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불평등을 악화시키는 기후변화 지구환경

cli7.jpg » 가뭄으로 말라버린 땅. 기후변화는 이상기후를 통해 전 지구적 차원에서 소득 불평등을 악화시킨다. 스탠퍼드대 제공

 

가난한 나라 생산 17~31% 줄이고

부자 나라 생산은 10% 더 늘려줘

 

불평등 문제가 물 위로 떠오른 건 20세기 후반을 관통했던 세계적인 경제 번영이 멈추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 경제가 고착화하면서 불평등 문제는 지구촌 각국의 최우선 현안이 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불평등이 자가증식을 한다는 점이다. 소득불평등에서 시작된 불평등은 자산불평등, 주택불평등으로 이어지고 교육 불평등, 상속증여를 거쳐 불평등의 대물림으로 고리를 이어간다.
그 근저에는 화석연료 문명에서 기원하는 거대한 물줄기가 흐르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증가가 유발한 기후변화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극심해진 가뭄, 폭염, 홍수, 태풍 등 이상기후와 해수면 상승이 인명과 재산, 자연과 경제 기반시설 등에 영향을 미치는 탓이다. 전 세계 차원에서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

미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최근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한 논문을 보면, 기후변화는 부국과 빈국 간의 경제 격차가 줄어드는 흐름을 방해했다. 연구진이 1961~2010년 기간 중 165개국 GDP와 연평균 기온 데이터를 토대로 20개 기후모델을 대입해 비교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이 기간 중 지구 온난화는 세계 빈국(전체의 하위 40%)들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를 17~31% 떨어뜨린 반면,  선진국의 국내총생산은 10% 더 늘려줬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을 경우와 비교할 때, 부국과 빈국의 1인당 지디피 격차는 평균 25% 더 벌어진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 반세기 동안 지구 평균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벌어진 일이다. 지구 기온은 산업혁명 이후 섭씨 1도가 올랐다. 연구진은 "최근 몇십년 동안 국가간 경제 격차는 줄어들었지만 지구온난화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그 격차는 더 빨리 좁혀졌을 것"이라고 밝혔다.

cli6.jpg

열대지역 가장 큰 피해...기후변화의 불평등 영향 첫 계량화

 

특히 현재 인구로 나눈 1인당 배출량이 300톤을 초과하는 19개 부국 중에서 14개국이 경제에서 지구온난화의 덕을 봤다.  1인당 지디피에서 평균 13%가 더 늘어나는 효과를 누린 것으로 분석됐다. 개도국 입장에서 더 참을 수 없는 것은 전 세계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80%는 한국 등 주요 20개국(G20)에서 나오는데,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자신들에게 집중돼 있다는 사실이다. 세계 최저 온실가스배출국 36개국 가운데 34개국이 지구 온난화로 인한 경제손실을 입었다. 이들의 평균 지디피 손실률은 24%였다. 사실 이번 연구가 아니라도 그동안 기후과학자들은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나라들이 오히려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다고 말해 왔다. 이번 연구는 이를 처음으로 수치화해서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가장 큰 피해를 본 국가는 적도 부근의 열대지역 국가들이다. 10억명이 살고 있는 이 지역 국가들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전체의 3%에 불과한데도 말이다. 온대국가들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고위도에 있는 한대국가들은 덕을 봤다. 앞서 연구진은 지난 2015년 연평균 기온과 국내총생산의 관계를 규명한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이 12.8도(화씨 55도)일 때 경제 성과가 가장 좋았으며, 기온이 20도(화씨 68도)를 넘어서면 손실이 컸다.

cli4.jpg

노르웨이, 석유 팔아 돈 벌고 기온 올라 생산 늘어

 

지리적 요인이 지구 온난화의 피해를 증폭시킨 점도 있다. 이런 곳에선 기온이 조금만 상승해도 노동생산성과 작물 수확량이 크게 변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더운 기후 지대에 있는 인도는 온난화가 없었을 경우보다 1인당 지디피가 31% 떨어졌다. 연구진은 미국의 대공황 시절과 같은 정도의 충격이라고 평가했다. 아프리카의 인구 대국 나이지리아도 29% 손해를 봤다. 중남미의 커피 생산국 코스타리카는 기후변화로 작물 질병이 확산하고 커피 수확량이 줄어들면서 지디피가 21% 줄어드는 타격을 입었다. 개도국 정부엔 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자금이 부족해 경제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한대국가에선 기온 상승이 생산성과 작물 수확을 늘려주는 역할을 했다. 예컨대 노르웨이의 기온 상승은 지구 온난화가 없었을 경우에 비해 1인당 지디피를 34% 증가시켜준 것으로 분석됐다. 아이슬란드는 무려 50%나 늘어났다. 특히 석유 수출국 세계 5위인 노르웨이는 석유를 팔아 돈도 벌고, 기온 상승으로 생산성도 좋아지는 `이중의 혜택'을 본 셈이다.

cli9.jpg

 

온대국가들은 큰 영향 없어...국가내 불평등에도 관여


중위도의 온대국가들이 받은 영향은 크지 않았다. 세계 3대 경제대국인 미국은 -0.2%, 중국은 -1.4%, 일본은 -1.1%의 부정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진은 온대기후 국가들에 끼친 영향력은 10%가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기후변화가 초래한 부국들의 이중이득과 빈국들의 이중손해 문제가 향후 기후변화협상에서 어떻게 상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번 연구 결과에 비춰보면 기후변화는 국가간 불평등뿐 아니라 각 나라 안의 지역간, 계층간 불평등도 악화시켰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우리 사회만 보더라도 이상기후에 취약한 곳은 주로 저소득층 거주지역인 경우가 많다. UC버클리대 솔로몬 시앙(Solomon Hsiang) 교수는 2017년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온실가스 배출을 방치할 경우, 미 남부 지역의 경제 피해가 심해지면서 자산이 북부와 서부쪽으로 대거 이동해 지역간 경제 격차가 커질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기후변화의 국내 불평등에 대한 계량적 분석은 추후 연구자들의 몫으로 남았다.

 

출처

https://theconversation.com/global-inequality-is-25-higher-than-it-would-have-been-in-a-climate-stable-world-115937?
https://www.smithsonianmag.com/smart-news/climate-change-has-worsened-income-inequality-over-last-50-years-180972021/?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13386/climate-change-has-already-made-poor-countries-poorer-and-rich-countries-richer/?
https://www.nationalgeographic.com/environment/2019/04/climate-change-economic-inequality-growing/
https://www.nytimes.com/2019/04/22/climate/climate-change-global-wealth-gap.html
https://earth.stanford.edu/news/climate-change-has-worsened-global-economic-inequality#gs.7mi7qb
https://www.sciencemag.org/news/2019/04/global-warming-may-boost-economic-inequality?u
논문보기
https://www.pnas.org/content/early/2019/04/16/1816020116
미국내 지역별 지구온난화 경제 영향
https://science.sciencemag.org/content/356/6345/1362
마샬 버크 박사의 2015년 연구
https://www.nature.com/articles/nature15725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