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마디마디 기운이 촘촘하게 베어든다 무위태극선 교실

민웅기 무위태극선 교실/참으로 안다는 것은/고탐마 高探馬   

 

고탐마高探馬는 커다란 말에 올라타기 위해 먼저 손으로 말안장을 더듬어본다는 뜻으로 풀어진다. 두 손을 합하여 왼손은 가슴 앞쪽에 두고 오른손의 장을 앞으로 주욱 뻗어내는 것이 마치 기사가 말에 올라타는 모습과 같다.

단편에서 오른 손의 종모양이 장으로 변화하여 오른쪽 귀 옆을 살짝 스치면서 앞을 향해서 장을 발하고, 왼손은 팔꿈치가 뒤로 향하여 주욱 밀어내듯 하면서 왼 가슴 앞에 이른다. 왼 팔꿈치로 장애를 걷어내고 자세를 잡아나가는 뜻이 담겨 있는데, 앞뒤로 두 손을 합쳐 양쪽 어깨, 양쪽 팔꿈치, 양쪽 손목을 동시에 서로 당겨 벌려줌으로써 내경內勁의 평형을 이루게 된다.

 

고탐마高探馬의 형세는 매우 차분하고 세밀하나, 그 기세는 살아있어 활기가 넘친다. 의 기운이 손끝과 손가락의 마디마디에 예리하고 촘촘하게 베어든다. 손목을 쓰는 솜씨가 허리 도는 기교와 맞물려 돌아가는 것이 참으로 섬세하다. 무게중심을 왼쪽 앞으로 살짝 당기듯이 옮겼다가, 오른쪽 반보 뒤로 가볍게 내려놓는 모습이 흡사 한 마리의 호랑나비가 두 날개를 편 채 살포시 내려앉는 것 같다.

 

오른손의 장을 내어 뻗는 모습에서 한길 가는 이의 결단의 뜻을 엿본다. 다가올 날에 조우하게 될 여러 가지 시련들과 사건들을 반갑게 맞이할 대비가 되어있다. 말안장을 쓸어내리며 이 말을 타고 다닐 곳에 대한 꼼꼼한 점검을 한다. 이 말과 함께 동고동락하며 두루한 풍상을 겪을 마음의 태세가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산하대지에 남길 말발굽 자국은 내 인생의 여정이 될 것이다. 그 자국들이 뭇 사람들과 생명들에게 혹여 빚을 남기지 않도록 먼 길 채비하는 이의 마음이 찹찹하다.

 

개 가운데 합이 있고,

합 가운데 개가 있네.”

 

開中有合 개중유합

合中有開 합중유개

 

개 가운데 개가 있고,

합이 다시 합하네.”

 

開中有開 개중유개

合之再合 합지재합 (태극구결)

 

태극의 길은 일음일양一陰一陽의 길이다. 한번 음하고 한번 양하니 식이 되고, 한번 개하고 한번 합하니 세가 되고, 한번 허하고 한번 실하니 투로套路가 되고, 삶의 도리道理가 된다.

13.jpg

 

음 속에 양이 있고, 양 속에 음이 있기 때문에, 음양이 상호전화하여 음이 양이 되고 양이 음이 되듯이, 속에 합이 있고 합속에 개가 있기 때문에 개합開合이 상호전화 하여 개가 합이 되고 합이 개가 된다. 그리고 개는 그 내부로부터 또 다른 개를 생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개가운데 또 다른 개가 만들어져 나오고, 그로인해 더 확장된 초식의 전개가 가능해진다.

속에 합이 있음도 마찬가지로, 의 동작 내부에 더 합하려는 기운이 만들어져 작용함으로써, 더욱 긴주되고 응축된 동작들이 나오게 된다. 이렇게 긴주되고 응축된 동작 속에서만이 개로의 전환이 원만해진다.

