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찾기, 옛터 찾기 생생육아 칼럼

내 사랑 다엘

옛터 찾기

생모에 대한 궁금증이 분노로 바뀐 다엘…
뿌리는 찾는 게 아니라 스스로 내리는 것

 
다엘의 첫 신발. 다엘은 어디에 발을 딛든 그곳에 굳건히 뿌리내릴 것이다. 정은주
 
 
 
“나를 낳아준 분은 어디에 살아?”
 

다엘이 어릴 때 처음 생모에 대해 물었던 말이다. 이후 가끔 생각날 때마다 생모가 어떻게 생겼는지, 어디에 사는지 물었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뒤 그런 질문이 뜸해져서 어느 날 내가 물었다. “낳아준 분에 대해 왜 안 물어봐? 궁금하지 않아?” “안 궁금해. 혹시 만나서 나를 데려간다고 하면 어떡해?”

 

다엘은 생모가 자신을 데려갈까봐 불안해하더니 이후 분노를 표현하기도 했다. “키울 준비도 안 됐으면서 왜 나를 낳고 포기한 거야? 난 안 만날 거야.” 다엘이 가진 불안이나 분노는 해소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다. ‘세상에는 준비되지 않은 이에게서 태어나는 생명도 있으며 낳은 이의 처지는 누구도 함부로 판단할 수 없다’는 내 생각이 언젠가 다엘의 가슴에 전해지길 바랄 뿐이다.

 

입양인들의 ‘뿌리 찾기’를 확실히 하기 위해, 현행 입양특례법상 미혼모는 입양을 보내기 전에 출생신고를 하게 되어 있다. 출산 사실 공개를 두려워한 미혼모들이 아기를 유기하는 사태가 발생하자 입양가족모임에선 법 개정을 요구했다. ‘청소년 미혼모의 경우 본인의 의사에 따라 익명 출산을 보장해달라’는 것이다. 많은 입양부모들이 법 개정을 위해 서명받는 과정에서 미혼모에 대한 일반인들의 편견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한 입양부모가 들었던 말을 옮겨본다. “철부지 사랑 놀음의 결과에 본인이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미혼모가 과거를 숨기고 새 출발 하는 걸 용서할 수 없어요. 당연히 호적에 글씨를 남겨야죠, 주홍글씨처럼.”

 

이토록 단호하고 경건한 태도라니! 오직 ‘정상 가족’ 안에서 태어난 아이가 아니면, 불순한 존재이므로 주홍글씨를 새겨야 한다는 거다. 혼외 출생자를 멸시하던 구시대의 전통을 너무도 잘 지키는 순혈주의,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보호받지 못하는 청소년에게 일말의 공감도 없는 고도의 도덕성(?). 이런 엄숙주의는 내가 낳은 자식이 아닌 머리 검은 짐승을 거두지 말라 외치고, 입양가족에게 낮은 사회적 지위를 부여하는 걸 서슴지 않는다. 우리가 입양할 수 없으니 해외로 입양 보내야 한다는 세태에도 한몫했다. 그러면서 해외 입양인들에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으라 하니 희극이 따로 없다.

 

입양가족모임 ‘물타기연구소’ 소장 홍지희씨는 말한다. “머리 검은 짐승을 거두지 말라는 것을 보니, 아마 먼 옛날 머리 검은 곰을 사람인 줄 알고 잘못 거두었다가 큰 화를 입은 모양”이라고. 그는 ‘뿌리 찾기’가 아닌 ‘옛터 찾기’라는 말을 제안했다. 우리 아이들은 뿌리 없는 존재가 아니며, 뿌리는 찾는 게 아니라 스스로 내리는 것이라는 설명과 함께였다. 진심으로 공감한다.

 

정은주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웰다잉강사

 

(* 이 글은 한겨레21 제 1169호(2017. 7. 10)에 실린 글입니다)

 

TAG

Leave Comments


profile딸이 뇌종양으로 숨진 후 다시 비혼이 되었다. 이후 아들을 입양하여 달콤쌉싸름한 육아 중이다.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