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라니 주검 뜯으며…철원평야 삵의 겨울나기 윤순영의 시선

굶주린 삵 살리는 얼어붙은 고라니 주검, 사람이 접근하자 눈에서 불꽃이 일었다

최상위 포식자 등극, 철원에선 두루미의 주요 천적…야행성이나 낮 사냥도 불사

 

크기변환_SY3_5362.jpg »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 삵. 최상위 포식자의 하나이다.

삵은 밤보다 낮에 오히려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밤에는 빛을 반사하는 동공을 볼 수 있지만 낮에는 배경 속으로 털무늬가 스며들기 때문이다.

올 겨울은 유난히도 추워 철원평야에 눈은 2월 말이 되어야 녹았다. 우연히 논둑길을 걷고 있는 삵을 발견하고 추적해 보았다.  

크기변환_SY3_4851.jpg » 논뚝을 지나가는 삵, 논뚝 색과 비슷해 움직이지 않으면 잘 보이지 않는다.

크기변환_SY3_4866.jpg » 고개를 들어 냄새를 맡고 있는 삵. 

가다간 멈추기를 여러 번, 냄새를 맡는 행동도 보이며 어딘가를 계속 간다. 삵이 멈춘 곳에 물체가 보였다. 동물들이 먹다 남은 고라니의 주검이었다.

크기변환_SY3_4995.jpg » 고라니의 주검을 발견하고 사방을 경계하며 안전을 살피는 삵.



 _SY3_4891.jpg » 안전하다고 판단하자 삵은 고라니 주검을 게걸스럽게 먹기 시작한다.


 1_SY3_4985.jpg » 고라니의 가죽을 물어 들어올리는 모습이 다부지다.



고라니가 어떻게 죽었는지는 모른다. 삵이 사냥했는지 또는 다른 포식자가 죽였는지. 아니면 병이나 굶주림으로 죽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먹이가 드문 겨울철 눈밭에서 고라니는 여러 동물에게 소중한 생명을 이어갈 양분을 제공하고 있었다. 삵은 이곳을 계속해서 찾아 온 것 같다. 삵 행동을 지켜보기로 했다.

크기변환_SY3_5111.jpg 

크기변환_SY3_5022.jpg

사방을 경계하면서도 먹이에 대한 집착이 아주 강하다. 가까이 다가가도 아랑곳 하지 않고 먹이를 게걸스럽게 뜯고 있다. 고라니의 주검을 들어 올린다. 생각보다 힘이 세다. 날카로운 이발 과 턱 근육이 잘 발달되어 또한 무는 힘이 강해 강력한 무기로 보였다.

크기변환_SY3_5270.jpg » 뼈에 살을 발라먹는 삵.



크기변환_SY3_5574.jpg » 눈초리가 날카롭다. 

돌기가 돋아 까칠까칠한 혀로 뼈에 붙어있는 살코기를 잘 발라 먹는다. 먹이를 뜯어먹는 몸이 용수철처럼 탄력이 있다. 온몸의 근육이 율동을 하는 것처럼 자유롭게 움직이며 몸체가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한다. 포식동물의 야성이 느껴진다.

삵은 성질이 거칠고 사나워 암팡져 보인다. 이 삵은 몸집이 다른 삵보다는 커 보인다. 이곳 환경을 잘 알고 경험이 많은  노련한 삵인 것 같다.

 _SY3_5335.jpg » 사람이 다가는데도 자리를 피하지 않고 버티는 삵.



 크기변환_SY3_5344.jpg » 하지만 결국 못이기는 척 사람을 피해 자리를 뜬다.



 크기변환_SY3_5361.jpg » 자리를 피하면서도 먹는데 방해를 받는 불괘감을 드러낸다.

