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진맥진 여름 철새 쉬어가는 어청도는 ‘족제비 천국’

번식지 이동 철새 정거장…마을 앞마당서 태연히 대낮 사냥 족제비의 귀엽지만 암팡진 얼굴. 쥐와 작은 새들을 노리는 무서운 사냥꾼이기도 하다. 1960년대에는 시골 동네에서 족제비를 흔하게 봤다. 닭장을 털어가서 미움도 많이 샀지만 사람들은 뜰 안에 들어온 족제비를 ‘복 족제비’라 부르며 해치지 않았고 족제비도 인가 근처에서 함께 살았다. 족제비가 있으면 집 주변의 쥐들이 사라지기 때문이었다. 어청도 마을. 어청도는 서해 고군산군도의 63개 섬 가운데 가장 서쪽에 있는 외딴 섬으로 전북 군산에서 약 70㎞ 떨어져 있다. 집 울타리와 밭을 돌담으로 ...

» More

5년 추적 끝에 만난 스텔스 사냥꾼 ‘사과 반쪽 얼굴’

오대산 깃대종 긴점박이올빼미 만나…큰 눈과 노란 부리의 카리스마 우리나라 텃새이자 멸종위기종인 긴점박이올빼미는 오대산을 상징하는 대형 맹금류이다. 사과를 반으로 잘라놓은 듯한 얼굴 모습이 인상적이다. 2016년 오대산에 희귀 텃새인 긴점박이올빼미가 나타났다는 제보를 받은 적이 있다. 단숨에 달려가 월정사와 상원사 10.2㎞ 구간을 관찰했지만 만날 수 없었다. 이후 긴점박이올빼미가 출현했다는 강원도 삼척시 천은사와 고성군 건봉사, 북면 용대리, 강릉시 연곡면 잣고개, 경기도 가평군 북면 화악산 등 여러 곳을 다녔지만 좀처럼 눈에 띄지 않았다. 이미 ...

» More

동·서양 거위 조상부터 희귀 기러기까지…강화도에 다 모였네

회색기러기와 개리 한자리에, 매우 드문 흰이마기러기와 흰기러기도 목격 유럽과 아시아에서 각각 거위로 가축화한 기러기의 원종인 회색기러기(왼쪽)와 개리. 거위는 4000년 전 이집트 고고학 유물로 남아 있을 정도로 역사가 오랜 가축이다. 가축화는 두 곳에서 각각 이뤄졌는데 유럽에서는 회색기러기가 아시아에서는 개리가 원종이다. 두 기러기는 사는 곳과 이동 경로가 다르지만 우연히 만나기도 한다. 인천시 강화도에서 겨울 철새인 개리와 드물게 찾아오는 나그네새인 회색기러기를 만났다. 동·서양 거위의 원종인 야생 기러기를 한 자리에서 만난 셈이다. 회색기러...

» More

사냥하고 빼앗고…부천 대장동 평야에 굶주린 맹금류 모였다

한강하구와 김포평야 만나는 생태 요충, 3기 신도시 후보지로 사라질 위기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 평야에서 고층아파트를 배경으로 참매가 사냥한 비둘기를 움켜쥐고 날고 있다.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 평야는 서울과 인천을 경계로 두고 도심에 유일하게 남은 드넓은 평야다. 그러나 거센 개발압력에 수도권 3기 신도시 개발지역으로 발표되었다. 또 주민이 동의하지 않았는데도 부천시는 인천시 계양구, 서울시 강서구와 협약을 맺어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 소각장을 광역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대장동 일원의 평야는 도심에 살아있는 자연생태의 보고이다. 한...

» More

‘잠수 사냥꾼’ 비오리는 아야진 찬 바다에서 파도를 탄다

작지만 다부진 잠수 사냥꾼, 미끄러운 물고기도 ‘톱니 부리’로 붙잡아 얼음처럼 찬 겨울 바다지만 바다비오리는 자맥질하며 먹이를 찾는다. 바다비오리는 동해안 전역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다. 강원도 아야진에서 바다비오리를 만났다. 시리도록 푸른 바다 위에서 온종일 거센 파도와 맞서면서 작은 물고기를 사냥한다.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아야진 해변 전경. 바다비오리 암컷. 바다비오리는 파도가 심한 곳에 수생 생물들이 풍부하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안다. 암컷과 수컷이 항상 동행하고 어린 새끼가 따라다니기도 한다. 끝이 구부러진 뾰족한 부리와 앞을 향한 눈...

