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5~1월1주] 검찰 기소독점주의, 66년만에 깨지다 미래기상도

[12월5주~1월1주] 2010년대의 한국은 검찰의 독점적 지위를 해소하는 일로 마감했습니다. 1년여의 지난한 협상 끝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 법안이 국회를 통과했네요. 수십년간 유지돼 온 검찰의 기소독점주의가 깨진 것이죠. 앞으로는 기소권이 세무당국에도 주어지는 쪽으로 확돼되기를 바랍니다. 이번 공수처 법안이 더욱 반가운 건 아무런 감시장치가 없는 검찰을 대상으로 사법권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헌정 사상 처음 있는 일입니다. 대상자가 7천명에 이를 것이라는데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바로 검사죠. 현재 검사정원법에 규정된 한국의 검사 수는 2292명입니다. 23년 전인 1996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당시 명칭은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도입을 처음 주장한 사람이 박원순 서울시장었다고 합니다.


[이주의 칼럼]

[시론] 부동산 대책, 금융에서 찾아야 한다/박복영

"물가안정이 중앙은행의 불변의 목표라는 생각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1930년대 초인플레이션과 1970년대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물가안정이 최우선 목표가 됐다. 그 전에는 물가안정이 아니라 금융위기 방지가 목표였다. 21세기 들어 인플레이션은 더 이상 성숙 경제의 걱정거리가 아니게 됐으며, 대신 금융안정이나 자산시장 과열을 막는 것이 더 중요한 일이 됐다.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나 2010년 유로위기에서 보듯 현대 경제위기의 대부분은 부동산시장 과열과 급락으로 시작됐다. 부동산 급락을 막지 못하는 이유는 과열 위험을 제때 인식하지 못하고 또 금리 인상이나 유동성 흡수를 주저하기 때문이다. 우리도 이런 위험을 경계해야 할 시점이다."

onebyone.gif?action_id=15ce1b19b2d005cbd860c5c565e60bc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922620.html?_fr=mt0


7대 변화동력으로 본 미래기상도

구분

성장

붕괴

지속가능

변형

인구



 

경제




 

문화

 

 


 

환경

 



 

거버넌스

 


공수처법 통과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22650.html

20191230503215.jpg

 

에너지

 


 

기술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