우리나라에 육식동물인 호랑이, 표범, 늑대가 자취를 감춘 이후 삵과 대적할 동물은 없다, 이곳 철원평야에서는 삵이 무법자다. 철원에서 월동하는 두루미를 공격해 두루미의 천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두루미가 삵 한데 잡혀 먹이가 되는 경우가 흔하게 일어난다. 삵은 이제 우리나라의 상위 포식자로 군림 하고 있다.

크기변환_SY3_5369.jpg » 멀리서 아쉬운 듯 먹이를 쳐다 보며 사람이 가기를 기다린다. 

크기변환_SY3_5411.jpg » 사람이 가기를 바라며 그틈을 이용해 발을 닦는다.



크기변환_SY3_5449.jpg » 닦는 김에 세수도.

삵은 평야, 산림지대의 계곡, 연안, 비교적 키가 작은 나무로 덮인 산골짜기 개울가에서 주로 살지만, 마을 근처에서 살기도 한다. 단독 또는 한 쌍으로 생활한다. 야행성이지만, 외진 곳에서는 낮에도 먹이를 찾아다닌다.

  크기변환_SY3_5487.jpg



먹이는 주로 쥐 종류와 작은 동물 멧토끼, 다람쥐, 청설모, 꿩, 오리, 곤충 등으로 생각하지만 사냥에 표적이 되면 삵의 몸짓보다 2배 이상의 큰 동물도 사냥을 한다.
고양이처럼 생겼지만 고양이보다 몸집이 크고 꼬리에는 고리모양의 가로띠가 있으며 눈 위 코로부터 이마 양쪽에 흰 무늬가 뚜렷한 특징을 있다. 몸길이는 약 55~90㎝, 꼬리 길이는 약 25~32.5㎝이다. 불분명한 반점이 많다.



크기변환_SY3_5408.jpg » 배를 채우지 못한 삵이 놓고 온 먹이가 아쉬운 듯 입맛을 다시고 있다.



크기변환_SY3_5512.jpg » 사람이 물러 서자 먹이로 다가 간다.



크기변환_SY3_5513.jpg » 조심스레 먹이감으로 접근하는 삵, 방금 전까지 있던 곳으로 가면서도 한치의 흐트러짐이 없다.. 

삵 눈은 밤에 먹이를 잡는 데 아주 유리하다. 입을 크게 벌릴 수 있고 머리는 둥글며, 다리가 튼튼하여 날렵하게 잘 달린다. 발톱 끝으로 소리 없이 걷고 걸을 때는 감추며 행동한다. 날카로운 낚시발톱은 자유롭게 안으로 구부릴 수가 있다.

 크기변환_SY3_5541.jpg » 고라리의 주검을 들어 올리는 삵. 작은 체구에 견줘 다부지고 힘이 세다.



시각·청각·후각의 발달이 뛰어나고, 특히 어두운 곳에서는 눈동자가 완전히 벌어져 조금만 빛이 있어도 사물을 볼 수가 있다. 새끼는 5월경 빈 나무구멍에 4, 5마리를 낳는다. 임신기간은 56∼66일이며, 암컷과 수컷이 함께 새끼를 보살핀다. 처음에 새끼는 눈도 뜨지 못하고 몸도 가누지 못하나 며칠이 지나면 눈도 뜨고 돌아다닐 수도 있게 된다.

크기변환_SY3_5468.jpg » 삵의 얼굴. 콧잔등에서 이마까지 두 줄의 흰 줄무늬가 특징적이다.



크기변환_SY3_5362.jpg 

크기변환_SY3_5340.jpg 

1950년까지는 우리나라의 산간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었는데, 한국전쟁 이후 쥐 잡이 약과 기타 살충제 등을 먹고 죽은 동물과 새먹고 2피해를 입어서 점차 멸종되어 가고는 시발점이 되었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이사장 한겨레 물바람숲 필진,

http://윤순영자연의벗.kr/


 

TAG

Leave Comments


profile안녕하세요?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윤순영 입니다. 어린 시절 한강하구와 홍도 평에서 뛰놀며 자연을 벗 삼아 자랐습니다. 보고 느낀 생각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