 

고탐마高探馬의 초식은 개합허실開合虛實의 원리를 꿰듯이 알아 그 전환이 몸에 배도록 능수능란해야 한다. 방향전환과 위치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태극권이다. 모든 동작의 변화는 허리로부터 나오고 허리가 이를 주재하는 것이니, 허리의 좌우로 도는 선전운동과 함께 체중의 이동도 함께 이루어지고, 손발의 위치도 따라서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동시다발적인 변화의 중심에 허리가 있다. 그러므로 태극권을 행공하는 식과 세에 혹시라도 결함이 있다면 그 결함은 오직 허리와 다리에서 찾아야 된다.

 

길 떠나는 이가 말안장을 손질하며 높다란 말의 고삐를 잡고 말의 등에 올라타는 장면을 떠올리니, 벌써 수 해가 지난 그때의 감회가 새롭다. 연변의 작은 도시 도문에 있을 때의 일이다. 도문은 인구가 십여 만 정도의 매우 작은 국경도시로 두만강가에 위치하고 있다. 두만강을 넘어 바라다 보이는 곳이 북한의 남양이라고 했던 것 같다. 도문이라는 지명도 중국식 발음으로 하면 투먼이니 두만강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일 테고, 우리가 머물러 수련하고 있었던 언덕배기 위의 폐교는 한때 작은 절(가정집 절)로 사용했었다고 했다.

 

조선족 동포가 마련해주는 조선식 식단으로 매일의 양식을 삼고, 두만강 푸른 물을 바라보며 매일 중국과 북녘을 오가는 열차의 기적소리를 눈앞에서 듣고 있으니, 우리 민족과 강산에 대한 애틋함이 생동해 나온다.

 

이 두만강으로 흘러드는 상류의 물줄기가 해란강이고, 그곳에서 말달리며 목놓아 불렀을 노래가 선구자일 것이다. 흰 눈이 무릎까지 쌓여있는 바람찬 만주 벌판을 차로 달리며, 수련하는 도반들, 동포들과 함께 목청껏 선구자를 불렀다.

일송정이 소재하고 있는 용정은 백두산 가는 길목에 있다. 한 그루의 노송이 우산처럼 조그만 정자 하나를 받치고 있다. 그 정자의 이름이 우리가 사무치게 불렀던 선구자의 노랫말에 있는 일송정이다. 마침 수리중이였다. 먼발치에서 안내하는 이의 말만 귓전에 흘리며 백두산으로 향했다.

11.jpg

 

이곳에서 수련하던 날에 뜻깊은 일이 있었으니, 그것은 로우위리에(樓宇烈) 선생님과의 만남이었다. 로우 선생님은 북경대학교의 종신교수로 계시는 분으로 나의 사부의 사부이시다. 중국 전통철학(··)의 최고 권위자로 통하는 세계적인 대학자이다. ‘노자 왕필집교석으로도 유명하다. 그날 연길시에서 한국의 경허 스님의 맏제자였던 수월 스님을 기념하는 행사에 강연을 하러 오셨다가, 내친걸음으로 도문의 우리 수련장까지 오신 것이다. 로우 선생님이 친필로 쓴 불이태극권명호를 전달받고 나서 조촐한 간담회가 마련되었다.

도반 중 어느 분이 도움말을 청했다. 살아가는 길에 안내지도가 될 수 있는 말씀을 부탁드린다고…….

로우 선생님은 입을 열어서 간단히 세 마디를 정리해 말씀해 주셨다.

 

本分事 본분사’,

平常心 평상심’,

自在人生 자재인생

 

입가에 인자한 미소가 떠나지 않는 세계적인 대석학의 입에서 나온 간단한 말 세 마디는 기실 유불선儒佛仙을 관통하는 핵심 주제이다. 그 후 나의 뇌리에는 줄곧 노학자의 그 세 마디가 떠나지 않았다.

 

본분사本分事란 무엇이던가? 한마디로 말해 너는 도대체 뭐하는 사람이냐?”라고 묻는 것과 같다. 하늘은 뭇 생명들에게 제각기 자기 자신의 고유한 본분本分을 내렸으니, 이것이 천분天分이다. 내가 본위로 살아가야 할 나의 몫이 즉 본분이다. 그것이 뭘까? 하고 생각해 본다. 예수가 물었다. “당신이 받은 달란트는 무엇이오?”

