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1주] 한국 고령인구 비중, 2045년 세계 1위로 미래기상도
2019.09.07 09:58 곽노필 Edit
[9월1주] 한국의 고령화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죠.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2045년에 37.0%로 일본(36.7%)을 넘어설 것이라는 통계청 인구 전망이 나왔습니다.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은 2019년 14.9%입니다. 이대로라면 2067년엔 46.5%로 높아집니다. 전 세계 201개국 중 고령인구가 계속 증가하는 146개국의 고령인구 비중이 2019년 9.1%에서 2067년 18.6%로 늘어나는 것에 비하면 엄청난 속도의 고령화입니다.
반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12년 73.4%를 정점으로 계속 감소해 2019년에는 72.7%로, 2067년에는 45.4%까지 떨어집니다. 같은 기간 전 세계 생산연령인구는 2019년 65.3%에서 2067년 61.7%로 감소하는 데 말이죠. 이런 인구 구조는 결국 부댱비 부담으로 돌아옵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유소년·고령인구를 뜻하는 총부양비는 2019년 37.6명에서 2067년 120.2명으로 치솟아 전세계 최고로 올라설 전망입니다. 특히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65세 이상 고령인구(노년부양비)는 2019년 20.4명에서 2067년 102.4명으로 5배로 급증하게 된다. 100명을 넘어서면서 역시 전세계 최고로 치솟을 전망이다. 같은 기간 세계의 총부양비는 2019년 53.2명에서 2067명 62.0명으로, 노년부양비는 2019년 14.0명에서 2067년 30.2명으로 증가합니다. 우리나라의 중위연령은 2020년 43.7세에서 2065년 62.2세로 치솟습니다. 말 그대로 노인국가가 되는 것이죠. 세계 중위연령은 2020년 30.9세에서 2065년 38.2세로 상승합니다.
사상 최초로 마이너스 물가가 나왔습니다. 정부는 대부분 농축수산물과 석유류라서 상품 및 서비스 전반의 지속적인 물가 하락을 뜻하는 디플레이션과는 다르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경기 침체와 수요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디플레이션이 아니라고만 할 수는 없을 듯합니다.
7대 변화동력으로 본 미래기상도
구분 | 성장 | 붕괴 | 지속가능 | 변형 |
인구 | 한국, 노인인구 비중 2045년에 세계 최고 https://www.yna.co.kr/view/AKR20190902080800002?input=1195m
|
| ||
경제 | 8월 소비자물가 사상첫 마이너스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08299.html
|
|
| |
문화 |
|
|
| |
환경 |
|
| ||
거버넌스 |
|
| ||
에너지 |
|
| ||
기술 |
|
|
|
|
곽노필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nopil@hani.co.kr
페이스북 페이지 '미래가 궁금해'
트위터 '곽노필의 미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