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lug.hani.co.kr/likebud
2011.07.17 23:03
저도 자세한건 알아봐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궁금해 현장 관계자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이런 피해입은 내용에 대해서는 어떡하냐고?
대기업이 맡은 공사장은 대부분 턴키발주이기 때문에 완공때까지는 시공사가 다 책임진다고 합니다.
설계대로 나올 때까지 추가금 없이 시공사가 끝까지 한다고 하네요.
그런데 그 시점이 정말 올 것인지!! 궁금하기만 합니다.
보 같은 경우에는 완공이 있을 수 있지만 준설의 경우 계속 쌓이기 때문에 완공이란 없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공사가 끝마치는 시점에는 준설이 완공 되어 있어야하겠죠.
결국 완공은 불가능합니다. 퍼내고 또 퍼내야겠죠.
진짜 이 돈을 시공사가 몽땅 책임을 지는건지.. 아님 결국 정부가 추가금을 들여서 공사를 할 것인지.. ㅠㅠ
안녕하세요. 채색입니다. 봄마다 피어나는 새싹처럼 조화롭게, 아름답게 살아가고 싶습니다.
저도 자세한건 알아봐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궁금해 현장 관계자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이런 피해입은 내용에 대해서는 어떡하냐고?
대기업이 맡은 공사장은 대부분 턴키발주이기 때문에 완공때까지는 시공사가 다 책임진다고 합니다.
설계대로 나올 때까지 추가금 없이 시공사가 끝까지 한다고 하네요.
그런데 그 시점이 정말 올 것인지!! 궁금하기만 합니다.
보 같은 경우에는 완공이 있을 수 있지만 준설의 경우 계속 쌓이기 때문에 완공이란 없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공사가 끝마치는 시점에는 준설이 완공 되어 있어야하겠죠.
결국 완공은 불가능합니다. 퍼내고 또 퍼내야겠죠.
진짜 이 돈을 시공사가 몽땅 책임을 지는건지.. 아님 결국 정부가 추가금을 들여서 공사를 할 것인지..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