 

평상심平常心은 선의 화두이다.

유명한 조주 종심선사와 그의 스승 남전 보원선사 사이에 이루어진 문답이다.

가 무엇입니까?”

평상심平常心이 도이다.”

어떻게 하면 그렇게 됩니까?”

어떻게 하면 그렇게 되지 않을까?”

어떻게 안하면 어떻게 그것이 도인지 아닌지를 알 수가 있습니까?”

도는 아는 데속한 것이 아니다. 안다는 것은 다 망각妄覺이요, 모른다는 것은 다 무기無記이다. 정말 참길을 깨달으면 마음은 확 뚫려 허공 같은데 거기 어디 시비是非가 있을 수 있겠느냐?”

 

그 말에 조주가 크게 깨달았다.

 

자재인생自在人生은 소요하는 삶의 방법론이다. 본분사本分事를 붙들고 평상심平常心, 평등심平等心, 평정심平靜心을 가지고, 일과 사물을 대할 때 자재自在하게 된다. ‘스스로 있음이 자재自在이니 네 있는 그곳에서 머물러라’, 그것이 자유自由이고 자재自在이니 지금 이 순간을 사는지혜일 것이다. 밥 먹을 때 밥 먹고, 똥눌 때 똥누고, 잠잘 때 잠자는 것, 그것이 자재自在. 인생이란 이렇게 멀리 있는 것이 아니고, ‘의 밖에 있는 것도 아니니, 지금 있는 그 자리에서 오롯이 존재하라. 그것으로 진정 소요자재逍遙自在하는 삶이 될 것이다.

 

길 떠나는 이가 하산 길에 노자에게 물었다.

노자가 대답했다.

 

알면서도 아는 것 같지 않은 것이 가장 좋은 것이다.

알지 못하면서도 아는 것 같은 것은 병이다.

무릇 오로지 병을 병으로 알고 있으면

병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성인은 병이 없다.

병을 병으로 스스로 깨닫고 있기 때문에

병이 될 수 없는 것이다.

 

知不知, , 지부지,

不知知, , 부지지,

夫唯病病, 是以不病, 부유병병 시이불병

聖人不病, 以其病病, 성인불병 이기병병

是以不病 시이불병 (71)

 

노자가 쓴 도덕경은 총 5,000자로 된 전체 81편의 철학시哲學詩이며, 인생과 자연의 도를 노래하는 깨달은 이의 게송偈頌이다. 철학과 문학과 수행의 방법론을 가지고, 삶의 큰 주제에 접근해 나간다. 그리고 그 의문(주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노래한 오도송悟道頌이다.

나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의 근원적 물음을 던지고 그 물음에 대한 해답을 스스로 찾아나가기를 종용하고 있는 노자는 2,500여 년 전의 물음을 오늘의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 다시 묻는다.

12.jpg   

노자가 가장 크게 문제 삼은 것은 인간의 인 것 같다. 그리고 이 지와 욕에 근거하고 바탕을 제공하는 인 것 같다. 이 세 가지는 기실 하나의 문제이나 표면에 드러나서는 세 가지의 각기 다른 문제인 것처럼 보인다. 만약에 사가 없다면 지와 욕이 있을 수도 없고, 있는다고 해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싯달타 붓다는 인간의 근본 문제를 탐, , , 세 가지로 보았다. 탐욕과 화, 그리고 무지無知(無明) 이 세 가지를 인간에게 고통을 가져다주는 세 가지 독이라 해서 삼독이라 부른다. 세 가지 독 중에서도 가장 근원적인 것을 무지無知로 보았는데 에 대한 잘못된(혹은 전도된) 알음알이를 말한다. ‘를 바로 알지 못하므로 가 욕망하고 가 분노하게 되고, 그 때문에 인간의 삶은 고통의 바다(苦海)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맹자는 인간은 본래 선하다는 성선설性善說을 폈다. 인간은 타고나면서 하늘의 성품을 품부 받았으므로 그 본성本性이 선하다는 말이다. 타고난 본성이 선한데 왜 악한 짓을 하는가?” 하는 대답으로 그 본성이 사와 욕에 가려져 있어서 그렇다라고 했다.

