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 네안데르탈인 게놈, 동아시아인에 더 많다 생명건강

00503415_20181126.JPG » 복원한 네안데르탈인의 모습. 일본 도쿄 우에노공원 내에 있는 국립과학박물관에 전시돼 있다.Wikimedia Commons

유럽인보다 12~20% 더 많아
같은 지역 3만년 거주하며

수차례 종간교배 이뤄진듯

 

인류는 10만년 전만 해도 거의 아프리카 대륙에 몰려 있었다. 아프리카 밖의 유라시아대륙 서쪽과 동쪽에서는 이들의 사촌격인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이 살고 있었다. 7만5천년 전 아프리카를 떠난 현생 인류가 이들을 만나는 것은 불가피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인류가 밝혀낸 것은 세계 전역으로 퍼지기 전에 서아시아의 네안데르탈인과 한 차례 종간교배를 했다는 것뿐이었다.
그런데 미 필라델피아 템플대 연구진의 새로운 유전자 분석 결과, 두 집단은 3만년 이상 같은 지역에서 거주하면서 여러 차례 종간교배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증거는 현대 인류의 게놈 속에 남아 있다. 현재 비아프리카 인류의 게놈의 약 2%는 네안데르탈인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연구진은 이번에 동아시아인과 유럽인에게 있는 네안데르탈인의 게놈 비율이 2~6%에 이르는 것을 확인했다. 두 집단의 교류가 한 차례였다면 이 정도의 높은 비율이 나오기 어렵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특히 현대 동아시안의 네안데르탈인 게놈은 유럽인보다 12~20%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간교배가 여러 시기에 걸쳐 이뤄졌음을 보여준다고 연구진은 해석했다.

 

er.jpg »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비아인과 현생인류와의 교류 현황. AMH가 현생인류다.


연구진은 `1000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확보된 받애한 현생 인류 게놈 데이터에서 동아시아인과 유럽인 조상 사이에 있는 네안데르탈인 DNA 패턴의 비대칭 현상을 분석했다. 그런 다음 여러 차례의 종간교배 시뮬레이션을 통해 네안데르탈인 DNA가 현생 인류 게놈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분석했다. 여기에 머신러닝을 이용해 여러 매개변수를 바꿔가며 이 복잡한 모델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현대 인류의 게놈에 있는 네안데르탈인 DNA 패턴은 종간교배가 여러 차례 이뤄졌다고 가정해야 설명이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 생태&진화> 최근호에 발표됐다.

 

출처

https://phys.org/news/2018-11-multiple-instances-inter-breeding-neanderthal-early.html
https://www.popsci.com/human-neanderthal-sex?CMPID=ene112918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59-018-0735-8.epdf?referrer_access_token=cKs2F89wcpTmRveV_Y53CNRgN0jAjWel9jnR3ZoTv0MmVPBS6paR2bfmTEWoKxOMBSsB4fmxZv0RZ7Dvaa_zkArCdKlWkBdbKoKqi9vYxIwQ5S8FO4fUj_OqoKSIUYKx4U_Lzlgr6kh-hCXa_4Z96gGMlGtiAnt2iyxhnIVBPYEehIQnjtc6GXhGbWQon0iwtvTlMnQAJKuTd3Avoi7XQS1UG3Ch3O_gcmoB1w1Cy9Q%3D&tracking_referrer=www.popsci.com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