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모이통 설치하니 아파트로 자연이 찾아든다

 ▲새 모이통 4월8일 야산을 바라보고 있는 아파트2층 베란다 창틀에 가로20cm 세로20cm 크기의 프라스틱 반찬 그릇을 철사줄로 매달아 새 모이통을 걸어 놓았다. 집에서 흔히 구할 수있는 쌀, 좁쌀, 땅콩, 삶은 계란노른자, 계란껍질, 멸치를 모이로 주었다. 새들이 좋아하는 먹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제나 저제나 기다렸지만 새는 오지 않았다. 무관심해질 무렵 10여일이 지나서야 얼굴에 복면을 한 검은 머리, 검은 멱, 검은 목, 흰 뺨의 얼굴을 가진 박새가 처음으로 날아들었다. 기다리던 순간이었다. 마음이 설렌다. 드디어 성공했다고 마음속으...

» More

개발 할 땐 잡새, 생색낼 땐 봉황새

세계 최대 저어새 번식지 파괴 인천해양항만청과 한국수력원자력이 주민설명회를 생략한 채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을 강행키로 했다. 어민들의 생계대책도, 멸종위기 조류에 대한 대책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강화도 갯벌은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로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이동성조류의 중간 기착지로 매우 중요한 물새류의 취식 지와 번식지로 이용되는 곳이다. 강화도 남단갯벌은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관찰 변화 조사지역이다. 천연기념물 제205호,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인 저어새가 화도면 남단갯벌 해안에서 1.5Km 떨어진 각시바위에서 번식하고 강화도...

» More

2.원앙 이야기

▲ 짝짓기 꾸준한 관찰을 하면서 지나진 애정 행동엔 비밀이 숨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부부 연을 맺으면 짝짓기 때 짝을 잘 바꾸지 않지만 종종 어떤 부부들은 암수가 감쪽같이 바람을 피운다. 서로 지극 정성의 사랑 믿음 그 믿음 바탕으로 다른 원앙과 바람을 피우는 빌미가 되는 계획된 행동이 포함돼 있었다. 외도는 다양한 접촉을 통해 종족보전을 위한 치밀한 애정 이 포함된 전쟁과 같다. 혹여 부족한 본인의 유전자를 더욱 건강한 유전자와 선택되게 하여 최고의 종을 유지하려고 하루 동안 짝짓기를 무려 13~ 15회 반복 하는 행위는 ...

» More

여름 숲속의 보석, 삼광조 태어나다

몸보다 긴 꼬리, 푸른 부리와 눈 테가 신비로운 여름철새 가평서 둥지, 새끼 세마리 성공적으로 키워내 요즘 숲속에서 만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새를 꼽는다면 삼광조가 유력한 후보일 것이다. 자기 몸보다 배 이상 긴 꼬리를 자랑하는 수컷은 특히 압권이다. 부리와 눈의 테가 파란 색이어서 신비로운 분위기를 느끼게도 한다. 여름에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서 번식을 하는 이 새의 영어 이름은 '천국의 파리 잡는 새'이다. 공중을 날거나 정지 비행하며 곤충을 잡아먹는 아름다운 모습에서 온 이름이다. 삼광조란 이름은 일본에서 온 것이어서, 긴꼬리딱...

» More

부부 금슬의 상징 원앙, 감쪽 같은 외도

▲장릉연못 경기도 김포시엔 인조왕의 아버지인 원종의 릉이 있는데 릉 정원의 작은 연못은 마치 소박한 수채화 같은 아름다움이 담겨져 있다. 작년 4월9일 원앙새가 자주 관찰된 다는 소식에 몇 일간 관찰을 해보니 암컷12수컷22 마리의 원앙이 번식 철을 맞이하여 화려한 색깔을 맘껏 뽐내고 있었다. 재미있는 장면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싶어 새벽 6시30분 위장막에서 관찰을 시작했다. 그러나 인기척을 느꼈는지 도망치듯 분주한 새들 소리에 고요한 연못의 정적이 깨졌다. 1시간이 지나서야 돌아온 새들로 다시 이곳은 여느 때의 평화로움이 감돌았다. ...

» More


profile안녕하세요?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윤순영 입니다. 어린 시절 한강하구와 홍도 평에서 뛰놀며 자연을 벗 삼아 자랐습니다. 보고 느낀 생각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