 

욕망을 근원의 문제로 본 것은 예수도 마찬가지다. “욕심이 잉태하여 죄를 낳고 죄가 자라서 사망에 이르느니라.” 라고 했다.

 

성인들의 시각이 이처럼 근원으로부터 닮아있음이 흥미롭다. 그런데 이중에서도 노자의 지에 대한 관점이 색다르다. 노자의 지는 우리 속담에 아는 것이 병이다고 보는 것과 관점이 같다. 노자는 기본적으로 인간 불행의 문제의 근본 원인을 지와 욕으로 본다. 본디 자연自然을 왜곡시키는 것은 노자의 문제의식으로는 지와 욕이 된다. 본디 도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도 이 지와 욕이다.

 

그러므로 노자에게 지는 늘 넘어서야할 대상이고, 그쳐야할 대상이고, 없어야할 대상이 된다. ‘비우고 또 비워야할 것이 노자에게는 바로 이 지와 욕이다. 그리고 이들의 배후에서 동기를 제공하고 근거를 제공해주는 가 된다. ‘무사無私’, ‘소사과욕小私寡慾이 노자의 사상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노자에게도 아는 것()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배워서 아는 것이든(), 책을 보고 아는 것이든(), 경험해서 아는 것이든(), 안다는 것은 인간이 자신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진정한 알음알이는 바른 삶을 위해서도 힘이 된다. 그러므로 인간이 알음알이를 살아가는 지혜로, 방편으로 쓰는 것이 문제가 될 수는 없다. 알음알이란 필요에 의해서 생겨났고, 그것이 인간의식의 진화의 결정적인 몫을 담당해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아는 것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여기 이 아는 것의 배후에 있는 이다. 알음알이가 사와 결합하여 만들어낸 허상이 문제다.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인간의 알음알이는 결정적으로 언어적 사량을 통해서 이룩한 성과이다. 그리고 언어로 사량된 지식은 노자의 말로 하면 유명有名적 사유로 구성되고 발전하며, 이를 통해서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고, ‘나의 눈이라는 프리즘으로 여과하고 재구성해서 보게 된다. 그리고 이 나의 눈은 바로 근저에서 사사건건 스스로를 주장하는 에 의해 왜곡되고 조종된다.

그렇게 왜곡된 알음알이가 바로 모든 것을 자기()에게 유리하게 쪼개어 나누고(境界), 거기에 이름을 붙여 개념화(有名)하고, 그 개념과 관념에 가치를 매기며, 다시 그것들을 부동의 것으로 간주하기에 이르게 되니, 상대적으로 분별되고 차별화된 것들에게 절대적 지위를 부여하는 심각한 오류를 낳게 되었음이다. 그래서 유명有名적 사유의 독에 중독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그러면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왜곡하는 배후의 란 무엇일까? 불교의 유식학唯識學이 발견해낸 성과에 의하면, 배후의 는 제7식인 말나식이다. 말나식은 안, , , , 5식과 의식意識6식의 배후(저변)에서 를 중심으로 이 세계를 인식하고 사유하는 심리를 말한다. 유식학에 따르면 인간의 의식은 층차가 있어서 전면에 있는 표층심리로서의 5식과 6식인 의식, 그리고 심층심리라 할 수 있는 7식인 말나식과 8식인 아뢰야식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제8식인 아뢰야식을 근원식 혹은 종자식이라고 하는데, 이 아뢰야식은 (自我)’를 성립시키는 가장 밑바닥 의식이다. 우리가 라고 하는 의식의 가장 밑바닥으로 들어가 보니 근원을 이루는 뿌리가 있는데 그것이 아뢰야식이고, 이곳으로부터 모든 심리상태의 원인이 만들어져 나올 뿐만 아니라, 그 결과가 다시 거기에 저장된다는 것이다.

