 장작들도 함께 옮겨왔는데,

이제 저만큼 밖에 안 남았네요.

낯선 동네에서 할아버지는 유난히 외로워했고, 이사하고 5년 만에 돌아가셨어요.

 

저는 믿어요.

만약 댐이 건설되지 않았다면, 그들의 삶의 터전이 사라지지 않았다면,

그래서 오랜 친구들과 친인척들과 계속 그곳에 머물렀더라면

할아버지는 좀 더 오래 사셨으리라고.

후손들의 삶도 지금보다 더 풍요롭고 아름다웠으리라고.

그 어떤 대의 명분도 개인의 자유를 침해할 권리는 없다고 말이지요.

 

 

 14.jpg

 

자자, 할머니 집 공식 포토존, 장독대로 모이세요~

 

 

 15.jpg

 

여든 세 살 차이가 나는,

내 할머니와 딸, 사랑스러운가요?^^

 

 

16.jpg

 

뱃속의 태희까지 다섯 명의 여인들

 

 

 17.jpg

 

그리고, 뭐니뭐니 해도 젤로 신나는 점심 시간!

인삼과 통마늘, 대추를 둠뿍 넣고 푹 삶은 삼계탕 대령이요~

 

칼이 아니라 손으로 짝짝 찢어 놓은 신김치와 커피잔에 담긴 소주 한 잔.

삼계탕에 야채죽까지 배불리 먹었건만

할머닌 과일과 과자를 끊임없이 내옵니다.

다른 수가 있나요? 아이고 배불러, 하면서 먹고 또 먹을 수밖에요^^

 

 

 18.jpg

 

안방 화장대 위에 놓여 있던 책과 돋보기.

 

"아이고, 차가 모래밭에 빠져셔 난리가 나고..."

"그렇게 힘들게 번 돈으로 할미한테 약 사보내고, 뭐 사보내고, 시상에..."

여든 중반 노인의 눈에 물기가 그렁그렁합니다.

 

난 돋보기를 쥐고 한글자 한글자 더듬으며,

기쁜 맘으로 때론 짠한 맘으로 손녀딸의 책을 읽어갔을 할머니 생각에

시상에... 눈물을 펑펑 쏟을 뻔했어요.

 

 

19.jpg

 

할머니 집을 나서는 길,

벽에 걸려 있던 짚으로 만든 '똬리'가 저를 부릅니다.

 

도대체 얼마나 오래된 물건일까.

누가 만들었길래 지금도 저리 단단해 보일까.

 

저도 이젠 어엿한 시골 마을 주민이건만,

할머니 집에 올 때마다 마음이 뭉클해지는 건

아마 저 물건처럼 세월을, 시간을 품은 것들 때문인 것 같아요.

문득 우리는 그런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는지 궁금해지네요.

 

마지막으로 저의 책 <호주와 나 때때로 남편>에 실었던,

할아버지와 장작, 그리고 어린시절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할까 해요. 

아마, 우리가 귀촌을 한 것은 호주를 여행하면서

"그토록 버리고 싶어 했던 촌스럽고, 오래되고, 시골스러운 것들"을

찾아다니고 있다는 걸 깨달은 덕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검고, 붉고, 노란빛을 골고루 내며 타들어 가는 장작을 바라보고 있으니 어린 시절이 떠올랐다.

댐이 들어서면서 물속에 잠겨 버린 나와 내 아버지의 고향. 그리고 처마 밑에 사시사철 수북하게 장작을 쌓아 올렸던 할아버지.

농한기 때나 어쩌다 일이 없는 날에도 가만히 집에 있는 법이 없던 농사꾼은 연탄보일러가 들어온 다음에도 장작 패는 일을 멈추지 않았다. 할아버지는 6·25 때 총을 맞아 한쪽 다리를 절었는데, 땅바닥에 질질 끌릴 만큼 커다랗고 기다란 나무를 지게에 지고 삽짝에 들어설 때마다, 나는 지게가 기우뚱하고 넘어져 그를 덮치지는 않을까 조마조마했었다.

기가 막힌 건 할아버지의 장작 패는 솜씨였다. 일단 톱으로 쓱쓱 썰어 여러 개로 토막을 친 뒤 토막 난 통나무를 세워놓고 도끼로 세 번 내리치면, 똑같은 두께의 장작 네 토막이 만들어졌다. 그러면 나는 그것들을 신 나게 처마 밑으로 날랐다.


철이 들고 난 뒤엔 무작정 그곳을 벗어나고 싶었다. 거칠고, 투박한 사투리를 쓰는 시골 사람들이 싫었고, 세련된 옷을 입고 도시에서 살고 싶었다. 더 크고 새로운 세상에 대한 갈망. 집과 멀리 떨어진 대학에 입학한 것도, 여행을 좋아하는 것도 그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번 여행을 하면서야 비로소 나는 내가 그토록 버리고 싶어 했던 촌스럽고, 오래되고, 시골스러운 것들을 찾아다니고 있다는 걸 알았다. 대학 때 한 달에 한 번, 집에 내려가는 기차 안에 있을 때가 제일 행복했던 것처럼. 떠난 뒤에야 비로소 그곳이, 그때가 얼마나 소중했는지를 깨달았던 것이다.

 

<호주와 나 때때로 남편, 결론은 해피엔딩 가운데>

 

 

  

TAG

Leave Comments


profile2012년 첫째 아이 임신, 출산과 함께 경력단절녀-프리랜서-계약직 워킹맘-전업주부라는 다양한 정체성을 경험 중이다. 남편과 1인 출판사를 꾸리고 서울을 떠나 화순에 거주했던 2년 간 한겨레 베이비트리에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를 연재했다.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를 통해 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2017년 겨울, 세 아이 엄마가 된다. 저서로는 <호주와 나 때때로 남편>이 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