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 껌 속 DNA로 복원한 5700년전 북유럽 여성 생명건강

lola.jpg » 껌 속의 DNA 정보를 토대로 복원한 5700년 전 덴마크 여성.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제공


검은 피부에 파란 눈, 짙은갈색 머리

자작나무 송진을  껍처럼 씹었던 듯

농업 전파 안돼 수렵채집하며 살아


과학자들이 신석기인들이 씹던 껌에서 DNA 정보를 추출해 5700년 전 스칸디나비아반도에 살았던 여성의 얼굴을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과학자들은 껌이 발견된 지역의 이름을 따 여성에게 `롤라'(Lola)라는 이름을 붙였다.
고대 인간 게놈 전체를 뼈가 아닌 곳에서 추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껌 조각이 진흙 구덩이 안 깊숙한 곳에 박혀 있어 DNA가 완벽하게 보존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고대인의 껌 성분은 자작나무 껍질에서 나온 끈끈한 흑갈색 송진이다. 껍질을 가열하면 나오는 것으로, 당시 석기를 접착하는 데 주로 쓰였다. 과학자들은 송진에 이빨자국이 선명히 남아 있다며, 이는 이를 청소하거나 치통 등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또는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껌처럼  씹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했다.

lola2.jpg » 자작나무 송진으로 만들어진 껌은 길이가 1인치가 채 안된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제공
코펜하겐대 연구팀이 덴마크 남부 롤란섬에서 발견한 이 껌 속의 유전자를 해독한 결과, 껍을 씹던 주인공은 거무스름한 피부에 짙은 갈색 머리, 파란 눈을 지닌 여성으로 파악됐다. 이는 비타민 D 생성에 유리한 북유럽인들의 흰 피부가 불과 5000년 사이에 진화한 형질이라는 걸 말해준다. 이 여성은 또 본래부터 이 지역에 살던 그룹이 아니라 빙하기가 끝난 후 유럽 대륙에서 건너온 수렵채집인의 후손일 것으로 추정됐다. 헤이즐넛과 청둥오리의 DNA도 추출됐는데, 이는 당시 이들이 먹던 음식의 일부로 보인다. 특히 오늘날의 유럽인들과는 달리 우유를 소화할 수 없는 `유당 불내증'과 관련한 유전자도 나왔다. 이는 당시 이 지역에는 아직 농경 기술이 전파되지 않았으며, 사람들이 여전히 수렵채집을 통해 먹거리를 조달했음을 시사한다. 연구원들은 껌에서 입 안에 사는 다양한 바이러스, 박테리아와 선열(림프선 감염 질환), 폐렴 등을 일으키는 병원균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12월17일치에 실렸다.


출처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19-13549-9
https://www.livescience.com/ancient-chewing-gum-reconstructs-lola.html?utm_source=notification
https://gizmodo.com/scientists-reconstruct-lola-after-finding-her-dna-in-1840481633
https://www.wired.com/story/5700-year-old-piece-of-gum/?
https://www.smithsonianmag.com/science-nature/human-genome-recovered-5700-year-old-chewing-gum-180973801/
https://www.bbc.com/news/science-environment-50809586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