 

이 아뢰야식은 현생에서는 모든 의식의 원인을 제공하며, 동시에 모든 의식의 결과, 즉 훈습된 습기習氣(반응 혹은 행)가 저장되는 종자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다음 생(來生)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종자식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불교는 무아無我를 말하므로 불교의 논리에 따르면 결국 이 아뢰야식이라는 것도 공(無我)한데, 이 아뢰야식에 쌓인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그렇게 된다고 한다.

 

그런데 문제는 제7식인 말나식의 존재이다. 이 말나식은 끊임없이 근원식인 아뢰야식을 로 여기고, 나로 집착하는 의식의 층이다. 우리 사유의 저변에 뿌리깊이 박힌 를 주장하는 의식이다. 아뢰야식에 집착해서 그것이 나의 존재라고 주장하는 분별의식이라는 것이다. 유식학은 그래서 이 말나식을 아견我見, 아애我愛, 아만我慢, 아치我癡로 나누어 설명한다. 나의 견해가 있다고 알고(我見), 나를 사랑하고 나를 집착하며(我愛), 나의 생각에 자긍심을 갖으며(我慢) 그리고 나에 대해 잘못 아는 것(我癡), 그것이 말나식이다.

 

불교의 말나식과 같은 의식, 혹은 심리상태를 우리 식으로 말하니 그것이 이다. 그러므로 이 사가 없다면 알음알이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본래 알음알이는 필요에 의해 나왔으나 그 안에 약독의 이중성을 본래 안고 있었던 바, ‘의 배후조종에 의해 그 이중성의 덫에 걸려들게 되었던 것이다. 오늘날 지식과 정보는 더 이상 예찬의 대상만은 아니다. 극단적으로 지식과 정보를 추구하는 문명, 그 문명의 뒤안길에서 알음알이의 독이 방치되고 있는데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사유방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렇지 않으면 알음알이의 독에 심각하게 중독되어 헤어나지 못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알음알이를 이익추구의 수단으로 부리는 것이 사, 경쟁의 무기로 삼는 것도 사, 상업적인 가치매김으로 물신화 하는 것도 사. 그리고 이 알음알이를 사치스러운 교양물이나 악세사리쯤으로 여기게 하는 것도 사가 된다.

그래서 현대사회는 온갖 지식과 정보가 넘쳐나는 가운데, 이들을 선점하고 독점하고 지배하는 세력들 또한 나타난다. 농경사회에서는 쌀과 곡물을 생산하고 팔아서 이문을 남겼고, 산업사회에서는 물건을 만들고 팔아서 이윤을 남겼으며, 오늘날의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알음알이를 생산하고 팔아서 부를 차지한다. 지식이 곧 돈인 세상이 된 것이다. 지식이 곧 권력이 된 세상이다. 알음알이를 독점한다는 것이 어찌 다른 생명계에서 가당한 일이겠는가. 알음알이를 자기 개인의 것이라고 우기는 것이 어찌 자연의 본래 그러함의 세계에 부합할 수 있겠는가?

 

알면서도 스스로 알지 못한다(知不知)”고 여기면 그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알지 못하면서도 자기가 안다고 여기고 뻐기면 병이다.(不知知, )” 노자가 역설하는 진정한 알음알이, 혹은 진정한 지혜는 이미 다 알아 환한 지경에 이르렀으면서도 자기가 알고 있다는 그 사실 조차도 마음에 담아두고 있지 않는 그런 상태로 풀어진다. 혹자는 이런 것을 말의 유희나 말장난쯤으로 치부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결코 그렇지 않다. 에서는 이것을 목숨처럼 중대한 문제로 여긴다. 가짜 알음알이에 대한 경각심 때문일 것이다.