» More

시화호 찾은 겨울 철새 귀족 ‘미오새’

조용하고 기품 있는 백조…‘미운 오리 새끼’ ’백조의 호수’ 등장하는 친근한 새 시화호를 찾은 혹고니가 우아하고 귀티 나는 모습으로 헤엄치고 있다. 지난해 11월 겨울 진객 혹고니 44마리가 시화호를 찾아왔다. 지금껏 시화호에서 관찰된 최대 마릿수다. 1월 15일부터 사흘 동안 이들을 관찰하였다. 강추위에 꽁꽁 얼어붙은 시화호 한쪽 귀퉁이 물이 얼지 않은 곳에서 혹고니가 먹이활동을 하고 있다. 큰고니도 함께 있다. 시화호에 이렇게 많은 혹고니가 몰려든 일은 처음이다. 호수 바닥의 매자기 등 수초 뿌리를 캐먹기 위해 자맥질하는 혹고니 옆에서 청머리...

» More

희귀 나그네 딱새의 힘겨운 겨울나기

안산 호수공원에 주저앉은 붉은가슴흰꼬리딱새…곤충 먹는 새가 어떻게 겨울 날까 앙증맞은 모습의 붉은가슴흰꼬리딱새. 주로 곤충을 먹는 나그네새이지만 안산 호수공원에서 이례적으로 겨울을 나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매우 보기 힘든 나그네새인 붉은가슴흰꼬리딱새가 안산시 호수공원에서 월동을 하고 있다. 이 새는 원래 봄·가을 우리나라를 지나가는 나그네새이지만 매우 드물게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보낸다. 붉은가슴흰꼬리딱새는 안산 호수공원 귀퉁이 약 1300㎡ 넓이의 숲에 이동 동선과 횃대를 정해놓고 하루 종일 동선을 따라 바쁘게 움직인다. 어떤 이유로 이...

» More

‘S모양 턱’ 물고기, 짝짓기 잠자리 골라 한입에…끄리의 사냥

강과 호수의 물고기 포식자, 가을철 수면 접근하는 잠자리 노려 뛰어난 유영력, 물 밖 사냥…물잠자리는 있어도 거들떠보지 않아 수면에 접근하는 깃동잠자리를 물 밖으로 뛰어올라 낚아채는 끄리. 잠자리의 머리를 정확하게 물었다. 김철용 사진가 제공. 지난달 28일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가산리 장양천을 찾았다. 포식성 물고기인 끄리가 잠자리를 사냥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다. 장양천은 진천군 광혜원면과 이월면 신계리 옥정현에서 발원하여 장양리에서 합수하는 자연이 살아있는 하천이다. 끄리는 잉어과에 속하는 대형 민물고기로 공격...

» More

‘숲의 유령’ 참매는 왜 올림픽공원에 왔을까

손쉬운 먹이 비둘기 찾아 도심 공원 진출…유럽선 이미 도시 맹금류로 자리 잡아 지난 12월 23일 붉은목지빠귀를 관찰하기 위해 올림픽공원을 찾았다. 이곳저곳을 살피며 걷고 있는 바로 그때, 생각지도 못한 광경이 눈앞에 펼쳐졌다.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산책로부터 20여 미터 남짓 떨어진 곳에서 참매가 사냥한 비둘기를 버젓이 먹고 있다. 참매는 먹이를 먹으며 나름대로 주변을 경계하지만 무관심한 사람들 눈에는 띄지 않는다. 참매는 숲 속에서 은밀하게 사냥해 ‘숲의 유령’으로 불린다. 최근 유럽에서는 먹이인 비둘기를 찾아 도심에서 참매가 공원과 묘지...

» More

진객 흰죽지수리의 쇠기러기 사냥과 ‘공중전’

교동도 출현한 최강 맹금류, 흰꼬리수리와 치열한 먹이 다툼 지난 12월 3일 강화군 교동도에서 희귀 조류인 어린 흰죽지수리를 만났다. 얼굴 보기 참 힘든 새다. 20여 일 동안 생태를 관찰해 보았다. 강화도 주변의 섬은 크게 교동도, 석모도, 볼음도로 나눌 수 있다. 교동도에는 드넓은 농경지가 있어 많은 철새가 찾는다. 한강과 예성강 등 여러 하천에서 밀려 내려오는 많은 토사와 거센 조수에 의한 퇴적작용으로 넓은 연안 평야가 펼쳐져 있다. 특히 예성강 서쪽에 북한의 연백평야가 자리 잡고 있어 철새들이 5km 거리의 남북한을 자유롭게 오간다. 이 ...

» More


profile안녕하세요?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윤순영 입니다. 어린 시절 한강하구와 홍도 평에서 뛰놀며 자연을 벗 삼아 자랐습니다. 보고 느낀 생각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