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미니 치타' 로봇 9마리의 군무 로봇AI

cheeta4.jpg » 단체로 뒤로 공중제비돌기를 하고 있는 `미니 치타' 로봇들. 유튜브 갈무리

미 MIT, 공중제비돌기 등 다양한 집단동작 선보여

모듈 설계로 부위별 교체 가능...감시 등 활용 기대


미국의 MIT가 연구용으로 개발중인 4족 보행 로봇 `미니 치타'가 새로운 볼거리를 선보였다.
MIT 생체모방로봇기술연구소(Biomimetics Robotics Lab)는 지난 3월 공중제비돌기를 선보인 데 이어 최근 `미니 치타' 9마리가 잔디밭에서 집단 군무를 하는 동영상을 공개했다.
동영상을 보면 9마리의 로봇은 축구공 드리블, 뒤로 공중제비돌기, 몸 비틀기, 제자리 뒤기, 푸시업과 함께 넘어졌다가도 오뚝이처럼 일어나는 동작을 선보이는가 하면, 일렬횡대나 원 모양으로 열을 지어보기도 한다. 공중제비돌기 묘기는 미국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가 먼저 재주를 뽐낸 바 있으나, 4족보행 로봇에선 미니 치타가 처음이다. 게임 컨트롤러와 비슷한 모양의 원격 조종기로 연출한 것들이지만 수준급의 동작 능력을 보여준다.

cheeta5.jpg » 축구공 드리블 장면.


cheeta2.jpg » 미니 치타를 근접촬영한 모습.


미니 치타는 무게 9kg으로 12개의 전기 모터로 움직이며 이동 속도는 시속 10km(초당 2.5미터)다. MIT 생체모방기술연구소 소장인 김상배 교수는 전기전자 전문미디어 <IEEE스펙트럼>과의 인터뷰에서 "9kg은 작지도 크지도 않은 완벽한 크기"라며 "점프, 착지 때의 충격도 흡수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미니 치타는 특히 모듈 방식으로 구성돼 있는 게 특징이다. 따라서 망가지거나 고장나더라도 로봇 전체가 아닌 해당 부위만 새 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이는 4족보행 로봇이 다양한 환경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연구하는 데 적합한 특성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한다.

cheeta1.jpg » 일렬횡대로 늘어선 모습.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앞서 4족보행 로봇 `미니 스팟'을 지난 9월부터 기업들을 대상으로 리스 방식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는 배터리, 모터, 센서 기술이 성숙해지면서 4족보행 로봇을 실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단계에 들어섰음을 시사한다. 이런 유형의 로봇은 우선은 특정 시설이나 장소 감시처럼 사람을 쓰는 것보다 비용이 덜 들고 안전한 분야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자율보행 능력 등이 보강되면 소량의 짐 배달이나 순찰용으로도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https://www.theverge.com/circuitbreaker/2019/3/2/18246498/mit-mini-cheetah-robot-backflips
https://techxplore.com/news/2019-11-fall-madness-mit-mini-cheetah.html?
https://biomimetics.mit.edu/


곽노필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nopil@hani.co.kr
페이스북 페이지 '미래가 궁금해'
트위터 '곽노필의 미래창'
TAG

Leave Comments


profile한겨레신문 선임기자. 미래의 창을 여는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 곳간. 오늘 속에서 미래의 씨앗을 찾고, 선호하는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광고, 비속어, 욕설 등이 포함된 댓글 등은 사양합니다.