 

참된 밝음의 상태에서는 그 밝음을 보고 있는 주체도 그 밝음 속으로 녹아들어가고 만다. 알아차리고 있는 주체도 알아차림의 대상도 없게 되므로, 알아차림만 홀로 밝게 빛난다. 보는 자도 공하고, 보이는 대상도 공하게 된다. 를 보는 자가 있으면 그것은 참된 무가 아니다. 보는 자도 없고 보이는 대상도 없으니 무. 부지不知의 부도 무와 같은 뜻이다. 이미 밝은 경지에 들었으면서도 정작 보는 이도, 아는 이도, 드는 이도 없게 되는 바, 바로 무지無知 혹은 부지不知의 경계가 이와 같을 것이다.

14.jpg

 

유사이래 알음알이의 가치를 요즘처럼 크게 알아주는 시대는 없었을 것이다. 지금 지식과 정보는 소유의 대상을 넘어서 자체로 통용된다. 그런데 따지고 보면 사실 이 세상에 내 것이라고는 없는 것 같다. 내 몸도 마찬가지다. 조상과 부모로부터 온갖 성씨를 혼연하게 물려받아 내려온 것이니 내 것이라고 할 것이 없다. 오늘 아침 먹은 쌀과 생선과 배추김치와 달걀 후라이가 어찌 본래 내 것이라고 할 만하던가. 더군다나 칠레산 수입홍어와 중국산 조기가 본래 나의 것일 수 있는가. 숨 쉬는 공기와 물과 하늘의 햇볕과 산들바람이 나의 것, 나의 소유가 될 수 있는가.

하늘로부터 품수 받은 본성과 조상들로부터 유전되어온 아이큐와 온갖 외물들과 인연지어진 관계망들과 그 관계망 속에 존재하는 자연으로부터 얻은 지식이나 지혜를 의 것이라고, 나의 소유라고 못 박아서 주장할 근거가 있기라도 하는가?

 

나를 들여다보니 나의 것이나 나의 고유함(정체성)이라고 할 것이 없다. 모두 다 밖에서 빌려온 것이요, 공급되어진 것이요, 인연되어진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내가 라고 알고 있는 것은 사실 알고 보면 전혀 라고 할 만한 근거가 없게 된다.

 

2,500년이 지난 지금, 노자의 권유가 더 절실하게 느껴지는 이유가 여기 이 구절에 있으니, 지부지知不知이다. 알되 알음알이를 그쳐라. 알았으면 그 알음알이조차도 내려놓아라. ‘가 안다 라고 생각하니 이다. 아는 주체가 따로 있는 것처럼 잘못 알고 있으니, 이것이 병이라는 말이다.(不知知, )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안다고 착각하게 되니, ‘이다는 말이다. 그런데 병이라는 사실을 알면 그것은 병이 아니게 된다.(夫唯病病, 是以不病) 그래서 성인은 병의 함정에 빠지지 않는다고 했다.(聖人不病, 以其病病)

 

[장자, 천지]에 나오는 이야기다.

황제가 적수 북녘을 여행하여 곤륜산에 올라 남쪽을 바라보고 돌아왔는데 그 때 현주玄珠를 잃어버렸다. 아는 것이 많은 로 하여금 찾게 했으나 얻지 못하고, 눈이 밝은 이주離朱를 시켜 찾게 했어도 역시 얻지 못했으며, 말솜씨 좋은 끽후喫詬를 보내 찾게 했지만 여전히 찾지 못했다. 그래서 멍청한 상망象罔을 시켰더니 상망은 그것을 찾아냈다. 황제는 말했다. 상망이 그걸 찾아낼 수 있다니!

 

노자가 길 떠나는 이의 하산 길에 들려준 알음알이에 대한 법문은 지금 우리에게 이렇게 말하고 있는 것처럼 들린다.

 

지식을 소유하려 들지 말고, 그대로 지혜의 밝음안에 존재하라!”

 글 사진/민웅기(<태극권과 노자>저자,송계선원장)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